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2 Download: 0

취약계층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와 온라인·오프라인 폭력의 구조적 관계

Title
취약계층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와 온라인·오프라인 폭력의 구조적 관계
Other Titles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Online·Offline Violence of Vulnerable Adolescents
Authors
선미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전종설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계층 청소년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폭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개인과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최근 청소년의 폭력 문제가 저연령화, 강력범죄화, 집단화, 재범률 증가 등으로 심각해지고 있고 최근 오프라인 폭력뿐만 아니라 온라인 폭력 문제 역시 절대적 수치와 질적인 면에서 위험 수위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폭력 문제의 저연령화는 만10세 이상 만14세 미만 촉법소년 폭력 문제의 증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시기는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중학교 시작 시점으로 개인 및 부모, 또래의 환경이 매우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시점이다. 이에 개인 및 부모, 또래 환경의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상황을 탐색해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경제적으로 취약한 청소년의 경우 보호요인이 부재하고 문제행동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회의 보다 많은 관심과 보호가 요청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청소년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폭력에 미치는 개인 및 환경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자 문제행동이론을 기반으로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의 폭력 문제에 나타난 중복적이고 차별적인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국내 대표적인 방과 후 서비스 기관인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으로 경제소득 중위 100%이하, 연령 12-14세인 초등학교 5학년 – 중학교 1학년, 개인 및 법정 보호자의 동의가 획득된 청소년이다. 표집방법은 비확률 표본추출인 유의표집에 따라 경기북부지역의 7개 시군의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분석은 SPSS 21.0과 AMOS 20.0을 이용해 기술 분석,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및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온라인 폭력의 경우 직접효과는 긍정적 양육태도에서 온라인 폭력에 대한 효과가 부적으로 유의하였고, 간접효과는 부정적 양육태도에서 온라인 폭력으로 가는 경로에서 또래동조성을 매개한 경로구조가 정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이는 긍정적 양육태도가 직접적으로 온라인 폭력을 감소시키고, 부정적 양육태도에서 또래동조성을 매개하여 온라인 폭력을 증가시키는 간접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오프라인 폭력의 경우, 부모양육태도의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에서 자기통제력을 매개하여 오프라인 폭력에 미치는 영향이 부적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에서 오프라인 폭력으로 가는 경로에서 또래동조성을 매개한 경로구조는 온라인 폭력과 동일하게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에서 자기통제력을 매개하여 오프라인 폭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에서 또래동조성을 매개하여 오프라인 폭력이 증가하는 간접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즉, 온라인 및 오프라인 폭력의 공통적 구조 경로는 부정적 부모양육태도가 또래동조성을 매개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 폭력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에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청소년 발달에 있어 부모의 영향력뿐만 아니라 또래집단에 대한 영향력이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차별적 구조 경로는 온라인 폭력의 경우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직접적으로 온라인 폭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오프라인 폭력의 경우 긍정적 양육태도에서 자기통제력을 매개하여야만 오프라인 폭력을 감소시키는 간접효과가 나타나 두 공간의 영향요인 간 구조적 경로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폭력에 대한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아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동일한 접근과 대안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이야기하는 동시에 보다 많은 영향요인과 구조들에 대한 성별 간 탐색이 요청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개인 및 환경 내 다양한 영향요인 간 상호작용으로 발생한 문제행동인 온라인 및 오프라인 폭력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 공통적 경로와 차별적 경로를 검증되었다. 이는 취약계층 청소년에게 보다 다채로운 개인 및 환경적 요인의 적용과 검토가 필요하며, 통합적 접근이 요청된다는 당위성을 지지하는 시도라 할 수 있다. 또한, 문제행동이론에서 한 가지 문제행동 발현은 다른 문제행동도 발생할 수 있다는 상호연관성을 내포하고 있는데 이를 현실과 가상공간에 견주어 온라인 및 오프라인 문제행동으로 살펴본 결과 공통적 구조 경로로 말미암아 문제행동은 유사한 과정과 경로를 통해 동시다발적 현상이 두 공간에 동일하게 나타나고 적용될 수 있음을 지지한다. 반면, 차이나는 경로도 확인되어 가상과 현실 공간 적용에 있어 보다 주의 깊게 탐구하고 해석할 필요성을 야기하기도 한다. 결국 온라인과 오프라인 폭력을 연구하고 대응방안을 강구하는 과정에서 공통된 요인과 경로, 메커니즘을 탐색하고 적용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각각 공간의 이질적 차원을 감안하여 특화하고 차별화된 접근과 시도들이 지속적으로 탐구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의 사회화의 기본 테두리인 부모의 역할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에 부모 교육과 훈련에 있어 온라인 및 오프라인 방식이 병행되는 정기적이고 필수적인 훈련 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활성화되어야 한다. 학교 내 기초교육과정 개설과 범정부 추진체계와 지역사회 유관 민간단체들이 협력하는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예방과 치료적 차원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지원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설립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자기통제력 증진에 있어 다양한 기회들이 제공되어야 하는데 청소년의 관심사가 다채로울 뿐 아니라 추구성향이 각각 특색이 있어 보다 개별화된 프로그램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더불어 일상생활에서 자기통제력을 증진하도록 자신을 탐색하고 조망하는 시간들을 확보하고 부모와 친구들 간에 지속적인 피드백과 객관화 할 수 있는 연습의 장도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어린시기 발달되는 자기통제력의 안정성을 고려한다면, 일찍부터 취약계층 청소년의 경우 상대적으로 부모나 가족의 부재와 열악한 가족의 지지 체계를 경험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의 보호 안전망이 확장되어야 한다. 다양한 지역사회 기관들이 보다 가정적이고 안정적인 형태로 운영되어 결국 취약계층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증진을 위한 조기개입이 이뤄지도록 보호체계 기능을 강구해야 한다. 넷째, 청소년 시기는 또래집단의 영향이 강하게 작용하여 현실과 가상공간에서 올바른 또래관계형성과 긍정적 또래문화 정착을 위한 교육과 캠페인이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최근 스마트 기기의 확산성을 고려한다면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스마트 기기를 이용 할 수 있도록 사이버 윤리의식을 강화하는 활동들도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현실공간에서는 또래상담사의 활동이 활성화되고, 가상공간에서는 사이버 멘토 또래 활동가들이 주최가 되는 영역이 확대된다면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는 조언과 상담, 대처방안들이 형성되리라 기대한다. 또한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에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셧다운 역할이나 분쟁소지의 언어나 내용을 트레킹하고 필터링하는 지원체계도 요청되며 특별히 취약계층을 위한 무상보급이나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활로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무엇보다도 취약계층 청소년들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차원의 협력적 방안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경제적 취약함이 개인, 가족, 또래 환경 등의 문제와 결합하여 부정적 결과를 낳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사회 전반의 기관들의 노력과 도움이 요청된다. 취약계층 부모의 근무시간을 고려하여 취약계층 청소년이 보다 부모와 함께하고 당면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이 필요하며, 부모의 부재로 인한 시간과 장소의 안전한 지원과 보호체계가 구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방과후 돌봄 기관들의 형태와 서비스 제공이 체계적으로 보완되어 양적, 질적 강화가 도모되어야 한다. 결국 취약계층 청소년이 사회 내에서 안전하고 건강하게 보호되고 발달할 수 있도록 긍정적 버퍼링 역할과 다체계적 기능을 소화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제도적 장치 보완을 위해 인적, 물적 개선과 지원이 전면적 검토되어야 한다. 결국 온라인 및 오프라인 폭력이 하나의 단위나 체계에서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이 아니라 다각적인 차원의 협력과 연계로 해결 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정부차원과 민간차원의 상호 협조를 통해 복합적으로 현실과 가상공간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In this study, the necessity to simultaneously examine online and offline violence is raised, as the problem of adolescent violence has become serious with younger age, violent crimes, organised crimes and increasing recidivism. Also, online violence problems as well as offline violence recently have reached a dangerous level in terms of absolute numbers and qualitative measures. An increase of violence by young offenders of age between 10 and 14 years can be observed, which is between the senior year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beginning of middle school. During this period, individual factors, parenting influence and peer environment are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As a result, individual, parent, and peer environments need to be explored in a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manner. In the case of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y, more attention and protection from society is required due to prolonged problematic behaviors or absence of protection factors. Thus, in this study, in order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online and offline violence of vulnerable adolescents, the redundant and discriminatory influence factors are explored in the violence of real space and virtual space based on the problem behavior theory, and the differences arising from gender are analyzed. Based on this, the paper provide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adolescents from community children centers, providing after-school service for vulnerable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who have economic income of below 100% of median economic income, with age between 12 and 14, are between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1st grade of middle school, and have provided personal or parental consent. The purposeful sampling, a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was employed, surveying across 40 community children centers in 7 cities and counties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For the analysis, SPSS 21.0 and AMOS 20.0 were used to perform technical analysi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online and offline violence as follows. In the case of online violence, The outcome of the analysis is that the direct effect was negativ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ath from positive parenting attitude to online violence. The indirect effect was statically significant in the path structure bridging peer conformity from the path from negative parenting attitude to online violence. This implies tha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directly reduces online violenc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indirectly increases online violence by bridging peer conformity. In the case of offline violence, there was no direct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offline violence. For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the influence on offline violence by bridging self-control was negatively correlated, and the path structure mediating peer conformity in the path from negative parenting attitude to offline violence was statically significant, equivalent to online violence. This suggests that offline violence can be reduced by mediating self-control in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here is an indirect effect of increasing offline violence by bridging peer conformity i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In other words, the common path structure of online and offline violence is tha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online and offline violence by mediating peer conformity. These paths are the same in virtual and real spaces, and it reflects not only the influence of parents, but also the attitude of adolescents to match oneself with peer groups to adapt to the expanded environment. For the differences in path structure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was found to be an influential factor that can directly reduce online violence, whilst in the case of offline violence,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can only indirectly reduce offline violence by mediating self-control, which reflects a structural difference in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two spaces. In addition, the result of a multi-group analysis of gender for online and offline violence reveal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is implies that the same approach and alternativ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may be possible. Also, more factors and structures which might influence on differences between gender need to be explor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online and offline violence, which are a problematic behavior caused by interaction between various influencing factors in the individual and the environment of the vulnerable adolescents, the common and the discriminatory paths were verified.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apply and review a variety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o vulnerable adolescents, and it can be said to be an attempt to support the justification that requires an integrated approach. In addition, the problematic behavior theory implicates the interrelationship that one problematic behavior may lead to other problematic behaviors. By comparing online and offline problematic behaviors in reality and virtual spaces, whilst it supports the fact that simultaneous multiple problematic behavior can occur in both reality and virtual spaces due to common structural paths, the differences in paths are also identified, causing the need to explore and interpret more carefully in the application of virtual and real spaces. In the end, in the process of studying online and offline violence and devising countermeasures, it is necessary to explore and apply common factors, paths and mechanisms, but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stently apply specialized or differentiated approaches and attempts, considering the disparate dimensions in each space. Second, the role of parents, the basic frame of adolescent social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regular and essential training curriculum, in which online and offline methods are parallel in parent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systematically invigorated. It is necessary to build a policy plan to establish a basic curriculum in schools, implement projects in which government-wide promotion systems and community-related private organizations work together, and support both preventive and therapeutic programs simultaneously. Third, various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to promote self-control, and the interests of adolescents are not only diverse but also have distinct inclinations. Therefore, more individualize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pplied, and distributed. In addition, adequate time should be provided to explore and view oneself to improve self-control in everyday life, and a place provided to receive consistent feedback from parents and friends, and to practice objectification.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the stability of self-control that develops in early childhood,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latively poor system due to the absence of parents and families in the case of adolescents in vulnerable groups, cooperative measures should be devised to ensure both operation of community organizations in a more domestic and stable form, and early intervention in promoting self-control. Fourth, as the influence of peer groups is significant during the adolescence period, there is a need to promote education and conduct campaigns in real and virtual spaces to form the correct peer relationship and establish a positive peer culture. Activities that strengthen cyber-consciousness for healthy use of fast spreading smart devices should also be organized systematically. If the activities of peer counseling are invigorated in the real space, and the domain of cyber mentor peer activists is expanded in the virtual space, it is expected that advice, counseling, and countermeasures can be formed to meet the viewpoint of adolescents. In add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software should be installed on computers or smart devices to initiate shutdowns or to track and filter languages or contents that encourage conflicts. Also, free, or affordable supply should be provided for vulnerable groups. Fifth, above all, it is essential to have a cooperative plan at the linked-community level for adolescents in vulnerable groups. As the economic vulnerability is relatively likely to result in negative consequences in combination with problems of the individual, family, peer environment, etc., efforts and help from organizations across the society are required. Considering the working hours of parents of vulnerable adolescents, strategic measures are needed to help these vulnerable adolescents to spend more time with their parents and solve the problems they face together. A system needs to be devised to provide safe support and protection for time and place during their parents’ absence. To this end, the types and services of after-school care institutions should be systematically improved and strengthen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the end, it should be possible to provide positive buffers and be able to handle multi-system functions so that the vulnerable adolescents can be safely protected and grow healthily in society. To complement such institutional devices, human and material improvement and support should be thoroughly reviewed. After all, in the belief that online and offline violence can be resolved, not through a single unit or system, but through multi-level cooperation and linkage, it is important to actively deal with complex problems in real and virtual spaces through mutual cooperation at the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leve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