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의 수행성 연구

Title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의 수행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formativity of Ethical Subjects in Lee Chung-Joon's Novel
Authors
문다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의 주체 개념을 중심으로, 통시적 관점에서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의 수행적 실천의 변모 양상과 그것이 드러내는 주체의 윤리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시기별로 각 작품에 나타나는 윤리적 주체의 수행성을 하위주체와 기존 주체의 측면에서 동시에 고찰하였다. 우선, 하위주체와 기존 주체가 각각 어떠한 방식으로 윤리적 실천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하위주체의 윤리적 실천이 서술화되는 방식을 언어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기존 주체와 관련된 서사가 어떠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청준 소설의 윤리적 주체의 수행성이 시기별로 변화의 과정을 거쳐, 주체와 타자의 수평적 연대를 바탕으로 한 비폭력적 공존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Ⅱ장에서는 이청준 초기 소설을 대상으로, 새로운 인정의 윤리를 모색하는 윤리적 주체의 수행성을 살펴보았다. 초기 소설은 타자의 타자성을 동일화하려는 기존의 타자 인정 행위를 비판하면서, 주체의 재의미화를 통해 새로운 타자 인정 윤리를 모색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A절에서는 하위주체의 우울증적 일탈과 기존 주체의 타자의 타자성 인식에 주목하였다. B절에서는 하위주체의 수행적 모순과 관련된 찬탈의 언어와, 기존 주체의 반성과 관련된 탈중심의 서사를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이청준 중기 소설을 대상으로, 차이의 윤리를 모색하는 윤리적 주체의 수행성을 살펴보았다. 중기 소설은 특수규범을 배제하고 억압하는 추상적 보편규범을 비판하면서, 보편과 특수 사이에 선 주체의 경계 가로지르기를 통해 주체와 타자의 대화적 관계를 마련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A절에서는 하위주체의 메시아적 소리와 기존 주체의 타자에게 말 걸기에 주목하였다. B절에서는 메시아적 소리와 관련된 하위주체의 호소의 언어와, 타자의 구체적인 차이를 특수의 맥락에서 사유하는 것과 관련된 기존 주체의 번역의 서사를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이청준 후기 소설을 대상으로, 박탈의 윤리를 모색하는 윤리적 주체의 수행성을 살펴보았다. 후기 소설은 규범이 자행하는 박탈의 폭력을 비판하면서, 타자와의 공감적 연대를 바탕으로 주체와 타자의 비폭력적 공존 가능성을 마련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A절에서는 하위주체의 인간화된 얼굴 되찾기와 기존 주체의 타자와의 감성적 공유에 주목하였다. B절에서는 애도 불가능성에 맞서는 하위주체의 애도의 언어와, 지배담론의 왜곡된 재현에 저항하는 기존 주체의 비재현적 재현의 서사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확보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먼저 폭력적 주체와 타자라는 이분법적 도식에 의한 접근, 그리고 도시 계열과 고향 계열로 이원화한 접근이 갖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에 따르면, 이청준 소설은 폭력적 보편규범에 기반한 자기동일적 주체와 이러한 주체에 의해 억압당하는 타자라는 고착화된 이분법적 구조에 안주하지 않는다. 곧 이청준 소설에는 근원적인 타자연관성에 대한 인식을 통해 타자를 배려하는 주체로 거듭나려는 기존 주체와, 규범의 맥락을 균열시켜 타자를 위한 자리를 마련하는 하위주체로 그 시선이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이청준 소설은 보편규범과 그 규범에서 배제된 특수규범 사이의 관계를 문제 삼는다. 즉 이청준 소설은 비인간적인 보편규범을 비판하고 망각된 세계로서의 특수규범을 지향하면서, 이 특수규범으로 보편규범을 재정식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도시 계열과 고향 계열이라는 두 계열은 이청준 소설의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하나의 계열체에 해당한다. 따라서 두 계열에 대한 동시적 점검이 이루어져야 이청준 소설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가 가능할 것이라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 이청준 소설에서 윤리적 주체로서의 기존 주체와 하위주체는 초기 소설에서부터 핵심 인물로 제시되며, 작품 전개 과정에서 각 시기별로 그 특질을 달리한다고 보았다. 이청준 소설은 초기에서 후기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인정의 윤리, 차이의 윤리, 그리고 박탈의 윤리로 이어지고, 이에 따라 하위주체의 저항성과 기존 주체의 윤리적 반성이 점점 심화되고 확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주목할 점은 보편규범에 대한 비판도 출판, 문학, 병원, 문화 등의 제도에서 출발해, 말과 글이라는 구체적인 언술의 영역으로 나아가고, 후기에 이르러 권력 집단 이념으로 심화 확장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수규범에 대한 지향 역시 줄광대 규범과 매잡이 규범 등에서 출발해, 남도 소리로 표상되는 규범을 거쳐, 신화와 전설과 제의로 심화 확장되고 있다. 즉 이청준 소설은 보편규범의 비인간적 측면을 비판하고 이로부터 배제되는 특수규범을 지향하되, 새로운 특수규범을 찾기 위해 ‘고독한 순례’를 끊임없이 떠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논문은 각 시기별로 윤리적 주체의 공통된 특질은 무엇이며 그 변별점은 무엇인가를 고찰함으로써, 통시적 관점에서 이청준 소설의 전개과정을 체계적이면서도 총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Focusing on the conceptualization of subject by Judith Butler, this paper aimed to reveal the transformational aspects of the ethical subjects’ performative practices and the subjects’ ethics revealed in Lee Cheong-jun's novels from a holistic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e paper examined the performativity of the ethical subjects appearing in each work by perio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subaltern and existing subjects simultaneously. First, the study analyzed how the subalterns and existing subjects performed ethical practices respectively. Next, it explored the way in which ethical practices of the subaltern were described with an emphasis on language, and identified the structure of narratives related to the existing subjects. Thus,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performativity of the ethical subjects of Lee Cheong-jun's novels went through a process of changes by period and ultimately proceeded to non-violent coexistence based on the horizontal solidarity of the subjects and the others. Chapter II, which covered the early novels of Lee Cheong-jun, examined the performativity of the ethical subjects seeking new ethics of recognition. His early novels showed the process of exploring a new ethics for recognition of others through re-determining the meanings of the subjects while criticizing the existing act of recognition of others to equalize the other's otherness. Section A paid attention to the subalterns’melancholic deviations and perception of the other's otherness. Section B analyzed the language of usurpation associated with the subalterns’ performative contradictions and the decentralized narratives related to the reflection of the existing subjects. Chapter III, which covered the mid-term novels of Lee Cheong-jun, examined the performativity of the ethical subjects seeking the ethics of differences. His medium-term novels criticized the abstract universal norms that excluded and suppressed particular norms and shed light on the subjects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the universal and the particular, show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nter-convers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jects and the others. Section A emphasized the subalterns’messianic voices and the existing subjects’ speaking to the others. Section B analyzed the subalterns’ language of appeal associated with the messianic voices and the narratives of the translation of the existing subjects which were related to the specific differences of others in a specific context. Chapter IV, which covered later novels of Lee Cheong-jun examined the performativity of the ethical subjects seeking the ethics of deprivation. His later novels criticized the violence of deprivation by the norms and dealt wit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possibility of non-violent coexistence between the subjects and the others in a basis of empathy with the others. Section A highlighted re-discovery the humanized faces of the subalterns and the existing subjects’ emotional sharing with the other subjects. Section B analyzed the narratives of the subalterns’ language of mourning against the impossibility of mourning and the narratives of non-representation of the existing subjects that resisted the distorted representat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According to this paper, Lee Cheong-jun's novels did not settle for a fixed dichotomous structure comprised of self-identical subjects based on violent universal norms and the others oppressed by the subjects. In other words, all of his works expanded the gaze to the existing subjects, who began to be reborn as subjects who considered the others through recognition of the fundamental other-connectedness and the subalterns that deconstructed the context of the norms and provided a place for the others. In this process, Lee Cheong-jun's novels question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al norms and particular norms excluded from them,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redefining the universal norms by the particular norms. That is, Lee Cheong-jun's novels criticized the inhuman universal norms and pursued the particular norms as the forgotten series, thereby attempting to re-establish the universal norms embedded in the special norm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two seriess, 'city' and 'hometown', belonged to an entity of series that revealed the theme of his novels. However, the works of the 'city' series had more intensified critiques for the universal norms, while the works of the 'hometown' series had more strengthened orientation toward the specific norms. Therefore, this paper has an implication to suggest that simultaneous explorations of the two series would enable a deeper understanding of Lee Cheong-jun's novels. Next, in Lee Cheong-jun's novels, the existing subjects and subalterns as ethical subjects were presented as key figures from the early novels, and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each period in the development of the works. From the early novels to the later novels, his novels led to the ethics of recognition, the ethics of difference, and the ethics of deprivation, and accordingly, the expansion and intensification of the resistance of the subalterns and the ethical reflection of the existing subjects were shown. Another notable point is that his criticism of the universal norms also started from institutions such as publishing, literature, hospitals, and culture, and advanced into the concrete realm of language of words and writing, and later became expanded and intensified with the power group ideology. The orientation for the specific norms also began from the ideas of rope-clown and eagle catcher norms, and went through the norms of Nam-do sounds, and then became expanded and intensified with myths, legends, and rituals. In other words, while Lee Cheong-jun's novels criticized the inhumane aspects of the universal norms and pursued the specific norms excluded from them, they continued 'lonely pilgrimage' to find new specific norms. By examining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ethical subjects and their distinctions for each period, this paper contributed to systematical and comprehensive explanation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Lee Cheong-jun's novels from a holistic perspec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