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0 Download: 0

일반 초등학교에 통합된 자폐범주성장애 학생의 또래괴롭힘 경험 분석

Title
일반 초등학교에 통합된 자폐범주성장애 학생의 또래괴롭힘 경험 분석
Other Titles
Bullying Experience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Inclusive Settings
Authors
박인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Bullying is an abusive act which one or more students repeatedly do to intentionally harm a particular student in the presence of a power imbalance between the bully and the victim (Olweus, 1994).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t can be used as a means to achieve social status or join a peer group. On the other hand,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n regular elementary school are relatively weaker than non-disabled students because of their disability, and more vulnerable to bullying as they show several symptoms that have been identified as risk factors for bullying like deficits in social skills, difficulty with empathy, etc. Nevertheless, in South Korea, there have not been any studies in `which bullying measurement tool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bullying in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bullying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ASD in a variety of ways and provide data necessary for the intervention development. In Study 1, a survey of the bullying experiences among students with ASD was administered. For this study, data obtained from professor Kim Young-Shin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were used: A group of 117 ASD students, a group of 23 externalizing disorder students without ASD, and a group of 12 internalizing disorder students without ASD. In this study, prevalence of bullying (victimization, perpetration, and perpetration-victimization) was calculated in general, as well as by bullying forms (physical, verbal, social exclusion, extortion, forcing) for the ASD students. And χ^2 test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ASD students’ reports and parents’ reports in victimization and perpetration. Also, to find out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bullying experiences according to gender (boys, girls) and grade level (low grade, high grade) in the ASD group, prevalence of bullying was calculated for each group, and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everity of victimization and perpetration between boys and girls, or between low and high grade students. Subsequently, to examine the effects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comorbidity on bullying experiences in the ASD group, prevalence of bullying in the ASD group without comorbidity (n=73), the ASD group with externalizing comorbidity (n=18), and the ASD group with internalizing comorbidity (n=11) was calculated and one-way ANOVA and Welch 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verity of victimization and perpetration among the three groups. Lastly, to find out whether ASD is a risk factor for bullying experience among various disorders, prevalence of bullying was calculated for the ASD group without comorbidity (n=73), the externalizing disorder group without ASD (n=23), and the internalizing disorder group without ASD (n=12), and one-way ANOVA and Welch 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verity of victimization and perpetration among the three groups. In Study 2,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two core symptoms of ASD (‘deficits in social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 ‘restricted, repetitive patterns of behavior, activities, or interests’) and subtypes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hyperactivity, aggression, conduct problems/ anxiety, depression, somatization) on victimization and perpetration. In addition, the same two types of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how multiple risk factors exert a cumulative influence on victimization and perpetration. In this study, 132 ASD students’ data collected by professor Kim Young-shin were used. In Study 3, bullying experiences and coping with victimization were investigated in detail and systematically with 7 ASD students and their mothers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Corbin & Strauss, 2007/2009). This allowed us to gather in-depth information such as emotions and thoughts of ASD students, as well as internal and contextual factors related to bullying experiences, which weren’t examined in studies 1 and 2.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istence of ASD was associated with a high level of victimization, and perpetration-victimization rather than perpetration. In study 1,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morbidity, the likelihood that ASD students experience victimization, or perpetration-victimiz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disorder groups, the other clinical groups with high risk of bullying, but the likelihood that ASD students perpetrates was lower than that of the above groups. Second, individual risk factors for bullying experiences were identified. In Study 1, being female and having internalizing comorbidity had to do with a high level of perpetration, while being male and having externalizing comorbidity were associated with a high level of perpetration-victimization. On the other hand, in study 2, it was found that depressive symptoms are a risk factor for victimization, while aggression is a risk factor for perpetration.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utward ASD symptoms and psychological pain understood by adults can contribute to reduced victimization. In study 2, ‘restricted, repetitive patterns of behavior, activities, or interests’ resulted in reduced victimization, while in study 3, ASD students weren’t able to get teacher’s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due to their mild symptoms. In addition, in study 2, somatic symptoms predicted a decrease in victimization, and in study 3, when the mother saw the somatic symptoms of her ASD child, she either allowed the child to be absent from school or notified the teac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utward symptoms of the disorder may draw the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from the neighbors, and delivering the distress of ASD students to adults may reduce the chances of the exposure to bullying or let the adult cope with it, leading to reduced victimization. Fourth, the impact of cumulative risk factors on bullying experiences was identified. In study 2, cumulative risk factors predicted victimization and perpetration, linearly. This means that the more individual risk factors ASD students have, the higher level of victimization or perpetration they are likely to experience. Fifth, in-depth information was provided on bullying experiences and the process of coping with victimization in ASD students. Specifically, ASD students were found to have experienced severe levels of victimization and suffer subsequent psychosocial problems. While the efforts by parents and teachers to induce peer relationships have resulted in positive peer relationships, insufficient school protection for students with mild ASD symptoms and the school environment in which there is little change in classmates have exacerbated victimization. In addition, attempt of ASD students to pursue social support led to positive results, while aggressive coping led to negative results. In coping of ASD students, not only education and response strategies by parents and teachers, but also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of ASD students were involv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bullying in elementary students with ASD attending regular schools.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in order to reduce bullying experiences in ASD students, individual risk factors should be addressed and efforts need to be made to reduce the number of individual risk factors. In addition, by revealing that contextual factors such as teachers and peer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bullying experiences, it suggested that the responsibility for bullying experiences cannot just rest on ASD students, and environmental changes are critical in reducing bully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ASD students to seek for social support, and in education on coping, efforts to promote generalization, as well as address the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underlying coping are needed. As such, this study explained the mechanism by which ASD students experience bullying, demanded social attention, and provided information that may be essential for developing interventions.;또래괴롭힘은 가해자와 피해자 간 힘의 불균형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한 명, 혹은 여러 명의 학생이 특정 학생에게 의도적으로 해를 가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가하는 부정적인 행위로(Olweus, 1994) 일반학생에게는 사회적 지위를 성취하거나 또래 집단에 소속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으로 일반 초등학교에 통합된 자폐범주성장애를 가진 학생은 장애로 인한 결함으로 일반학생보다 상대적 약자일 수밖에 없고 사회적 기술의 결함, 공감 능력의 부족 등 또래괴롭힘 위험요인으로 밝혀진 여러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또래괴롭힘에 취약하기 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그들을 대상으로 또래괴롭힘 측정도구를 사용한 실태조사조차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자폐학생의 또래괴롭힘 경험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개입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자폐학생의 또래괴롭힘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캘리포니아 대학의 김영신 교수가 수집한 자폐집단 117명, 자폐범주성장애 없이 외현화장애만 가진 외현화장애집단 23명, 자폐범주성장애 없이 내재화장애만 가진 내재화장애집단 1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학생을 대상으로 전체적으로 피해, 가해, 가해-피해율을 산출한 후, 또래괴롭힘 유형별로도 산출하였다. 그리고 자폐학생과 부모 간 피해 및 가해 보고에서 차이가 있는지 χ^2검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자폐집단에서 성별(남, 여)과 학년 수준(저학년, 고학년)이 또래괴롭힘 경험에 차이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고자 집단별로 또래괴롭힘 경험률을 산출하고 두 독립표본 t검정을 하여 남녀 간, 혹은 저학년과 고학년 간 피해 및 가해 정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이어서, 외현화 및 내재화공병장애의 또래괴롭힘 경험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고자 자폐집단 내에서 공병장애가 없는 순수자폐집단(73명), 외현화공병장애를 가진 외현화공병집단(18명), 내재화공병장애를 가진 내재화공병집단(11명)의 또래괴롭힘 경험률을 각각 산출하고 세 집단 간 피해 및 가해 정도에서 차이가 있는지 일원분산분석 및 Welch 검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여러 장애 중에서도 자폐범주성장애가 또래괴롭힘 위험요인인지 알아보기 위해 순수자폐집단(73명), 외현화장애집단(23명), 내재화장애집단(12명)의 또래괴롭힘 경험률을 산출하여 비교하고 피해 및 가해 정도에서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일원분산분석 및 Welch 검정을 하였다. 연구 2에서는 자폐범주성장애 하위 증상(‘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서의 어려움’,‘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패턴의 행동, 활동, 관심’)과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 하위 유형(과잉행동, 공격성, 비행/ 불안, 우울, 신체화)의 피해 경험 및 가해 행동에 대한 개별적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및 위계적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또한, 다중 위험요인이 피해 경험 및 가해 행동에 미치는 누적적 영향력과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분석하기 위해 누적적 위험요인 모형을 적용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및 위계적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모든 분석에서는 김영신 교수가 수집한 132명의 자폐학생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3에서는 7명의 자폐학생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근거이론방법(Corbin & Strauss, 2007/2009)을 통해 자폐학생의 또래괴롭힘 경험과 피해 대처 과정을 자세하고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경험에 대한 자폐학생의 감정과 생각, 경험에 개입된 내적, 맥락적 요인 등 연구 1과 2에서 살펴보지 못한 심층적인 정보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수한 자폐범주성장애의 존재는 높은 수준의 피해 경험과, 가해 행동보다는 가해-피해 경험과 관련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1에서 공병장애의 존재와 상관없이 자폐집단이 피해를 겪거나 피해와 가해를 모두 겪을 가능성은 또래괴롭힘 고위험 임상집단인 외현화 및 내재화장애집단보다 높았으나 가해 행동을 할 가능성은 위 집단보다 낮았다. 둘째, 또래괴롭힘 경험의 개인 내적 위험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 1에서 성별이 여자이고 내재화공병장애를 가진 것은 높은 수준의 가해 행동과, 성별이 남자이고 외현화공병장애를 가진 것은 높은 수준의 가해-피해 경험과 관계가 있었다. 한편, 연구 2에서는 우울 증상은 피해 경험을, 공격성은 가해 행동을 증가시키는 위험요인임이 증명되었다. 셋째, 겉으로 드러나는 자폐 증상과 성인에게 심적 고통이 전달되는 것은 피해 경험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 2에서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패턴의 행동, 활동, 관심’은 피해 경험의 감소를 가져왔고 연구 3에서 자폐학생은 가벼운 증상으로 인해 교사의 이해와 배려를 받지 못하였다. 또한, 연구 2에서 신체화 증상은 피해 경험의 감소를 예측하였고 연구 3에서 어머니는 자폐학생의 신체화 증상을 보고 결석을 허락하거나 교사에게 연락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겉으로 드러나는 자폐 증상은 주변인의 이해와 배려를 끌어냄으로써, 자폐학생의 고통이 성인에게 전달되는 것은 또래괴롭힘에 노출될 기회를 감소시키거나 성인의 대처를 촉진함으로써 피해 경험의 감소를 가져올 가능성을 시사한다. 넷째, 누적적 위험요인이 또래괴롭힘 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혔다. 연구 2에서 누적적 위험요인은 피해 경험 및 가해 행동을 선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는 자폐학생이 많은 수의 개인 내적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을수록 높은 수준의 피해를 경험하거나 가해 행동을 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또래괴롭힘 경험과 피해 대처 과정에 대해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구체적으로 자폐학생은 심각한 수준의 피해와 그로 인한 심리사회적 문제를 경험하고 있었다. 부모와 교사의 또래관계 형성을 위한 노력은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을 가져온 반면, 증상이 가벼운 자폐학생에 대한 부족한 학교의 보호, 반 구성원의 변화가 적은 학교 환경은 피해 경험의 악화를 가져왔다. 또한, 자폐학생이 사용한 사회적 지지 추구하기는 긍정적인 결과로, 공격적 대처하기는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졌다. 자폐학생의 대처에는 부모와 교사의 교육과 대응 방식뿐 아니라 자폐학생의 인지적이고 정서적인 과정도 개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일반학교에 통합된 자폐 초등학생의 또래괴롭힘 경험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또래괴롭힘 경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개인 내적 위험요인을 다루어야 하며, 개인 내적 위험요인의 숫자를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사나 또래와 같은 맥락적 요인도 또래괴롭힘 경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밝힘으로써 또래괴롭힘 경험의 책임을 자폐학생에게만 지울 수 없음을 보여주었고 또래괴롭힘 감소를 위해서는 환경적 변화를 끌어내야 함을 시사하였다. 더불어, 자폐학생에게는 사회적 지지 추구하기를 유도해야 하고 대처 교육에서는 일반화를 촉진하고 대처의 기저에 있는 인지적, 정서적 과정을 다루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자폐학생이 또래괴롭힘을 경험하는 기제를 설명하였고 사회적 관심을 촉구하였으며 개입 개발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