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교체 습득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교체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2 Korean Acquisition of Case Maker Alternation by L1 Chinese Learners
Authors
박경남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인 제2언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구문에서 나타나는 격조사 교체에 대한 인식과 생산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어에는 동일한 용언을 공유하는 문장들에서 같은 의미를 지닌 명사구에 서로 다른 조사가 대응되는 조사 교체 구문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 조사 교체 구문 가운데 이동동사 구문, 형태적 사동문, 통사적 사동문의 세 구문 유형에서 구문의 형태・통사적 특성에 따라 조사 교체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생산이 어떻게 차이를 보이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혔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진 격조사 교체에 대한 선행연구를 오류분석과 중간언어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 후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교체에 대한 인식이 구문 유형과 숙달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교체에 대한 생산이 구문 유형과 숙달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포착하기 위한 것이었다. Ⅱ장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교체 습득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 격조사의 다양한 분포 가운데 한국어 격조사 교체에 주목하여 이를 관찰할 수 있는 다양한 구문을 살펴보고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구문을 비교 대조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절차를 밝히고, 실험 참여자에 대해 자세히 밝혔다. 그리고 3차례 예비 실험을 거쳐 확정된 자료 수집 도구에 대해 기술하고, 연구 문제에 따른 자료 분석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격조사 교체에 대한 인식은 구문 유형과 숙달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두 독립변인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학습자 상 집단의 경우 수용성 점수에서 구문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형태적 사동문에서만 하 집단보다 높은 수용성 점수를 받았고 나머지 두 구문에서는 하 집단과 수용성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 집단의 경우에는 형태적 사동문의 수용성 점수가 나머지 구문에 대한 수용성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격조사 교체에 대한 생산은 구문 유형과 숙달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두 독립변인 간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학습자 상 집단과 하 집단의 경우 형태적 사동문의 생산 점수가 나머지 구문에 대한 생산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상 집단은 통사적 사동문을 제외한 나머지 구문에서 하 집단보다 높은 생산 점수를 받았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통사적 제약이 많은 형태적 사동문의 격조사교체에 대한 습득이 다른 구문에 비해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숙달도가 격조사 교체 습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격조사 교체가 일어나는 구문의 형태·통사적 특성이 결합하는 특정 격조사 유형보다 학습자들의 격조사 교체 습득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 격조사 연구에 집중되었던 격조사 교체 연구의 범위를 격조사 교체가 나타나는 구문 중심으로 확장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격조사 교체가 일어나는 다양한 구문을 한자리에 모아 구문의 형태・통사적 특성에 따라 조사 교체 현상에 대한 학습자들의 습득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격조사 교체가 나타나는 구문에 대한 명시적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했다는 점이다. 넷째, 한국어와 언어 유형학적으로 다른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모국어를 통해 격조사 교체에 대한 양상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the case marker alternations appearing in diverse constructions for the L1 Chinese speakers who want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In the Korean language, there are a variety of the case marker alternation constructions where different postpositions correspond to the noun phrases having the same meaning in the sentences sharing the same verbs. This study explored how learners' perceptions and productions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types of the marker alternation constructions: moving verb phrase, typological causative phrase, and syntactic causative phrase. This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discusses the need and purpose of the study. Then, preceding studies about the case marker alternations are reviewed in the two respects of error analysis and interlanguage analysis, and thus, the study points are set up. The first study point was set to confirm how L1 Chinese speakers' perception of the case marker alternation would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constructions and linguistic proficiency. The second study point was set to understand how the L1 Chinese speakers' productions of the case marker alternations would vary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types and their linguistic proficiency. The Second Chapter arranges some theoretical ground for the L1 Chinese speakers' acquisition of the case marker alternations. To this end,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case marker alternations of the Korean language to review the constructions in reference to their linguistic levels and thereby, compared the Chinese constructions corresponding to them.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methods of the study in details. Then, the procedures of the experiments are described as well as the participants. Then, the Third Chapter describes the tools used to collect the data through 3 rounds of the preliminary experiment, while the methods of analyzing the data are discussed in details. The Fourth Chapter analyzes the results of the study, which can well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the case marker alternation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s of constructions and the levels of proficiency.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e higher-level sub-groups, there was found no difference in terms of the scores of acceptability. They scored higher in the acceptability than the other sub-groups, however. The lower-level sub-groups scored lower in the formative causative sentences than other ones.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of the case marker alternation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types and subjects' level of proficiency. Furthermore,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interacted significantly with each other. In case of lower-level sub-groups, the score of the production of the causative construction was lower in other types of the constructions. And the higher-level sub-group scored higher in all types of constructions than the lower-level sub-groups. The Fifth Chapter sums up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hereupon,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would feel more difficult for the case markers of the formative causative sentences than other constructions.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proficiency functioned as variable in the acquisition of the case marker alternations. Thir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s with the case marker alternated would affect the learners more than those of the individual case markers.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e following terms; First, it expands the scope of the preceding case marker studies into the phrase-unit constructions. Secondly, it has confirmed how much learners would differ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and productions of the case marker alternations. Thirdly, it raises the need to educate the learners on the constructions with the case markers alternated. Fourthly, it has sampled L1 Chinnese speakers to examine how they reacted to the case marker altern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