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4 Download: 0

부동산충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동산충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Real Estate Shock on Consumption : Evidence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uthors
이새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은영
Abstract
생애주기가설에 따르면, 합리적 소비자는 공식·비공식적인 방법을 통해 소비 평탄화(consumption smoothing)를 위한 소비보험(consumption insurance)을 원할 것이다. 따라서 완전소비보험가설(full consumption insurance hypothesis)이 시사하는 것처럼 완전한 시장 및 보험 하에서 가구의 소비는 거시적 충격과 위험에만 영향을 받고 가구의 고유충격에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12차년도(2009년)부터 21차년도(2018년)까지의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구의 소득 및 자산 중 부동산과 관련된 변수의 고유충격이 소비 배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완전소비보험가설을 검정하였다. 이는 한국 가구가 다른 국가의 가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부동산자산 비중을 갖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분석 대상을 가구주 나이(65세)를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완전소비보험가설을 추가 검정하였다. 그룹별로 부동산 관련 변수의 변화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부동산자산의 비중이 높아진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4개의 소비 유형(비내구재 관련 소비, 서비스 관련 소비, 총 내구재 관련 소비, 기타 소비)을 기준으로 15개의 소비지출로 세분화하여 완전소비보험가설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한 검정 결과 부동산소득 수준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소비 유형의 경우 소비 수준 변화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부동산자산 시가 수준 변화는 추정 계수가 유의한 경우 소비 수준 변화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부동산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가구가 더 적극적으로 자산축적을 늘리고 단기적으로는 소비 수준을 감소시켰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가구주 나이를 기준으로 나누어 검정한 결과에 따르면, 연령대가 높은 그룹의 부동산소득 수준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더 다양한 소비 유형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검정 결과 노인층 그룹의 부동산자산 시가 수준 변화는 전체 분석 가구 및 젊은 계층에서의 추정 결과와 달리 소비 수준 변화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층의 경우 은퇴로 인해 총소득에서 부동산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더불어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와 같이 노인층이 젊은 계층에 비하여 더 뚜렷한 자산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According to full consumption insurance hypothesis, individual consumption responds to aggregate shock but not to idiosyncratic shock. Thus, this study tests the implications of full consumption insurance by estimating the effect of real estate shock on consumption. This study involves regressing the change in household consumption onto the change in aggregate consumption and other right-hand-side variables such as the change in household income from immovables and change in real estate prices by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from 2009 to 2018.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om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al estate income and the consumption of Korea’s households, while also having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real estate prices and consumption. Second, real estate income affects more various types of consumption for older householders. Also, unlike younger households,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al estate prices and the consumption among the age group 65 and above.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heterogeneity in the wealth effect among age catego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