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무용전공자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탈진 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Title
무용전공자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탈진 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Burnout of Dance Major
Authors
이아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dance major have with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burnout, and self-compassion, as well 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situations wher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leads to the burnout. The study was performed by the survey, originally conducted on 323 dance majo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ith 21 of the improper questionnaires excluded and 302 considered valuable.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naire using SPSS Statistics 25.0 statistical program for demographic analysis, and carried ou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elf-oriented perfectionism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self-compassion and burnout, so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has been shown to be meaningless. Second, sub-factors of self-compassion and self-compassion are found to play a partial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urnout. In conclusion, the role of partial mediation of self-compassion in a situation where perfectionism leads to the burnout proves that burnout degree can vary depending to the individual's mindset. As a result of this, it is explained that self-compassion is an important personal internal variable that allows dancers to continue their stable dance activities by reducing the degree of burnout.;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자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탈진, 자기자비의 관계를 알아보고 무용전공자의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탈진으로 이어지는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 인천 소재의 무용전공자 총 323명을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표집,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불성실하게 설문에 임했다고 판단되는 21명의 설문을 제외하여 302부의 설문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 t 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자기자비와 탈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은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자기자비의 다섯 하위요인인 자기친절, 자기판단, 보편적인간성, 고립, 마음챙김 전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무용수에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완벽주의 성향이 탈진으로 이어지는 상황에서 자기자비의 부분매개 역할이 검증되어 탈진은 개인의 마음가짐에 따라 그 정도를 달리 할 수 있다는 점이 증명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자기자비는 탈진의 정도를 줄여 무용수들이 안정적인 무용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개인의 내적 변인임을 설명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