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7 Download: 0

중학생의 수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Title
중학생의 수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ment in Classes
Authors
박승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Students participate in a variety of learning that takes place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s the main agent in education and as the demander and learner of education. Active engagement in classes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students’ academic success, but also in their post-school life in society (Wang & Eccles, 2012). Student engagement is defined as active and voluntary process that goes beyond physically attending classes to include psychological processes such as attention, effort, and interest in their learning(Furrer & Skinner, 2003). Student engagement is divided into sub-factors such as behavioral engagement, affective engagement, and cognitive engagement (Handelsman et al., 2005). Unlike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 major changes in their learning environment, such as burden of courses, and stress on their studies, which leads to decrease in engagement. Decrease in engagement can lead to withdrawal(Archambault et al., 2009; Shin et al., 2013; Kim et al., 2018; Lim, 2018b). The importance of student engagement in classes is emphasized as a major achievement of school education and as an important predictor of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problems with their school life such as withdrawal from school and adaptation to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ables aff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ment in classes. By looking at what variable affect students’ engagement in classes, this study sought ways to make changes so that students could learn as active participants rather than remain passive learner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ment in classes different depending on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Second, what are the variables that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ment in classes? In this study, the data from the 5th year student and parent survey of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which investigated in 2016 was used for the analysis. SPSS Statistics 22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F-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 First, a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between groups in understanding of classes, concentration of classes,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assignments, and participation in preview and review, which are sub-factors of engagement in classes. Seco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that affected class engagement and its sub-facto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analysis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ment in classes, the difference of engagement in classes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all variables except gender among individual variables. In the case of family and school variables, the difference in engagement in class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depending on all the variables set. Second,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analysis on the sub-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ment in classes are as follows. In understanding of classes, the difference in class understanding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all variables except gender among individual variables and all variables among family variables. Among school variables, all variables except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activiti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classes. In the cases of concentration of classes, the difference of concentration of classes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all variables except gender among individual variables. And in the case of family and school variables,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of classes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all variables set. For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assignments, all variables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assignments. In participation in preview and review,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individual and family variables. Among school variables, only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activitie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in preview and review.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riables aff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ment in classes wit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as follows. Among individual variables, genders(girls), self-study time, cell phone usage time, self-efficacy, intrinsic control motivation, career maturity, academic achieve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engagement in classes. Among family variables, attachment to parents, and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engagement in classes. Among school variables, students’ awareness of teachers’ ability to teach, student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y, class leader experience had significant influe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riables affecting sub-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ment in classes are as follows.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understanding of classes include self-study time, self-efficacy, intrinsic control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Family variables affecting understanding of classes include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and school variable affecting understanding of classes include students’ awareness of teachers’ ability to teach, and class leader experienc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concentration of classes are self-study time, cell phone usage time, self-efficacy, intrinsic control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individual variables,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among family variables and students’ awareness of teachers’ ability to teach, and class leader experience among school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assignments include gender(girls), self-study time, cell phone usage time, self-efficacy, intrinsic control motivation, career maturity, and academic achievement. Family variables affecting participation in classes include attachment to parents and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and school variable affecting participation in classes include students’ awareness of teachers’ ability to teach,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class leader experienc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participation in preview and review are self-study time, cell phone usage time, self-efficacy, intrinsic control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among individual variables, attachment to parents and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among family variables and teachers' morale and enthusiasm, students’ awareness of teachers’ ability to teach, relationships with friends, the degree of student autonomy, class leader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activities among school variable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 and school support is needed to increase the time students study on their own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engagement in classes. Schools should use learner-oriented teaching methods to enable students to actively engage in classes and various activity programs should be supported. At home, rather than pursuing excessive private education, parents should help students to study on their own. Second, support from homes and schools is need to enhanc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tudents’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Academic and emotional support from parents and teachers is need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class and feel confident in their assignment. Teachers and parents should encourage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set goals for their studies so that they can feel pleasure in studying, interest in subjects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from challenges, rather than studying by extrinsic motives. Third, various programs should be supported to enhance teachers' teaching expertise.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teacher's ability to teach showe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school factors on student engagement and all the sub-factors of student engagement. In order for a student to recognize a teacher's teaching ability positively, teachers should have a lot of knowledge of subjects, teach students to understand, constantly make sure that students understand and follow well in class, and teach them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levels. Various kind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nd training support are required as well as training for content knowledge specialization. Fourth, education on the proper use of mobile phones by teenagers is needed and excessive use of mobile phones should be prevented. Excessive use of mobile phones not only lowers students' engagement in classes but also negatively affects school life and mental health. Education on cyber culture, etiquette in cyberspace, etc. and education on proper use of mobile phones to positively utilize students' learning should be provided to give students the right perception of cell phone use and Internet etiquette. Finally, consideration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participation is needed. The study found that the higher the academic performance, the higher the engagement in classes.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y show that academic performance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 engagement, and that academic achievement and student engagement are interrelated that have a static influence on each other. So academic achievement and student engagement are interpreted as static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existing data of GEPS were used for the analys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he study do not include all the sub-factors of engagement of classes such as behavioral, affective and cognitive engagement based on prior study, and only focused on students’ behavioral engagement, such as understanding of classes, concentration of classes,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assignments and participation in preview and review. Also,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for 8th graders in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it is difficult to secure representation for all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Lastly, because the study was analyzed using only a single year of data, it is limited that it was not able to describe how the student's engagement in classes changes over time and what the variables are affecting this change. If such limitations are complemented in the follow-up studies, it is expected to draw more meaningful conclusions about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tudents’ engagement in classes. ;학생은 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주체이자, 교육의 수요자 및 학습자로서 학교 안팎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학습에 실질적으로 참여한다. 학교에서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는 학생의 학업적 성공으로 이어지며, 학교생활 이후의 사회생활에 있어서도 유능한 일원으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Wang & Eccles, 2012). 수업 참여는 단순히 물리적으로 수업에 참여한다는 의미를 넘어 학습 과정에서 주의력, 노력, 관심과 같은 심리적 과정까지 포함하는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과정으로 정의되고 있으며(Furrer & Skinner, 2003), 행동적 참여, 정서적 참여, 인지적 참여와 같은 하위요인으로 구분된다(Handelsman et al, 2005). 중학생의 경우, 초등학생 때와 달리 학습 환경이 크게 변하면서 수업에 대한 부담감,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등과 같은 어려움을 겪으며, 수업 참여가 감소한다. 또한, 이는 학업 중단으로 이어지기도 한다(Archambault et al., 2009; 신현숙 외, 2013; 김진 외, 2018; 임효진 2018b). 학생의 수업 참여는 학교 교육의 주요한 성과이며 학생들의 중도탈락 및 학교적응과 같은 학교생활에 관한 문제와 학업성취도에 대한 중요한 예측요인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수업 참여에 어떠한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수동적인 학습자에서 적극적인 참여자로 학습할 수 있는 변화를 이끌어낼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생의 수업 참여는 독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생의 수업 참여에는 어떠한 변인이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의 크기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수업 참여에 미치는 변인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2016년에 조사한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5차년도 학생, 학부모 설문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통계 분석과 자료 처리에서는 SPSS Statistics 22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투입한 변인의 기본적인 정보를 살펴보기 위한 기술통계, 종속변인의 하위요인을 구분하기 위한 요인분석,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상관분석, t, F 검정을 통한 차이 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먼저 개인, 가정, 학교 변인에 따른 수업 참여와 수업 참여의 하위요인인 수업 이해도, 수업 집중도, 수업시간 및 과제 참여도, 예·복습 참여도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수업 참여와 수업 이해도, 수업 집중도, 수업시간 및 과제 참여도, 예·복습 참여도에 미치는 개인, 가정, 학교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중학생의 수업 참여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개인 변인인 성별을 제외한 모든 독립변인에 따른 집단 사이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 참여의 하위요인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 수업 이해도의 경우, 개인 변인인 성별을 제외한 모든 독립변인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수업 집중도 역시 개인 변인인 성별을 제외한 모든 독립변인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시간 및 과제 참여도의 경우, 모든 독립변인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예·복습 참여도의 경우, 학교 변인인 방과후학교 참여 여부를 제외한 모든 독립변인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수업 참여에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에 대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수업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개인 변인은 성별,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 휴대전화 사용시간, 자기효능감, 내재적 조절 동기, 진로 성숙도, 학업성취도, 가정 변인은 부모와의 애착 관계, 사교육 참여, 학교 변인은 교사의 수업능력 인식, 교사와의 관계, 동아리 활동 정도, 학급 내 임원 활동 여부가 있었다. 넷째, 수업 참여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에 대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업 이해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 중 개인 변인은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 자기효능감, 내재적 조절 동기, 학업성취도가 있었다.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가정 변인은 사교육 참여, 학교 변인은 교사의 수업능력 인식, 학급 내 임원 활동 여부가 있었다. 수업 집중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은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 휴대전화 사용시간, 자기효능감, 내재적 조절 동기, 학업성취도가 있었으며, 영향을 주는 가정 변인으로는 사교육 참여, 학교 변인으로는 교사의 수업능력 인식, 학급 내 임원 활동 여부가 있었다. 수업시간 및 과제 참여도에 미치는 독립변인의 영향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영향을 주는 개인 변인으로는 성별,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 휴대전화 사용시간, 자기효능감, 내재적 조절 동기, 진로 성숙도, 학업성취도, 가정 변인으로는 부모와의 애착 관계, 사교육 참여, 학교 변인으로는 교사의 수업능력 인식, 교우와의 관계, 학급 내 임원 활동 여부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예·복습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 중 개인 변인은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 휴대전화 사용시간, 자기효능감, 내재적 조절 동기, 진로 성숙도, 가정 변인은 부모와의 애착 관계, 사교육 참여, 학교 변인은 교사의 사기 및 열의, 교사의 수업능력 인식, 교우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생 자치 정도, 학급 내 임원 활동 여부, 방과후학교 참여 여부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학생의 수업 참여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이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을 늘리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학교에서는 학생이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법을 활용해야 하며,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지원해야 한다. 가정에서도 과도한 사교육을 지향하기보다 학생이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둘째, 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재적 조절 동기와 같은 심리적인 요인을 높이기 위한 가정과 학교의 지원이 필요하다. 학생이 수업의 내용을 잘 이해하고 과제 수행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부모와 교사의 학업적, 정서적 지원이 필요하며, 외적인 동기에 의해 공부하기보다 공부에 즐거움, 교과에 대한 흥미, 도전으로부터 오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학업에 대한 목표 설정을 우선하여 격려해야 한다. 셋째,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지원되어야 한다. 교사의 수업능력 인식은 수업 참여와 수업 참여의 모든 하위요인에 학교 변인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 학생이 교사의 수업능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 교사가 교과목에 대한 지식이 많아야 하고, 학생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가르치고, 학생이 수업 중에 잘 이해하고 따라오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하며, 학생 개개인의 수준에 맞게 가르쳐야 한다. 또한, 내용 지식 전문화를 위한 연수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및 연수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청소년의 올바른 휴대전화 사용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학생의 수업 참여도 저하, 학교생활과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과도한 휴대전화 사용을 예방해야 한다. 학생들에게 휴대전화 사용과 인터넷 예절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사이버 문화, 사이버 공간에서의 예절 등에 대한 교육과 휴대전화를 학습에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올바른 사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업성취도와 수업 참여의 상호 관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수업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업성취도가 수업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학업성취도와 수업 참여는 서로에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상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업성취도와 수업 참여는 서로에게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해석된다.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에서 조사한 기존의 데이터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문항의 제한으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 참여와 같은 수업 참여의 하위요인들을 모두 포함하지 못하였고, 수업 이해도, 수업 집중도, 수업시간 및 과제 참여도, 예·복습 참여도와 같은 학생의 행동적 참여를 중심으로만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2학년만을 대상으로 실시되어 한국의 모든 중학생에 대한 대표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단년도의 데이터만을 활용하여 분석하여 연구대상 학생들의 수업 참여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설명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추후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중학생의 수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해 더욱 유의미한 결론과 시사점이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