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7 Download: 0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타자 이해 교육 방안 연구

Title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타자 이해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s of understanding ‘the other’ in modern novels: Focusing on the “Reading full-text
Authors
김규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全文) 읽기를 중심으로 타자 이해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소설의 제재에 나타난 타자 이해의 역동적이며 다층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소설의 전문을 읽는 것을 시작해야 한다는 의식에서 출발한다. ‘타자 이해’의 교육은 갈수록 중요해지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새롭게 편찬된 ‘한 학기 한 권 읽기’와 교육 방향이 맞닿아있는 ‘전문 읽기’를 중심으로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Ⅱ장에서는 전문 읽기를 통한 타자 이해 교육의 이론적 전제를 살펴보았다. 타자의 철학적 개념과 문학 교육에서의 의의를 정리한 뒤,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타자 이해 교육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그 뒤 전문 읽기 교육의 의의를 살펴본 뒤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전문 읽기의 필요성과 시대적 흐름을 보았다. Ⅲ장에서는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타자 이해’교육 양상 및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9 개정 문학 교과서부터 2011 개정 문학 교과서, 현행 2015 개정 문학 교과서의 타자 이해 관련 단원의 제재와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문학 교과서의 특성상 어떠한 제재를 선정하였는지에 따라 교육의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 제재는 ‘타자와의 관계를 통한 이해 확장’, ‘타자의 삶을 통한 다양성 수용’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학습활동은 ‘타자에 대한 이해’, ‘타자의 상황에 대한 학습자의 내면화’, ‘비판적 생산 활동’의 3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할 수 있었다. 가장 큰 한계점으로는 전문이 아닌 발췌문 수록으로 인하여, 소설의 전문에 드러난 전체적인 맥락 결핍으로 타자 이해 과정이 단선적, 평면적으로 제시된다는 것이었다. 현실에서 이루어지는 타자 이해의 과정은 다층적이고 역동적, 중층적이기 때문에 현대소설 교육을 통한 타자 이해가 현실적인 모습과 맞닿아 있는지 문제 제기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 읽기를 활용한 교육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세 번의 개정 교과서의 타자 이해 관련 단원에 가장 많이 수록된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를 활용하여 방안의 실제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고는 타자 이해 성취기준이 처음 도입된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까지의 문학 교과서 타자 이해 관련 단원의 수록 제재와 학습활동 구현 양상을 통시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변화 양상과 문제점을 파악한 데에 큰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 읽기를 통한 타자 이해 교육 방향을 강구하고자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고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갖는다. 전문 읽기를 통하여 타자 이해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나 현행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 중 한 작품의 방안만을 제시하여, 다른 소설 작품에도 통용할 수 있는 활동 구성까지는 나아가지 못하였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발췌문 읽기와 전문 읽기를 통한 타자 이해 교육을 비교하여 실행하는 것을 하지 못함으로서 교육 효과를 실제로 검증하지 못하였다는 점이 한계로 남는다. 따라서 차후 후속 연구를 통하여 실제성을 검증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ducational method to understanding the other focusing on reading full-text. It begins with the consciousness that “Reading full-text” should be the first step in order to comprehend dynamics and multi-layer aspects of understanding the other. The education of understanding the other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nd its education through reading full text is being highlighted with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as it shares its direction with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which was newly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hapter Ⅱ involves the theoretical premise of understanding ‘the other’ education based on reading full text. It first examines the philosophical definition and implications on literature education in terms of “Other”, and aspects of understanding the other’s education reflected on 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After working on implications of understanding the other education through “Reading Full-text”, it investigates for the need and aspects of “Reading Full-tex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hapter Ⅲ analyzes the topics and learning activities which are contained in the textbook sections that reflects the criteria of understanding the other. We reviewed 『Literature』 textbooks revised in 2009, 2011, and 2015, with the purpose of comprehending aspects and changes of understanding the other. This analysis is meaningful in that topics chosen by 『Literature』 textbooks affect greatly to the direction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topic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extension of understanding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diversity acceptance through lives of others”, while learning activities a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Understanding the other”, “Learners internalization about others’ situation”, “Critical Producing Activity”. This study criticizes unilinear and superficial processes of understanding the other, because textbooks include excerpts rather than full text of literature and learners may perceive “lack of context” as a consequence. Since understanding the other processes in a real world are dynamic and multi-layered, current modern novel education may not correspond to reality. Chapter Ⅳ attempt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mentioned above. It tries to actualize the educational method using “Have to Go Garibong-dong If it rains”, which have been listed in understanding the other-related parts most often. Particularly,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as it investigates changes and problems of understanding the other’s education from beginning to present, by deeply looking into understanding the other related topics and realization processes of learning activities in 『Literature』 textbooks (from revision 2009 to 2015) diachronically. Also, it is meaningful that it tried to seek for better methods to improve understanding others edu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However,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conducted diachronic method and suggested a method for a single work which listed in 『Literature』 textbooks revised in 2015. Therefore, it failed to suggest an alternative topic that can be universally applicable for the understanding the other education. Additionally, it did not compare between two understanding others education methods: method using excerpts and full-text, thereby missing the chance to practically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