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지연-
dc.contributor.author이후민-
dc.creator이후민-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0:36Z-
dc.date.available2020-08-03T16:30:36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82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26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408-
dc.description.abstractThe meaningful learning for children means to develop capability needed in life which refers to practicable ability to know and implement in their life, such as creativity, curiosity, exploration, empathy. Thus, play accelerates several aspects in childrenʼs development and takes a critical part in forming social interaction with the others. In general,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children is essential since it works as a scaffolding. Qualitative intera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helps forming attachment and promoting overall development, but, those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ppear to have difficulties in finding psychological and practical support. Therefore, the kindergarten needs to offer the right information about disability of their child and related education, including how to play and interact with their child in the manner of sensi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ʻplay coachingʼ impacts on social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r this purpose, three mothers who have been struggling with interacting and playing with their children in special nee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received the play coaching program. This program consists of five educational video clips and feedbacks, and the video clips include contents on ʻmaking interaction with childrenʼ, ʻexpressing emotions to childrenʼ, ʻrecognizing intention behind childrenʼs behaviorʼ, ʻfollowing childrenʼs leadingʼ and ʻpromoting childrenʼs participationʼ referred by the advanced studies on mothersʼ 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 Mothers were informed of doable plays at home divided into five areas(sound exploration, body contacts, using food, body explanation, using art materials) based on reactive interaction strategy. The researcher modified plays in accordance with motherʼs requests and childrenʼ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ffered modeling videos presenting how to apply the strategy in detail. Play coaching carried out twice a week, the video clips and the feedbacks were provided once in order. Experimental design was b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and it was collected by video playing freely between mother-child in special needs at home during baseline, arbitration, maintain. Every single data was based on uploaded videos on internet cafe recorded by mother at home with tripod. To measure mothersʼ 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 the researcher observed the play of the mother-to-child in special needs for 10 minutes, and checked the mothers’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 for each item in the‘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 checklist’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social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in special needs was observed for five minutes after three minutes pas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play. Partial interval recording was used by dividing the five minutes of observation into a 10-second interval(8 second observation, 2 second recording). The maintenance was carried out for three consecutive sessions four week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arbitrat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n increase in mothersʼ 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 through the play coaching via internet for all participants. Second, there was an increase in social interaction between mother-child in special needs through the play coaching via internet for all participants. Third, the increase in mothersʼ 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 and social interaction between mother-child in special needs were maintained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arbitration. Consequently, The Internet-based play coaching made a positive impact on mothersʼ 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 and social interaction between mother-child in special needs, and this impact was maintained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arbitr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moted the educational link between kindergarten(or preschool) and families, and suggested new way of connecting with families and coaching parents based on internet cafe, implemented play coaching in a deep consideration of each familyʼs requests and childʼs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ich had a positive impact on mothersʼ 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 and social interaction between mother-child in special needs through play coaching.;유아의 놀이는 창의력, 호기심, 탐구능력, 공감능력 등 유아가 삶 속에서 무엇인가를 알고 실행할 수 있는 실천적인 능력을 도모하고, 타인과의 놀이는 사회적 관계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유아의 전반적인 발달 및 유치원 교육에 있어 부모의 지원은 중요한 비계역할로 작용될 수 있는 요소이다. 특히 부모와 자녀의 질적인 상호작용은 유아와의 애착을 촉진하고, 이러한 애착을 바탕으로 유아의 발달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지만, 많은 장애유아의 부모들이 심리적·실질적 어려움을 해소하지 못해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장애유아의 가족을 만나는 전문가는 가족 구성원들이 자녀의 장애와 교육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자료를 제공하고,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놀이하는 방법을 안내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부모교육을 받기 위해 시간을 들여 이동하거나 직접 참여가 어려운 가족에게 인터넷 기반의 부모교육을 실시한다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녀와의 상호작용 및 놀이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장애유아와 그 어머니 3쌍을 대상으로 인터넷 카페를 활용하여 놀이코칭을 실시하고, 이것이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과 어머니-장애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프로그램에서 제공한 놀이코칭은 교육영상과 피드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육영상은 총 5회기로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 증진을 다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ʻ자녀와 상호작용 시작하기ʼ, ʻ자녀에게 정서 표현하기ʼ, ʻ자녀의 행동읽기ʼ, ʻ자녀의 주도에 따르기ʼ, ʻ자녀의 참여를 촉진하기ʼ를 주제로 구성하였다. 어머니와 유아가 가정에서 쉽게 할 수 있는 놀이를 다섯 가지 영역(소리탐색, 신체접촉, 음식재료 활용, 신체표현, 미술재료 활용)으로 나누어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을 적용한 놀이방법을 안내하였고, 연구자는 어머니의 요구와 유아 개별 특성을 기반으로 놀이를 수정하였으며 직접 놀이하는 영상을 제시함으로써 어머니가 자녀와의 놀이 시 전략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재는 첫 5주간 주 2회씩(교육영상 1회, 피드백 1회) 실시하였으며, 6주부터는 어머니가 인터넷에 탑재한 자녀와의 놀이영상에 대한 피드백만 제공하였다. 실험 설계는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고, 기초선, 중재, 유지의 모든 회기동안 어머니-장애유아가 가정에서 자유롭게 놀이하는 모습을 영상으로 수집하였다. 실험의 모든 자료는 가정에서 어머니가 직접 촬영하여 카페에 탑재하였다.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 수행율은 어머니와 유아의 놀이영상을 10분 동안 관찰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ʻ반응적 상호작용행동 체크리스트ʼ의 각 항목에 대한 어머니의 수행 여부를 체크하는 방식으로 측정했으며, 어머니-장애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은 동일한 10분간의 영상 중 어머니와 유아의 놀이가 시작된 3분경과 후부터 5분을 10초 간격(8초 관찰, 2초 기록)으로 나누어 기록하는 ʻ부분 간격 기록법(Partial interval recording)ʼ을 사용하였다. 유지는 중재 종료 4-6주 후 연속 3회기에 걸쳐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 모두 인터넷을 활용한 놀이코칭을 통하여 반응적 상호작용행동 수행율이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세 쌍의 어머니-장애유아 모두 인터넷을 활용한 놀이코칭을 통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셋째, 인터넷을 활용한 놀이코칭을 통해 증가된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의 수행율과 어머니-장애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자면,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놀이코칭이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과 어머니-장애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영향은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가정과 시·공간의 제약 없이 인터넷 카페를 통해 소통하면서 놀이코칭을 제공함으로써 가정연계 및 부모교육을 위한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였다는 점, 참여 가정의 개별 요구와 유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놀이코칭을 실시하였던 점,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과 어머니-장애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켜 어머니와 장애유아 모두에게 의미 있는 변화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장애유아의 놀이 7 1. 유아기 놀이의 의미 7 2. 장애유아의 놀이 유형 및 특성 9 3. 어머니-장애영유아의 놀이중심 프로그램 관련 국내 선행연구 10 B. 장애유아의 부모를 위한 교육 13 1. 장애유아 부모교육의 필요성 13 2. 장애유아 부모교육의 유형 및 특성 15 3.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부모교육 관련 선행연구 17 Ⅲ. 연구 방법 22 A. 연구 참여자 22 1. 선정 기준 22 2. 참여자의 기본 정보 및 특성 22 B. 실험 기간 24 C. 실험 환경 25 D. 실험 설계 및 조건 25 1. 실험 설계 25 2. 실험 조건 26 E. 관찰 및 측정 37 1. 관찰 행동의 조작적 정의 37 2. 자료의 수집 및 측정 41 F. 평가자 간 신뢰도 및 관찰자 간 신뢰도 42 G. 중재 충실도 44 H. 사회적 타당도 46 Ⅳ. 연구결과 49 A.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놀이코칭이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49 B.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놀이코칭이 어머니-장애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53 C.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놀이코칭이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과 어머니-장애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 유지에 미치는 영향 58 Ⅴ. 논의 및 제언 60 A. 논의 60 B. 제한점 65 C. 제언 66 참고문헌 68 부록 76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034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놀이코칭이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과 어머니-장애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an Internet-Based Play Coaching on Mothersʼ 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 and Social Interaction between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dc.format.pagev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