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7 Download: 0

Program Annotation

Title
Program Annotation
Authors
권은소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현
Abstract
본 논문은 2017년 6월 13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오르간 전공 권은소의 석사과정 졸업 연주회에서 발표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이며, 연주법은 김영의홀 슈케(Karl Schuke) 오르간에서의 연주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연주 프로그램은 니콜라우스 브룬스(Nicolaus Bruhns, 1665-1697)의 「대 전주곡 e단조(Praeludium e-Moll “groß”)」,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전주곡과 푸가 C장조(Praeludium und Fuge C-Dur), BWV 547」, 막스 레거(Max Reger, 1873-1916)의 「서주와 파사칼리아 d단조(Introduktion und Passacaglia d-Moll)」, 샤를 마리 비도르(Charles-Marie Widor, 1844-1937)의 「오르간 심포니 제5번(Symphonie No. 5), Op. 42」 중에서 1악장 알레그로 비바체(Allegro vivace), 4악장 아다지오(Adagio), 5악장 토카타(Toccata), 마르셀 뒤프레(Marcel Dupré, 1886-1971)의 「교향시 에보케이션(Évocation, Poème Symphonique), Op. 37」 중에서 3악장 알레그로 데치소(Allegro deciso)로 구성되었다. 17세기 북독일 오르간 악파 작곡가인 브룬스의 「대 전주곡 e단조」는 환상적 양식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었으며, 반음계 진행, 동음 반복, 짜임새와 박자 변화가 사용되었다. 이 곡은 바로크 시대 연주법에 따라 논 레가토(non legato)로 연주하며, 프린치팔(Prinzipal) 계열의 플레노(Pleno) 소리를 바탕으로 각 부분의 특징에 맞춰 여러 가지 음색조합을 사용한다. 18세기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독일 작곡가 바흐의 「전주곡과 푸가 C장조, BWV 547」은 홀수박자의 전주곡과 짝수박자의 푸가로 구성되었다. 전주곡은 네 개의 모티브(motive)가 결합하며 반복하는 것이 특징적이고, 푸가에는 주제의 전위, 주제 길이의 확장, 전조, 스트레토(stretto) 기법이 사용되었다. 음색은 플레노 소리를 바탕으로 하고, 푸가에서는 페달의 등장을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리드(Reed) 음색도 함께 사용한다. 19세기 독일 낭만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 레거의「서주와 파사칼리아 d단조」는 웅장한 서주와 총 12번 변주되는 파사칼리아로 이루어져 있다. 복잡한 화성, 반음계 진행, 비화성음, 리듬과 짜임새의 변화 등을 통해 변주되며 파사칼리아 전체에 걸쳐 셈여림이 확장된다. 이 곡은 낭만 시대 연주법인 레가토로 연주하며, 파사칼리아의 음색은 부드럽고 작은 소리부터 시작하여 음악의 진행에 따라 점차적으로 높은 음역대의 음색, 리드 음색, 믹스추어 음색을 추가하여 조합한다. 19세기 프랑스 낭만 시대 작곡가 샤를 마리 비도르의 「오르간 심포니 제5번, Op. 42」중 1악장은 주제와 다섯 번의 변주, 코다로 구성되어 있다. 변주에 따라 리듬과 짜임새 변화, 주제 선율의 축소와 확장 등이 나타난다. 4악장은 짧은 악장 내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전조가 특징적이다. 5악장은 16분음표 분산화음 패시지(passage)와 8분음표 화음 진행의 결합이 악장 전체에 걸쳐 나타난다. 이 곡을 연주할 때, 1악장은 변주 별로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을 다르게 연주하며, 음색 또한 악보에 지시된 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조합을 사용한다. 4악장은 끊임없이 레가토로 연주하며, 부드러운 8′과 4′음색을 사용한다. 5악장은 스타카토로 연주하며, 화려한 곡의 분위기에 맞게 투티(tutti) 소리를 사용하고 스웰 박스(swell box)로 악상 변화를 표현한다. 20세기 프랑스의 작곡가 마르셀 뒤프레의 「교향시 에보케이션, Op. 37」의 3악장은 론도형식의 곡이다. 빠른 패시지의 화음 진행, 반음계 진행, 두꺼운 짜임새를 가진 색채감 있는 화성이 음악을 긴박하게 끌어간다. 음색조합은 악보의 지시를 참고하여 배음 음색을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색채감 있는 분위기를 만들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바로크, 낭만, 현대에 걸친 다섯 작곡가의 음악적 특징, 작품 개요, 연주법과 음색조합을 살펴봄으로써 각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organ pieces performed by Eunso Kwon in her graduation recital held at Kim Young Ui Hall, Ewha Womans University, on the 13th of June, 2017. Repertories of the recital are Praeludium e-Moll(groß) by Nicholas Bruhns(1665-1697), Praeudium und Fuge C-Dur, BWV 547 by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Introduktion und Passacaglia d-Moll by Max Reger(1873-1916), the third movement of Évocation, Poème Symphonique, Op. 37 by Marcel Dupré(1886-1971), the first, fourth, and fifth movements of Symphonie No. 5, Op. 42 by Charles-Marie Widor(1844-1937). Bruhns’s Praeludium in e-Moll reveals the fantastic style commonly used by North German organ music composers in the 17th century. It consists of ‘free section(toccata) - 1st fugue - free section(toccata) - 2nd fugue – free section(toccata)’, where toccata sections are contrasting with fugal sections. The toccata features cromaticism, broken chords, various beat changes and rhythm changes. J. S. Bach composed Praeludium et Fuga in C-Dur, BWV 547 in Leipzig when he composed his representative organ pieces. The prelude dominates the music by repeating and developing the four rhythm motives. The fugue has a very short theme and diverse fugue techniques are employed including modulations, stretto, inversion, argumentation of the subject. M. Reger, a composer representing the German Romantic period in the late 19th century, studied J. S. Bach’s works and reflected their stylistic influences in his work. Introduktion und Passacaglia d-Moll is not an exception. the theme of Passacaglia is very similar to that of J. S. Bach’s. After the majestic introduction, Passacaglia begins very tenderly, and is followed 12 Variations on the pedal theme. Variations progress to the climax, displaying complex and sudden harmonic changes, chromaticism, non-harmonic tones including appoggiaturas, rhythmic and texture changes. It also involves expamsion of the dynamics. Symphonie No. 5, Op. 42 is representative piece of Charles Marie Widor. The first movement, Allegro Vivace, consists of the theme, with five variations and Coda. Various rhythmic, textural changes, and the diminution of the theme happen along with the variation. The fourth movement, Adagio, is characterized by a series of frequent modulation within a short movement. The fifth movement, Toccata, is a very fast and impressive piece, combining the broken chord passage in 16th notes and chord progression in 8th notes. Marcel Dupre composed Évocation, Poème Symphonique, Op. 37 in memory of his father's death. The third movement, Allegro Deciso, is in a rondo form, consisting of 'A-B-A-C-A-D-B-A-Coda'. Fast chord progression, colorful harmonics with thick texture and dissonant passages are prevalent throughout the whole piece and builed up the tension, as music proceeds 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