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4 Download: 0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을 적용한 중등 음악 생활화 영역 중심 지도방안 연구

Title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을 적용한 중등 음악 생활화 영역 중심 지도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usic Instruction of Middle School‘Music daily Life’ Area with Design-Thinking
Authors
박소망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중등 음악 생활화 영역을 분석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학교에서 학습한 음악적 지식과 느낀 경험을 자신들의 삶으로까지 이어나가 ‘음악을 즐기는 태도’함양에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자인 씽킹을 적용하여 프로젝트 형 수업으로 설계하였으며, 학습의 주제는 ‘청중만족 음악 콘서트 기획: 나의 인생 콘서트’로 계획하였다. 디자인 씽킹 단계별로 학습활동을 구성하여 총 10차시의 지도방안을 개발하였으며, 음악교육 전문가 3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수정한 후, 현장교사 3인에게 현장적합성 검증을 의뢰하여 내용을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공감단계는 음악을 매개로 하여 유의미한 공감을 경험하기 위한 단계이다. 음악 콘서트에 대한 경험을 이야기함으로써 음악적 경험을 공유하여 학습자 간의 공감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였고, 음악과 산업에 관련된 기사를 분석하여 음악 문화의 생산자 및 소비자 입장에 공감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이 활동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기획하고자 하는 음악 콘서트 테마를 선정하고, 효과적인 기획을 위해 어떤 요구 사항들이 있는지 파악하도록 하였다. 문제정의 단계는 공감단계에서 파악한 요구 사항들을 토대로 콘서트를 기획하기 위해 ‘어떤 문제들을 해결해야 할 것인지’ 선정하는 단계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페르소나’를 설정하여 공감단계에서 파악한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정리하고,‘HMW(How Might We)’활동을 통해 요구사항에 대한 질문들을 만들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정의하여 음악 콘서트 기획 방향을 설정하도록 하였다. 아이디어 도출 단계는 ‘어떻게 콘서트를 기획할 것인지’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창의적 사고 기법들을 활용하여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가 일어나도록 설계하였다. ‘마인드 맵’을 활용하여 음악 콘서트 기획 시 필요한 요소들을 학습하고, ‘브레인스토밍’ 활동을 통해 문제정의 단계에서 선정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제시한다. 프로토타입 단계는 앞서 제시한 아이디어들을 시각화 하는 단계이다. 스토리보드를 활용하여 ‘음악 콘서트를 위한 홍보, 음악 콘서트 내용, 음악 콘서트 후’3컷의 장면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폼보드, 수수깡, 우드락, 3D 펜 등을 활용하여 음악 콘서트 무대를 제작하여 음악적 활동에 대한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끼도록 하였다. 테스트 단계는 본 수업의 마지막 단계로써 학습자들이 결과물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고 피드백 하여 프로토타입을 공유하는 시간으로 계획하였다. ‘ 총 10차시의 지도방안을 교사 3인에게 현장 적합성 검증을 의뢰한 결과, 장점으로는 기존의 음악과 생활화 영역 활동과 차별화 된 점, 다방면의 역량을 요구하는 융합적 활동으로 구성된 점, 새로운 학습 도구의 도입 등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학습에 대한 긍정적 동기부여를 유발할 수 있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반면, 보완할 점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보았을 때, 다소 난이도가 높은 활동들이 있으며 많은 기법들의 활용으로 학습자들의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는 점, 매 차시 블록타임 구성의 실현 가능여부에 대한 의견과 마지막 차시 수업의 결과물 발표 및 공유방식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제도적 장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중등 음악 생활화 영역 수업이 교육 현장에서 활용되고 학습자들로 하여금 보다 실질적이고 유의미한 음악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eas of secondary ‘music daily life’area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and to implement effective guidance measures for students to foster an "attitude to enjoy music" by leading them to their lives through the mus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they have learned in school. To this end, it was designed as a project-type class by applying design thinking, and the theme of the study was planned as 'Planning a Music Concert for Audience Satisfaction: My Life Concert'. Learning activities were organized in each design thinking stage to develop a total of 10 classes of guidance plan, and after three music education experts verified and revised the content feasibility, three field teachers were aske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field to analyze the contents and draw conclusions. ‘Empathize’ is a step to experience meaningful empathy through the music. By talking about experiences in music concerts, musical experiences were shared so that empathy among learners could occur, and articles related to music and industry were analyzed to empathize with the producers and consumers of music culture. Based on this activity, learners were asked to select a music concert theme that they wanted to plan and to figure out what requirements they had for effective planning. ‘Define ’ is a stage to select “what problems to solve” to plan the concert based on the requirements identified in the ‘Empathize’stage. To do this effectively, ‘Persona’was set up to specifically summarize the requirements identified in the ‘Empathize’ stage. In addition, ‘How Might We’activities required questions about requirements to be created to define problems to be solved. ‘Ideate’ is a stage that presents a solution to ‘how to plan a concert’, designed to reach the stimulation of converge and diverge thinking with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Use the‘Mind Map’ to learn what elements are needed to plan a music concert, and then find out what factors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Define’ stage. Next, through ‘brainstorming’, ideas are freely presented to solve selected problems at the ‘Define’stage. ‘Prototype’stage is visualization of the ideas presented earlier. Using the storyboard, the three-cut scenes of ‘promotion for music concerts, contents of music concerts, and after music concerts’ were drawn, and the learners were asked to produce a stage for music concerts planned by the learners. Form bards, sorghum sticks, 3D pens were used to make and modify easily. ‘Test’is the last step in this class, which is planned to be a time for learners to present and give feedback on the results and share prototypes. As a result of asking three teachers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10th class guidance plan, it was commented that, they wer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music activities on ‘music daily life’, composed of convergent activities that require multidisciplinary capabilities, and the introduction of new learning tools could be applied to the site by arousing students’interest and motivating them for learning. However, when it was set up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ere some rather difficult activities, and opinions on whether the block-time composition could be realized at every hour and the use of many techniques can cause confusion for learners.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that more efficient institutional mechanisms were needed in the presentation and sharing of result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music instruction of middle school‘music daily Life’ area with design-thinking will be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learn more practical and meaningful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