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0 Download: 0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한 대중음악 창작수업 지도방안 연구

Title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한 대중음악 창작수업 지도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 Plan for Popular Music Composition Classes Using Process-oriented Assessment
Authors
정나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 methodology for popular music composition classes using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 to verify its suitability in an actual classroom.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process of popular music composition, and the methods and types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were explored. Then, a project-based teaching plan of 9 session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criteria prescribed i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he suitability of the plan was verified by six practicing teacher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 project-based class was designed, where students create the melody and accompaniment for 8 bars of the first verse and 8 bars of the chorus over 9 sessions, using compositional devices and the basic instrumental configuration used in popular music composition. By utilizing a variety of assessment methods that are suitable for the learning outcome, compositional activities and assessment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in each session. The first session consisted of learning the chord progression that was to be used throughout the project, and it was designed to figure out the individual level of students through different assessments. This allowed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the students’ levels when forming groups. The main creative activity was to first complete the melody of the first verse and the chorus and then using the instrument application to create the bass and guitar accompaniment parts to the specified drum beat, over the second to the seventh sessions. In each session, students were provided with activity sheets and assessment sheets to help their composition process. In the eighth session, students were asked to rehearse for their final performance using smartphones and to film this rehearsal process in a V-log format. The finished compositions were presented and performed in the ninth session, where students wrote a final portfolio reflection based on the activity sheets they completed throughout the project Next, upon requesting the verif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the completed teaching plan to practicing teachers, it was evaluated that this plan could be applied with value in actual practice, as the teaching plan and assessment tools were systematically designed upon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s, achievement criteria of the curriculum and the subsequent learning outcomes,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music, and various process-oriented assessment methods. It was particularly evaluated positively that the project class was designed with process-oriented assessments to not only write the melody but also the bass and guitar accompaniment using the drumbeat. However, it wa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class sessions should be increased and the amount of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activities in each session should be decreased, considering the different situations that can occur in the actual classroom that may cause delays. Also, it was suggested that greater detail is necessary when the teacher is providing feedback during class as a form of assessment activity, and to avoid writing peer assessment sheets during the presentation because there is a high chance that students will not be able to fully enjoy the presentation itself.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music can be proactively used in music classes, and the application of various assessment methods in the learning process can foster systematic popular music composition classes that can achieve the music education goals of the current 2015 curriculum.;본 연구의 목적은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한 대중음악 창작수업 지도 방안을 개발하고, 그에 대한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대중음악 창작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과정 중심 평가의 특징 및 유형을 살펴보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에 따라 총 9차시의 수업 지도안을 개발한 후 현장교사 6인에게 현장 적합성을 검증받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대중음악 창작에 사용되는 작곡 기법 및 기본 악기 구성을 활용하여 9차시 동안 1절 8마디와 후렴 8마디의 선율 및 반주를 창작하는 프로젝트 수업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매 차시 학습 목표에 적합한 과정 중심 평가 방법을 다양하게 활용함으로써 수업 중 학습 활동과 평가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1차시에는 프로젝트 전반에 활용되는 머니코드 진행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교사가 다양한 평가를 실시하여 학생들 개개인의 수준을 파악한 후 학생들의 수준 차이를 고려한 모둠을 구성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주요 창작 활동은 1절 및 후렴의 선율을 먼저 완성한 후, 정해진 드럼 비트 위에 악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베이스 반주와 기타 반주를 추가하는 순서로 2~7차시에 걸쳐 진행된다. 이때, 매 차시마다 창작 활동을 도울 수 있는 활동지와 평가지를 제시하였다. 8차시에는 최종 발표를 위한 스마트폰 합주 연습을 진행하면서 브이로그 형식으로 연습 과정을 촬영하도록 하였다. 9차시에는 최종 발표가 진행되며, 그동안 쌓아온 활동지를 바탕으로 최종 포트폴리오 성찰지를 작성하게 된다. 둘째, 지도안 개발을 완료한 후 현장 교사에게 현장 적합성 검증을 의뢰한 결과, 개발된 지도안과 평가 도구가 학생들의 흥미,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그에 따른 학습 목표, 대중음악의 특징, 과정 중심 평가의 목적 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설계됨에 따라 실제 현장에 가치 있게 적용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선율뿐만 아니라 드럼 비트를 활용하여 베이스와 기타 반주까지 창작하는 과정을 과정 중심 평가가 적용된 하나의 프로젝트 수업으로 구성하였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으로 인한 시간 지연을 고려했을 때 수업 차시를 늘리고 한 차시 당 교수·학습 및 평가 활동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또한, 교사가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평가 활동을 더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발표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동료평가지 작성은 학생들이 발표 자체를 온전히 즐기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에 지양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중음악의 특징을 학교 음악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학습 과정에 다양한 평가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현 2015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음악 교육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체계적인 대중음악 창작 수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