View : 1023 Download: 0

가야금 개량과 현의 증가에 따른 가야금 음악의 변화 양상 연구

Title
가야금 개량과 현의 증가에 따른 가야금 음악의 변화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nge of Gayageum Music with the Improvement of Gayageum and the Increase of Strings : Focusing on the solo melody of the Gayageum Concerto
Authors
윤숙자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본고는 가야금 현의 증가에 따른 가야금 음악의 변화 양상을 가야금 협주곡의 독주선율 분석을 통하여 연구한 논문이다. 본 연구는 가야금 협주곡 독주선율 분석을 통하여 음계 및 음역의 확대와 현의 증가 요소를 추출하고, 가야금 연주법의 변화와 표현의 다양성 등 필연적으로 현의 수가 증가할 수밖에 없었던 요인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가야금 개량의 배경과 경위를 개관하기 위하여 국립국악원에서 진행된 가야금 개량 사업과 민간에서 시도된 개량가야금의 종류를 확인하여가야금의 변천 과정을 검토하였다. 또한 가야금 개량과 연계된 가야금의 작품을 확인하기 위해 1960년대 초부터 2018년도까지 발표된 가야금 창작곡 및 가야금 협주곡의 작품 현황을 악기별로 구분하고, 연주형태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가야금 개량과 현의 증가는 가야금 창작음악의 음악어법 변화 또한 야기 시킬 수밖에 없는 요인이 되었고, 이를 파악할 수 있는 작품을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은 첫째, 악기가 개량이 된 후, 최초로 발표된 협주곡으로 한다. 둘째, 창안자(創案者)가 직접 연주한 협주곡으로 이 보다 앞서 발표된 작품이 있다면 그 작품과 창안자를 포함한 작품까지 각 1작품을 선정한다. 셋째, 현의 수와 악기 명은 같지만 개량 시기와 악기의 구조가 다른 경우에는 각 1작품씩 선정한다. 넷째, 사용 빈도수가 많은 25현가야금의 경우에는 개량 이후 최초로 발표된 25현가야금 협주곡과 가야금 연주자들에 의해서 많이 연주되고 있는 작품을 포함하여 총 2작품을 선정한다. 다섯째, 선별 과정에서 서양오케스트라 형태의 가야금 협주곡과 외국 작곡가의 작품, 그리고 합주협주곡(concerto grosso)형식은 제외하여 12현·15현·17현·18현·21현·22현·25현가야금 협주곡 중에서 총 10곡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작품은 12현가야금 협주곡 이강덕 작곡 <가야금 협주곡 1번>·15현가야금 협주곡 김희조 편곡 <성금연의 흥을 주제로 한 가야금 협주곡>·17현가야금 협주곡 백대웅 작곡 <가야금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두 개의 악장 길군악과 쾌지나칭칭>·이상규 작곡 <17현가야금을 위한 협주곡 1번>·18현가야금 협주곡 박일훈 작곡 <18현가야금을 爲한 荒>·김만석 작곡 <어느 늙은 무당에게>·21현가야금 협주곡 전인평 편곡 <21줄 가야고와 관현악 김죽파류 산조와 관현악>·22현가야금 협주곡 박범훈 작곡 <22현가야금을 위한 협주곡 새산조>·25현가야금 협주곡 이건용 작곡 <25현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한오백년 주제에 의한 변주곡>·정동희 작곡 <찬기파랑가>이다. 가야금 협주곡을 형식·선율·연주법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총 3가지의 방법으로 서양음악어법에 따른 가야금 협주곡의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여 찾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계 및 음역의 확대에서는 12현가야금 협주곡 <가야금 협주곡 1번>을 비롯하여 15현·17현·18현·21현·22현·25현가야금 협주곡 <찬기파랑가>까지 주요 구성음이 한국음악의‘조’체계인 5음 음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외 25현가야금 협주곡 <25현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한오백년 주제에 의한 변주곡>은 한국음악의 5음 체계와 서양음악의 7음 체계가 혼합되어 7음 자연단음계 체계가 반영되었다. 또한 현의 수가 증가할 때 마다 새롭게 조율된 구성음과 작품 전체의 출현음 분포도와 음역대의 활용도를 백분율로 파악한 결과, 15현가야금 협주곡에서는 12현가야금에서 3현이 증가되어 e♭ʺ·fʺ·a♭ʺ 음이 추가로 출현하여 전체 비율에서 5.23%로 나타났고, 제3음역이 48.72%로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17현가야금 협주곡 두 작품에서는 15현가야금에서 2현이 증가되어 15현가야금의 제15현 a♭ʺ 음은 사라지고 각 작품에 C·E♭·F·c·d♭음이 추가로 출현하였고, 제3음역의 활용도가 각 71.08%, 52.36%로 높게 나타났다. 18현가야금 협주곡 두 작품에서는 제3음역과 제4음역이 가장 많이 활용되어 개량 목적과 부합하는 결과가 나타났고, a♭ʺ·b♭ʺ 음이 추가로 출현하였다. 21현가야금 협주곡에서는 C·b♭ʺ·cʺʹ음이 추가로 출현하였고, 제2음역에서 제4음역까지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22현가야금 협주곡에서부터 21현가야금의 5음 음계에서 7음 음계로 변화되어 G·d·g·d♭ʹ· dʹ·g♭ʹ·gʹ·d♭ʺ·dʺ·gʺ음이 추가로 출현하였다. 25현가야금 협주곡 두 작품에서는 22현가야금에서 3현이 증가되어 C·F·a♭″음이 추가로 출현하여 전체 비율에서 0.34%·1.20%·0.55%로 나타났다. 둘째, 선율분석에 의한 현의 증가요인에서는 총 3가지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는 음역의 확장에 의한 현의 증가요인으로 15현가야금 <성금연 흥을 주제로 한 가야금 협주곡>, 박일훈 18현가야금 <18현가야금을 爲한 荒>, 21현가야금 <21줄 가야고와 관현악 김죽파류 산조와 관현악>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는 청의 변화와 상관없이 연주가 가능한 악기의 편리성에 의한 현의 증가요인으로 17현가야금 <가야금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두 개의 악장 길군악과 쾌지나칭칭>, <17현가야금을 위한 협주곡 1번>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는 7음 음계 조율의 변화에 따라 연주법과 표현의 다양성에 의한 현의 증가요인으로 22현가야금 <22현가야금을 위한 협주곡 새산조>, 25현가야금 <25현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한오백년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찬기파랑가>으로 나타났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18현가야금 <어느 늙은 무당에게>는 현의 증가요인을 추출할 수 없었다. 셋째, 연주법의 활용 양상에서는 각 작품에 나타난 전통주법·창작주법·혼합주법의 활용 사례와 작품 전체에 나타난 비율을 파악하였다. 전통주법은 15현·17현·박일훈 18현·현재 18현·21현가야금 협주곡에서 74%∼100%로의 비율로 가야금의 현은 증가하였지만 전통주법을 고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작주법은 22현가야금 협주곡 이전의 작품들에서 20%미만의 비율로 나타났고, 본격적으로 현의 수가 22현 이상 증가되면서 창작주법의 비율이 증가되었다. 혼합주법은 연구대상 작품 중 가장 최근에 발표된 25현가야금 협주곡 <찬기파랑가>에서 가장 높은 비율이 나타났다. 이 외에 현의 증가를 활용한 전통주법을 사용 사례는 15현·17현 두 작품·박일훈 18현·21현·22현·25현가야금 협주곡 두 작품에서 나타났고, 현의 증가를 활용한 창작주법의 사용 사례는 15현·17현 두 작품·현재 18현·22현·25현가야금 협주곡 두 작품에서 나타났다. 이상으로 가야금 현의 증가에 따른 가야금 음악의 변화 양상을 가야금 협주곡의 독주선율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현대의 가야금 창작음악에서는 서양의 악기를 모방한 연주법으로 서양음악인지 국악인지를 구분이 모호한 창작곡들이 양산되고 있다. 즉, 가야금 본연의 전통적인 특징과 음색을 잃어버린 작품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주자로써 제안하고 싶은 것은 가야금 창작음악의 발전과 전통음악이 가지고 있는 진정한 정체성을 보전하기 위해서 전통가야금 고유의 특징과 음색을 고수하고, 개량된 가야금의 확대된 음역을 활용했던 개량 초기 작품들의 정신이 반영된 가야금 작품들이 활발히 발표되기를 바라면서 본 연구를 마친다. ;This paper analyzes the solo melody of gayageum concerto to study the changes in gayageum music due to the increase in gayageum strings.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solo melody of the gayageum concerto and extract elements for the expansion of scale and range and the increase of string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evitably increased the number of strings, such as changes in gayageum playing technique and diversity of express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get an overview of the background and reas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gayageum, the transition process of gayageum was examined by reviewing the gayageum improvement project conduct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identifying the types of improved gayageum attempted in the private sector.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works for gayageum associated with the improvement of gayageum, creative works and concertos for gayageum, released from the early 1960s to 2018, were classified and organized by musical instrument and performance type. The improvement of gayageum and the increase in strings also caused changes in the musical diction of creative music for gayageum, so works that could help figure this out were selected. Here are the selection criteria. First, the concerto firstly released after the improvement of the instrument is selected. Second, the concerto played by the originator is selected. If there is a work published earlier than this, it is also selected. Third, if instruments are the same in the number of strings and the name, but different in the improved time and the structure, each piece is selected. Fourth, in the case of the 25-string gayageum that is used frequently, a total of two works are selected from 25-string gayageum concertos released after the improvement and works that are frequently played by gayageum performers. Fifth, a total of 10 works are selected from 12·15·17·18·21·22 and 25-string gayageum concertos, excluding gayageum concertos in the form of western orchestra, works by foreign composers, and concerto grosso. The selected works are: , a 12-string gayageum concerto composed by Lee Kang-duk; , 15-string gayageum concerto arranged by Kim Hee-jo; , a 17-string gayageum concerto composed by Baek Dae-woong; composed by Lee Sang-gyu; composed by Park Il-hoon; composed by Kim Man-seok; <21-String Gayageum and Orchestra; Kim Juk-pa's Sanjo and Orchestra>, a 21-string gayageum concerto arranged by Jeon In-pyeong; , a 22-string gayageum concerto composed by Park Bum-hoon; , a 25-string gayageum concerto composed by Lee Gun-yong; and composed by Jeong Dong-hee. The gayageum concertos selected in this way were classified by type, melody, and playing. Based on the analysi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gayageum concerto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Western musical diction as follows: First, with the expansion of the scale and range, it was found that gayageum concertos, including 12-string concerto (Gayageum Concerto No. 1), 15-string, 17-string, 18-string, 21-string, 22-string, and 25-string concertos, and Changiparangga, were composed mainly of Korean "Jo" system, a pentatonic scale. In particular, the , a 25-string gayageum concerto, is mixed with the Korean pentatonic scale and the Western heptatonic scale to reflect the natural minor scale of the heptatonic scal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osition sounds newly tuned each time the number of strings increases, the distribution of the appearance sound and the utilization of the range as a percentage of the entire work, it was found that the concerto for 15-string gayageum, which has 3 strings more than the 12-string gayageum, had additional e♭ʺ·fʺ and a♭ʺ sounds, accounting for 5.23% of the total, and the third range was the most used, accounting for 48.72%. In the two concertos for the 17-string gayageum which has 2 strings more than the 15-string gayageum, the 15th sound, a♭ʺ, disappeared and C·E♭·F·c and d♭ sounds were added, and the utilization of the third range was high, accounting for 71.08% and 52.36%, respectively. In the two concerto works for 18-string gayageums, the third and fourth ranges were overwhelmingly used, meeting the purpose of improvement, and the a♭ʺ and b♭ʺ sounds appeared additionally. In the 21-string gayageum concerto, the C·b♭ʺ and cʺʹ sounds appeared additionally, and were used in various ways from the second to fourth ranges. In the concerto for 22-string gayageums, which use heptatonic scale instead of pentatonic scale of 21-string gayageum, additional G·d·g· d♭ʹ·dʹ· g♭ʹ·gʹ·d♭ʺ·dʺ, and gʺ sounds appeared. In the two concertos for 25-string gayageums that have 3 strings more than 22-string gayageums, additional C·F and a♭″sounds appeared, accounting for 0.34%, 1.20%, and 0.55% of the total. Second, the factors of string increase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by melody analysis. The first factor of the increase in strings was the expansion of the scale. It was analyzed in the for 15-string gayageums, composed by Park Il-hoon, and <21-String Gayageum and Orchestra; Kim Juk-pa's Sanjo and Orchestra> for 21-string gayageums. The second factor of the increase in strings was the convenience of playing, regardless of the change in cheng. This was analyzed in the for 17-string gayageums and . The third factor of the increase in strings was the variety of playing techniques and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tuning change in the heptatonic scale. This was analyzed in the for 22-string gayageums, , and . But in the for 18-string gayageums, which is currently in use, no factor of string increase was found from the melody analysis. Third, in terms of playing, despite the increase in gayageum strings,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techniques were adhered to in the 15-string, 17-string, 18-string (Park Il-hoon), 18-string (current), and 21-string gayageum concertos, accounting for 74 - 100% of the total. In terms of creative techniques, despite the increase in gayageum strings, the ratio of using the creative techniques was less than 20% in the works before the 22-string gayageum concertos. Since then, as the number of strings increased over 22, the proportion of creative techniques began to increase. The mixed techniqu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 the , the most recently released concerto for 25-string gayageums, among the works under study. In addition, the use of creative techniques due to the increase in strings was found in two concertos for 15-string and 17-string gayageums and two concertos for 18-string (current), 22-string, and 25-string gayageums, while the use of traditional techniques, despite the increase in the strings, was found in two concertos for 15-string and 17-string gayageums and two concertos for 18-string (Park Il-hoon), 21-string, 22-string, and 25-string gayageums. As described above, the changes in the gayageum music due to the increase in gayageum strings were identified by the solo melody analysis of the gayageum concerto. Currently, creative music for gayageum is being produced by imitating the playing techniques for western musical instruments, so it is unclear whether it is Western or Korean music. That is, a lot of works are being released without traditional characteristics and tone of the gayageum. In this study, what I would like to suggest as a gayageum player is that the expanded range of the improved gayageum should be utilized and that gayageum works,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early works that adhered to the characteristics and tones of traditional gayageum, should be actively released, in order to develop creative music for gayageum and preserve the true identity of traditional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