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6 Download: 0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 교사의 역량 제고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연구

Title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 교사의 역량 제고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education programs for enhancing the competency of Korean language teacher at secondary school in Thailand
Authors
문영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reeducation program for Thai Korean language teachers at Thai secondary school. Most Thai Korean language teachers become teachers by the education program which is part of the Thailand Education Ministry’s policy for training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However, since the policy ended in 2017, they became a Korean language teacher without the education program. Therefore, secondary schools in Thailand need a systematic re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Ⅰ describ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and review about studies for Thai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are abroad. Furthermore, it presents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how is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a current existing education program and reeducation program for Thai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what are the needs of the reeducation program from Thai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s what are the ways to improve the reeducation program? It would like to propose the planning of the re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se questions. Chapter Ⅱ examined the concepts of competencies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analyzing existing education programs, reeducation programs and, identifying the needs of reeducation programs. It also considered the types of teacher education and examples of teacher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in Thailand to design reeducation programs. Thus, the competency of the Thai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set as 10 competencies: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y, Korean linguistics comprehension competency, Korean culture comprehension competency, Korean language instruction comprehension competency, Korean teaching competency, student leading competency, class operation competency, administrative work competency, organization competency, and affective competency. In additio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this study was set up into four: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knowledge of educational contexts. Chapter Ⅲ studi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education at the secondary school in Thailand, the status of Thai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 status of the qualification system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hailand. The study reveals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reeducation program and qualification training at the point when the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program is ended. In chapter Ⅳ, it describes the process of the research, an object of study, research methods, and the method of analysis. Research question 1,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 and reeducation program for Thai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etenc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Competency is about the general job competency, howev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is about teaching competency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among competencies. In terms of teacher education, competency can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in their overall role an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can identify specific needs for the knowledge needed for teaching competency. The study analyzed this into two viewpoints. Research question 2, it analyzed the educational needs of Thai Korean language teachers through the paired t test, Borich’s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find out their needs for re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the needs for operational methods in the reeducation program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t last, the interview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eeds survey. Chapter Ⅴ, the result of tcurrent the education programs and reeducation programs are analyzed. As a result, the education program was the highest in terms of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y, followed by Korean culture comprehension competency, Korean language instruction comprehension competency, Korean teaching competency, and Korean linguistics comprehension competency. Among them,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y, Korean culture comprehension competency, and Korean linguistics comprehension competency are related to knowledge of content. Therefore, the education program for Thai Korean language teachers had a very high proportion of content knowledge among teaching content knowledge.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competency, the competency of reeducation programs were highly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instruction comprehension competency and the Korean culture comprehension competency. At this point, Korean language instruction comprehension competency was mainly about the content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theory, and Korean culture comprehension competency is also related to content knowledge. In other words, the current reeducation programs also had a high proportion of content knowledge. The current reeducation programs were mainly about knowledge of various competencies thus it had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education program. This is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t secondary schools in Thailand. Most Korean language teachers at secondary schools in Thailand are in the beginning stage and the becoming stage with the experience of less than 5 years. Even other teachers could not take an education program.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analyze the needs of competency-based reeducation programs. Chapter Ⅵ described the results of an interview and a needs analysis of reeducation programs for Thai Korean language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competency, there were high demands and priorities for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y, Korean language instruction comprehension competency, and Korean teaching competency. For the following things, organization competency, administrative work competency, and Korean culture comprehension competency. Also, there was a demand for continuous evaluation and mentoring of Thai Korean language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from the interview. Chapter Ⅶ, the reeducation program for Thai Korean language teachers was proposed to job training and qualification training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 The job training is continuously taken the course regardless of the teacher’s teaching career thus, it is divided into induction training programs and in-service training programs. The purpose of Induction training programs is to understand the general basic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explanation of the overall job duty. The results of the needs survey suggested online training on the Korean linguistics comprehension competency and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theory, which were in the first area of the framework act on Korean language, although the priority was low.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proposed offline training on Korean language training, Korean culture comprehension competency, Korean language instruction comprehension competency, Korean teaching competency, organization competency, a special activity planning, class consulting, and so on to improve the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korean teaching competency. At last, the qualification training programs proposed online and offline mixed training for senior professional level teachers and expert level teachers to develop critical reflection and research competency for Korean language classes. Chapter Ⅷ summarizes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describ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nd makes suggestions on subsequent studies. This study has a meaning to propose a reeducation program as the first by collecting various local data to Thai Korean language teachers at secondary school in Thailand.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a basic study to develop a reeducation program for Thai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in Thailand.;본 연구는 태국 중등학교 태국인 한국어 교사 대상의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태국인 한국어 교사는 태국 교육부의 한국어 교사 양성 정책의 일환으로 대부분 양성 과정을 통해 교사가 되었다. 그렇지만 2017년 양성 정책이 종료된 이후에 임용된 교사는 양성 과정 없이 한국어 교사가 되었다. 이에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태국인 한국어 교사에 관한 연구와 국외 한국어 교사 교육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문제 1은 태국인 한국어 교사 대상의 기존 양성 교육과 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은 어떠한지, 연구문제 2는 태국인 한국어 교사의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역량과 운영 방식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지, 연구문제 3은 태국인 한국어 교사 대상의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은 무엇인지를 통해 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기존의 양성 교육과 재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재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 역량과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관한 개념을 살펴보았다. 또한 재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해 교사 교육의 유형과 태국 중등학교 교사 교육의 사례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태국인 한국어 교사의 역량을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 한국어학 이해 역량, 한국 문화 이해 역량, 한국어 교수 방안 이해 역량, 한국어 수업 역량, 학생 지도 역량, 학급 운영 역량, 조직 역량, 정의적 역량 총 10개로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내용 지식, 교수 지식, 내용 교수 지식, 교육 맥락 지식 총 4개로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교육 현황과 태국인 한국어 교사 교육의 현황, 태국 중등학교 교사의 승급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태국인 한국어 교사 양성 교육이 종료된 현시점에서 태국인 한국어 교사의 체계적인 재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과 승급 연수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절차, 연구 대상, 연구 도구 및 분석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태국인 한국어 교사 대상의 기존 양성 교육과 재교육 프로그램을 역량과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역량은 교사의 직무 전반의 수행 능력에 관한 것인 반면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역량 중 수업 역량과 수업 전문성에 초점을 맞춘 개념이다. 교사 교육 측면에서 역량은 교사의 전반적인 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를 파악할 수 있고,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수업 역량에 필요한 지식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관점에서 기존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태국인 한국어 교사의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고자 대응표본 t 검정, Borich의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현직 태국인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역량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운영 방식에 대한 요구는 기술통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요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양성 교육과 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결과를 밝혔다. 그 결과, 양성 교육은 역량의 측면에서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에 관한 내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한국 문화 이해 역량, 한국어 교수 방안 이해 역량, 한국어 수업 역량, 한국어학 이해 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 한국 문화 이해 역량, 한국어학 이해 역량은 내용 지식과 관계된다. 따라서 양성 교육은 교수학적 내용 지식 측면에서 내용 지식의 비중이 매우 높았다. 한편 재교육은 역량의 측면에서 한국어 교수 방안 이해 역량과 한국 문화 이해 역량에 관한 내용이 높게 나타났다. 여기에서 한국어 교수 방안 이해 역량 중 한국어 교수법 이론에 대한 내용 지식이 주를 이루었고, 한국 문화 이해 역량 역시 내용 지식과 관련된다. 즉, 현행 재교육 역시 내용 지식의 비중이 높았다. 현행 재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한 역량에 관한 내용 지식이 주를 이루어 양성 교육과 비슷한 특징을 띄고 있었다. 이는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 교사의 특수성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 교사는 현재 교육 경력 5년 미만의 입문 단계와 형성 단계의 교사가 대부분이고, 일부 교사는 양성 교육을 받지 못하였다. 따라서 역량을 바탕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적절하다. Ⅵ장에서는 태국인 한국어 교사의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와 면담 결과를 기술하였다. 역량에 대한 요구조사 결과,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 한국어 교수 방안 이해 역량, 한국어 수업 역량에 대한 요구도 및 우선순위가 높게 나왔다. 차순위로는 조직 역량, 행정 업무 역량, 한국 문화 이해 역량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면담을 통해 태국인 한국어 교사의 수업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멘토링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Ⅶ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통해, 태국인 한국어 교사 대상 재교육 프로그램을 직무 연수와 승급 연수로 제안하였다. 직무 연수는 교사의 교육 경력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수강할 수 있는 재교육 프로그램으로 입문 교육과 현직 교육으로 구분된다. 입문 교육은 한국어교육 전반의 기초적인 내용 지식의 이해와 직무 전반에 대한 안내를 목적으로 한다. 이에 요구조사 결과에서는 우선순위가 낮았지만 국어기본법의 1영역에 해당하는 한국어학 이해 역량, 한국어 교수법 이론, 한국어 수업 역량 중 교육과정 개발, 수업 설계, 부교재 제작에 대한 내용의 온라인 연수를 제안하였다. 현직 교육은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과 수업 역량 향상을 위해 한국어 연수, 한국 문화 이해 역량, 한국어 교수 방안 이해 역량, 한국어 수업 역량, 조직 역량, 특별 활동 기획, 수업 컨설팅 등에 대한 내용으로 오프라인 연수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승급 연수는 수석 전문교사와 전문가급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어 수업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 능력과 연구 역량을 기르기 위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혼합 연수를 제안하였다. Ⅷ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의의와 한계를 기술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태국 현지의 자료를 다각적으로 수집하여, 태국 중등학교 태국인 한국어 교사 대상 재교육 프로그램을 최초로 제안한 것에 의의가 있다. 태국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태국인 한국어 교사 대상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본 연구가 기초 연구로서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