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5 Download: 0

성장시 교육 방안 연구

Title
성장시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rowth Poetry Education Plan : Focusing on the type according to the subject and experience in growth poetry
Authors
황희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이 연구는 주체나 대상의 성장을 내용으로 하는 시를 중심으로 학습자의 성장을 도모하는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성장의 내용을 담은 성장시의 개념과 유형을 확립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한 후, 각 유형의 특성을 살려 학습자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성장시 교육 방안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전통적으로 ‘성장’에 대해서는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생각하고 육체와 정신의 미성숙한 단계를 벗어나는 것을 성장이라고 생각하는 견해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성장’을 아동이나 청소년기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 성숙된 자아를 형성해 가는 지속적인 과정으로 규정하고, 그러한 내용을 담은 시들을 포괄적으로 살피면서 성장시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들 가운데 성장의 내용을 담고 있다고 판단되는 작품들을 중심으로 성장시의 유형을 도출하고, 각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특징들을 기반으로 하여 중등교육에서 성장시를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하였다. 문학에서 ‘성장’이란 ‘몸이 자라나고 커짐’이라는 의미에 정신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오히려 정신적 성숙에 더 근접한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성장의 개념에 자아 개념의 내용을 연결하여 새로운 ‘성장’ 개념을 설정하였다. W. James의 자아 이론과 G.W. Allport의 자아 개념에 이론에 의하면, ‘자아’란 ‘한 개인이 자기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모든 것’으로,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자아 개념의 특성은 ‘무한한 사회적 자극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형성된다. 청소년들이 자아 개념을 형성하는 과정은 자아정체성의 정립이며 이렇게 형성된 자아 개념은 상당히 지속력 있는 안정성을 유지한다. 이렇게 안정성을 유지하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 이를 자아 개념을 획득하였다고 본다. 이러한 개념들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성장’을 ‘이전에 인식하지 못하였던 자아 개념을 획득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기에 이때의 자아 개념은 개인적·가족내적·사회적 자아 개념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장시’란 ‘성장의 주체가 이전에 인식하지 못하였던 자신의 개인적·가족내적·사회적 자아 개념을 획득하는 내용을 담은 시’이다. 이 연구에서는 성장의 주체와 경험에 따라 성장시를 ‘자아성찰을 통한 화자의 성장’, ‘가족과 관련된 경험을 통한 화자의 성장’, ‘외부 대상에 대한 고찰을 통한 화자의 성장’, ‘작품 속 대상의 성장을 통한 독자의 성장’으로 유형화하였다. 이 네 가지의 유형에 따라 2015 개정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들 가운데 성장의 내용을 담고 있는 시들을 선별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과서별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성장시를 연계하는 양상, 그리고 학습자로 하여금 그 성취기준에 도달하게 하기 위하여 마련한 학습 활동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성장시의 특성을 활용하여 성장시를 교육 제재로 활용한다면 학습자의 자아 개념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성장시 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학습자의 성장, 즉 자아 개념의 지속적 형성을 목표로 하는 교육 방안으로 ‘자기 자신에 대한 자각을 통한 학습자의 성장’, ‘타인과의 소통을 통한 학습자의 성장’, ‘대상의 성장이 담긴 작품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자의 성장’을 제시하였다. 성장시는 아직 완전하게 정립된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 정리하고 분류하는 성장시의 유형과 그에 따른 교육 방법 또한 여러 모로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시각에서의 성장시 유형화 시도와 교육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향후 성장시 교육 실천에 긍정적 기여를 하게 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is a study on education aimed at the growth of learners centered on poetry that is based on the growth of subjects or objec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established the concept and type of growth poetr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tried to materialize the growth poetry education plan at growth that can contribute to the growth of learners by utilizing each type of characteristic. Traditionally, there were many opinions regarding ‘growth’ as ​​a phenomenon occurring in childhood or adolescence, and thinking that it is growth that escapes the immature stages of the body and mind. However, in this study, ‘growth’ is defined as a continual process of forming a mature self, not a phenomenon limited to children and adolescence, and a new horizon of education in growth is sought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poems containing such contents. Basically, ‘growth’ means ‘physical growth’ in dictionary, while, in the literature, it also includes ‘mental growth’ which is closer to mental maturity. The author established a new concept of ‘growth’ by linking self-concept with mental concept of growth. According to W. James’ ego theory and G.W. Allport’s ego concept theory, ‘ego’ means ‘everything that an individual can say he own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s self-concept is finally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infinite social stimulus.’ The process of adolescent’s self-concept formation helps to establish self-identity. The self-concept formed by this way has a long lasting stability. self-concept is achieved by long lasting stability. The author regarded the acquired self-concept as the growth of adolescence. Based on the above concepts, The author defined ‘growth’ as ‘obtaining the self-concept that was not recognized before.’ Si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adolescent, self-concept is confined to personal, familial, and social aspect. Therefore ‘growth poetry’ is ‘the poem that contains the contents of gaining one's own personal·familial·social self-concept that was not recognized yet.’ Based on the figuration of growth, the author categorized growth poetry into four types. (1) Growth of a poetic narrator through self-reflection, (2) Growth of a poetic narrator through family-related experiences, (3) Growth of a poetic narrator through consideration of external objects, (4) Reader’s growth through the growth of object in works. These are the four categorization of figuration of growth. Based on these four categorized types, the author analyzed growth poetry works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Literature󰡕 Textbooks. In addition, the author analyzed the textbooks to review the activity configuration under the achievement standards. As a result, the author found the possibility of growth poetry educ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poetry, it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material to develop learners' self-concept. The author proposed three educational methods to develope learners’ self-concept. This was based on the types of growth poetry and the self-concept theory of Carl Rogers. (1) Learners’ growth through self-awareness, (2) Learners’ growth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s, (3) Learners’ growth through interaction with grown objects. The author selected the growth poetry materials which is appropriate for each of the three methods. The author devised activity contents and discussed specific ways to educate growth poetry. This study defined the growth poetry concept in the educational view and found the new way of education by reclassifying the types of growth poetry. The author thought this study was meaningful because it encouraged the discussion of growth poetry in modern poetry education. The growth poetry concept was not yet fully established. For this reason, the types of growth poetry and the educational method with this concept may be limited. However, this study classified growth poetry types as new perspective and used the growth poetry educationally. Thus, this study could serve valuable affect in growth poetry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