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4 Download: 0

초등 학습자의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위한 성취기준 개발 연구

Title
초등 학습자의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위한 성취기준 개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for digital presentatio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uthors
윤하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옥현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관련 성취기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최근 디지털 리터러시가 미래 사회의 핵심적인 역량으로 강조되고 있는 것에 비해, 이를 초등학교 단계의 교육과정에 어떻게 도입할지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디지털 기반의 읽고 쓰는 활동인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관련 교육 내용은 국어과에서 다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능력에 대한 필요와 요구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첫째, 교과용 도서(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텍스트 제작 활동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해외 교육과정 사례에 나타난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텍스트 제작 관련 교육 내용 요소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실제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텍스트 제작 수준은 어떠한가?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텍스트 제작 능력 향상을 위해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성취기준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복합양식 리터러시의 개념 및 구성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이 두 가지 리터러시 역량을 동시에 요하는 디지털 복합양식 의사소통으로서의 프레젠테이션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에 대한 개념 및 다양한 논의를 확인하기 위한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현재 학교에서 디지털 프레젠테이션용 텍스트에 관한 지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관련 성취기준을 개발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타 교과의 교과용 도서 분석을 통해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활동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실제 국어과의 지도 내용을 살펴보았다. 둘째, 해외 교육과정에서 복합양식 관련 표현 활동이 어떻게, 언제부터 성취기준에 진술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셋째, 실제 초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수행 과제를 부여하여 그들의 제작 활동 양상을 관찰하였다. 넷째, 발견한 초등 학습자 수준의 단서를 토대로 학년군별 성취기준(안) 및 그 해설을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중요도 및 수준 적절성에 대해 현장의 초등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초등학교 단계의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프레젠테이션용 텍스트 제작 교육과 관련된 성취기준 세 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제안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타 교과의 교과용 도서에서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활동으로 제시되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국어과 내 교육의 도입 시기와 내용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해외 교육과정에 제시된 것처럼 복합양식적 표현 활동 지도를 1학년부터 시작하고, 더욱 일찍 디지털 매체 활용에 관한 지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 학습자들은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기 위해 적절한 복합양식적 표현 요소를 활용하는 방안과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이해가 필요하다. 넷째, 분석 내용을 토대로 초등학교 단계에서 국어과 교육과정에 디지털 프레젠테이션용 텍스트 제작 교육과 관련된 성취기준(안)을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일부 수정·보완 후 최종 성취기준 세 개를 제안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에 따라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학년과 교과의 교과용 도서 분석을 통해 타 교과의 디지털 기반 표현 활동에 대한 요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교육을 위한 과목 간의 통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분석하지 않은 해외 교육과정의 사례를 살펴보며, 특히 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해외 교육과정 분석뿐만 아니라 해외의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수업 상황에 바로 적용 가능하도록 개발한 학습 자료가 교사들에게 보급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과제를 제시할 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능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국어과의 성취기준 개발을 위해 더욱 다양한 연령대의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합적으로, 초등학교 단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관련 교육 활동에 대한 요구에 비해 그 지도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명시적으로 교육 내용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This study develops achievement standards on digital texts for presentation settings in Korean elementary language education. Despite the popularized notion of ‘digital natives’ introduced in Prensky(2001), lack of appropriate literacy educ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for them is higher than ever. In response, institutions are gathering information on digital literacy so as to create a framework on which they could build an education system. Likewise, this study focuses on collecting evidence to develop standards to enhance stude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particularly on how to create multimodal texts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demand for digital literacy skills for content creation at schools has yet to be me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probe this inconsistency, this study reviewed textbooks and teacher guidebooks in 7 subjects through 3rd~6th grade to figure out how tasks on the creation of digital texts were presented to students, then searched for the appropriate teaching content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reviewed how and when other countries presented the creation of multimodal texts by digital tools in their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also conducted an experiment to figure out students’ current level of digital literacy in content creation. Results revealed that creation of texts using multimodal aspects need to begin in the earlier stage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skills required to use digital tools must also be taught. The 6th grad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show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a digital text, and thus the need for a revision in the language subject became more clear.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multimodal text creation skills in digital literacy, proposing achievement standards as a necessary prerequisit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schools. Building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tandards for each 1st~2nd grade, 3rd~4th grade, 5th~6th grade were developed, and the importance and the adequacy of each were surveyed. The results reveal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gree with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