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희원-
dc.contributor.author김현지-
dc.creator김현지-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0:27Z-
dc.date.available2020-08-03T16:30:27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81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10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33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각국의 국가지도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공공 외교를 활발히 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소셜 미디어 상에서의 국가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상호작용성을 낮은 정도와 높은 정도로 구분하고 국가지도자가 전달하는 메시지의 주제를 소프트 파워 주제와 하드 파워 주제로 구분하여 조직-공중 관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과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직-공중 관계성이 국가 명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더해, 소셜 미디어 상호작용성과 조직-공중 관계성 사이에서 미디어 심리학 연구에서 중요한 변인으로 여겨지는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소셜 미디어 상호작용성과 국가 명성의 관계에 있어 조직-공중 관계성의 매개효과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과 설문조사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를 선정하여 그녀의 트위터를 실험 시나리오로 조작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관심도가 높으며 일반 공중과 가장 밀접하게 관려된 이슈인 '코로나19' 이슈를 중심으로 소프트 파워 주제와 하드 파워 주제를 분류하여 실험 설계를 하였다. 본 연구는 2 (메시지 주제: 소프트 파워 주제 vs. 하드 파워 주제) X 2 (SNS 상호작용성: 고 vs. 저) 실험 설계로 이루어졌다. 각 변인은 집단 간(between-subjects) 설계로 총 4개의 실험 집단이 만들어졌다. 본 조사에서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231명의 응답자들은 4개의 실험 집단에 성별 및 연령별로 동일하게 할당되었다. 가설 및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 SPSS의 빈도 분석, 이원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성이 조직-공중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지만, 메시지 주제(소프트 파워 주제, 하드 파워 주제)가 조직-공중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상호작용성과 메시지 주제의 조직-공중 관계성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조직-공중 관계성이 국가 명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게 나타났고, 소셜 미디어 상호작용성과 조직-공중 관계성 사이에서 조절 변수인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이 미치는 영향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셜 미디어 상호작용성과 국가 명성의 관계에서 조직-공중 관계성의 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소셜 미디어 상호작용성과 소프트 파워, 하드 파워, 그리고 미디어 심리학 개념인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을 PR적 관점에 입각하여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제공할 뿐 아니라 국가지도자들의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공공 외교 활동에도 다양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effects of national leaders on social media, noting that national leaders in each country are actively engaged in public diplomacy using social media today. Through experiments and surveys, the present study examaine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interactivity and the topics of messages delivered by national leaders on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 by separating the interactivity into low and high degree, and by separating the topics of messages into soft power topics and hard power topics. The present study also examines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 on national reputatation. In addition,this study examines both the moderation effects of parasocial interaction between social media interactivity and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 between social media interactivity and national reputation. This study used experimental and survey research methods, selected German Chancellor Angela Merkel, and manipulate her Twitter into an experimental scenario. Also, the experiment was designed by classifying soft and hard power topics around the issue of 'COVID-19', which is currently the most important and most closely related issue in the world. The present study utilizes a 2(topics of messages: soft power topics/hard power topics) X 2(high interactivity/low interactivity)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In this survey, 231 respondents of adult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20 were assigned the same by gender and age to four experimental groups. This study utilizes frequency and reliability analysis, Two-way ANOVA, and regression of SPSS to examine hypothesis and research quest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interactivity on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hips was significant, but the influence of message topics (soft power topics, hard power topics) on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hips was not significant. Nevertheless, interaction effects on social media interactivity with the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hip of the message subject was significant.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 on national reputation was significant, and parasocial interaction have the moderation effects between social media interactivity and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 Also,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 have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social media interactivity and national reputation. This study provides not only academic insights into PR research using social media interactivity, soft power, hard power, and parasocial interation which is the concept of media psychology, but also provides various practical implications for public diplomacy using social media by national lead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Ⅱ. 이론적 배경 5 A. 국가 명성과 공공 외교 5 1. 국가 명성 5 2. 국가 명성과 공공 외교 7 B.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성 9 1. 소셜 미디어의 정의 9 2.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성 11 C. 조직-공중 관계성,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성과 국가 명성 14 1. 조직-공중 관계성의 개념과 구성 요인 14 2. 조직-공중 관계성과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성의 관련성 16 3. 조직-공중 관계성과 국가 명성의 관련성 19 D. 소프트 파워와 조직-공중 관계성 및 국가 명성과의 관련성 21 1. 하드 파워와 소프트 파워 21 2. 하드 파워, 소프트 파워와 조직-공중 관계성 22 3. 하드 파워, 소프트 파워와 국가 명성 23 E. 의사사회적 상호작용(Parasocial Interaction) 24 1.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의 정의 24 2. 의사사회적 상호작용과 조직-공중 관계성의 관련성 26 Ⅲ. 연구 모형 및 연구 문제 27 A. 연구 모형 27 B.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27 Ⅳ. 연구방법 31 A. 연구 방법, 조사 절차 및 설문 구성 31 1. 연구 대상 31 2. 실험 설계 및 자극물 31 3. 사전 조작 점검 34 B. 조작적 정의 및 척도 35 1. 국가 명성 35 2. 조직-공중 관계성 37 3.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38 4. 통제변인 39 C. 조사도구의 타당도 41 1. 국가 명성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42 2. 조직-공중 관계성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43 Ⅴ. 연구 결과 분석 45 A. 기초분석 결과 45 1. 인구통계학적 특성 45 2. 시나리오의 조작 점검 46 3. 주요 변인의 특성 47 B. 가설 및 연구 문제 검증 결과 49 1. 국가지도자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성 및 소프트 파워 주제, 하드 파워 주제에 따른 조직-공중 관계성의 차이 검증 49 2. 조직-공중 관계성과 국가 명성의 관계 검증 51 3. 상호작용성과 조직-공중 관계성의 관계에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검증 52 4. 상호작용성과 국가 명성 사이에서 조직-공중 관계성의 매개효과 검증 55 Ⅵ. 결론 및 논의 65 A.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65 B.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제언 69 참고문헌 74 부록1. A유형 설문지 88 부록2. B유형 설문지 95 부록3. C유형 설문지 96 부록4. D유형 설문지 98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002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국가지도자 트위터의 상호작용성과 소프트 파워 주제가 조직-공중 관계성과 국가 명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의 조절 효과-
dc.title.translatedInfluence of National Leader Twitter's Interactivity and Soft Power topics of messages on Organizational-Public Relations and National Reputation: Moderation effects of parasocial interaction-
dc.format.pagex,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