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한·중 관계절 대조 연구

Title
한·중 관계절 대조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relative clause in Korean and Chinese
Authors
LIANG, LIZHU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한·중 관계절 대조 연구가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고 주로 관계절 번역과 연관되거나 관형절에 포함된 일부로서 대조돼왔다. 한·중 관계절에 대한 기준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관계절의 여러 층위에서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문법적 관계에 다른 관계화 양상에서 책략 사용 문제와 문법적 관계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문제가 존재하고 이중주어문 및 화제문과 주술술어문 등 구문에 따른 관계화 양상을 다루지 않은 점도 있다. 종래 기존 연구들이 통사적 층위에만 관심을 기울여서 관계절의 의미·화용적인 해석을 소홀히 대조한다. 의미적인 해석과 관련되어 관계절 시간 대조가 아직 미진한 부분이 많고 관계절 형성과 해석을 화용적으로 설명해야 되는 현상도 소홀해왔다. 따라서 선행 연구에 이런 문제점과 부족함을 보완할 목적에 두어 다음과 같이 논의를 진행한다. 본고에 다섯 장으로 나뉘며 Ⅰ장에서는 우선 연구 목적을 제시하며 한·중 각각의 관계절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그간 양국과 관련된 관계절 논의가 어떠한 성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겠다. 다음에 관계절 대조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존재하는 문제점,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 점, 전혀 다루지 못한 점 등을 찾아내서 논의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관계절의 정의와 범위 그리고 형성 책략을 다루고 나서 관계화되는 요소가 한국어의 어떠한 문법적 관계인지, 해당되는 중국어의 문법적 관계가 무엇인지를 살펴보하면서 관계절을 대조하기 위해 이론적인 배경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관계절의 형태적·통사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기본적으로 관계절 구조의 특징 및 관계절 표지 그리고 핵어 명사와 제한절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조하였다. 다음은 기준 연구에서 관계화되는 요소의 문법적 관계에 따른 관계화 양상을 다시 검토하면서 이중주어문, 화제문등 구문에 따른 관계화 양상을 보완하여 대조하였다. Ⅳ에서는 관계절의 의미적·화용적인 해석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우선 의미적인 해석과 관련되어 관계절 시간을 해석할 때 참조 기준이 무엇인지를 대조하면서 과거 의미와 비과거 의미로 나뉘어 이들 의미를 표현하는 수단을 대조하였다. 다음으로 화용적인 해석과 관련되어 핵어 명사에 따라 한 요소를 생략하여 관계절 적합성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 제한절에서 문법적인 관계를 가지지 않는 핵어 명사가 관계절을 이루는 형상, 형태가 같은 관계절이 문맥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는 현상을 살펴보면서 대조하였다. 여러 층위에서 관계절을 대조함으로써 기준 연구에서 미진한 점을 보완하면서 문제점을 해결하여 한·중 관계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주제어: 관계절, 관계절 표지, 관계화, 관계절의 의미·화용적 해석, 관계절 시제, 한·중 대조;There are not many comparative studies on relative clauses in Korean and Chinese, mainly on the translation of relative clauses or the comparison of relative clauses as part of adnominal clauses.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relative clauses in Korea and China, we find the problem points of the relative clauses at different levels. For relativization based on grammatical relations, There are problems with the use of strategy and inadequate consideration of grammatical relationships, and there is also no mention of the relativization of Korean double-subject sentences, topicalization construction, and Chinese S-P predicate sentences. For a long time, Comparative studies on relative clauses in Korean and Chinese have only focused on the level of syntactic. There are also many shortcomings in the tense contrast of relative clauses, and as for the 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relative clause, The part that is explained by semantico·pragmatic interpretation is negligently compared. Therefore, To supplement these problems and deficiencies of the previous research, we will do the following steps. In the first chapter, First of all, the research purpose is putting forward, and then the related research results is analyzed through the observation of previous researches of relative clauses. By analyzing the comparative study of relative clauses, this paper points out the existing problems and deficiencies and clarifies the research direction. In the second chapter, The definition, scope, and formation strategy of the relative clause is presented. Here will clarify the elements of the relativization in Korean grammar relationship are what, the corresponding Chinese grammar are what and Provi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comparative relative clause. In the third chapter, The relative clause with the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morpho·syntactic are discussed. Firstly, the characteristics and marks of the relative clau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d noun and the restricting clause are analyzed and compared. Relativization based on grammatical relations to the discussion of the existing research is reviewed, and the relativization of Korean double-subject sentences, topicalization construction, and Chinese S-P predicate sentences are analyzed and compared. In the fourth chapter, we will focus on a reference frame of explaining the time of a relative clause and means of expression of past and non-past meanings to be compared. semantico·pragmatic interpretation of the relative clause will be the next. The phenomenon that there is differences in the correctness of a relative clause after omitting an element according to the head noun, and that a relative clause can be formed by a head noun that has no grammatical relationship of a restricting clause, morphological relative clauses with different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the context will be compared. Through the comparison of different levels of the relative clause, we can solve and supplement the problems and deficiencies in previous research and fi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relative clauses. Key words: relative clause, relative clause marker, relativization, semantico·pragmatic interpretation, relative clause tense, Korean and Chinese comparis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