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미연-
dc.contributor.author왕성희-
dc.creator왕성희-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0:14Z-
dc.date.available2020-08-03T16:30:14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83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33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24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소외계층을 위한 과학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농어촌 지역 학생들의 과학학습 경험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소외계층 대상 과학교육프로그램인 S 프로젝트에 참여한 농어촌 지역 4개 학교 12명의 학생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4개 학교 별로 사례분석 하고자 하였다. 학생 면담 전사본과 S 프로젝트 지원서, 활동 수기, 교사 면담 전사본, 활동 보고서 등이 자료로 수집되었고, 수집된 자료들을 반복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4개 학교의 소외계층 대상 과학교육 프로그램 과학학습 경험을 사례분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외계층 대상 과학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농어촌 지역 학생들은 과학 학습자로서 긍정적인 특성이 있었지만 과학학습에서 소외되어 있었다. 학생들은 S 프로젝트에 적극적이고 호기심이 강한 태도로 참여할 만큼 과학 학습자로서의 긍정적인 특성들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학생들은 지리적 환경, 가정적 환경, 학교과학의 환경 등 복합적인 사회문화적 맥락에 의해 이를 발현시키지 못하는 교육환경에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과학학습 경험에는 교사와 학생들로 구성된 사제동행 팀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는 학생들을 사회문화적 맥락을 바탕으로 이해하며 학습의 방향을 잡아갔다. 그로 인해 4개 학교의 과학학습 경험의 양상은 모두 다양했지만 공통적으로 모두에게 필요한 과학학습을 경험이 이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교사 및 또래 간의 신뢰관계는 학생들의 과학학습 참여를 촉진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과학 공동체 구성원들과의 만남을 통해 과학 공동체에 참여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과학전문가와의 만남, 연구 공동체의 참여를 통해 자신을 과학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인식하며, 과학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의 태도와 관점을 배워갔다. 넷째, 학생들은 자신과 과학과의 관계를 개선 및 발전시켜가며 과학 학습자로서 성장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자신이 어려워하던 과학 또는 연구에 대해 자신감을 보였고, 자신만의 과학의 의미를 확장해나갔으며, 미래의 과학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자신을 그려나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학습에서 소외된 학생들이 자신만의 과학학습의 의미를 찾으며 과학학습자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과학학습의 기회가 제공 될 필요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udents' scientific learning experience in rural areas who participate in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the underprivileged. For this study, a case study was made, and 12 stud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from four schools involved in the "S Project," a science education program targeted towards the underprivileged. Various data were collected, such as the student interview transcripts and S Project applications, activity notes, teacher interview transcripts, etc. The collected data were repeatedly compared and investigated. A case study was conducted based upon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the underprivileged and scientific learning experience of the four school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of the rural area, who participated in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the underprivileged, demonstrated positive characteristics as students but were alienated from scientific learning due to the diverse and complex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Second, a team of teacher and stude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scientific learning experience. The teachers comprehended the students based o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set the direction of learning. As a result, all four schools had various aspects of the necessary scientific learning experience. Additionally, the trust between the teachers and peers promoted student participation. Third, the students were participating in the scientific community by meeting the members of that community. This participation allowed the students to learn the attitude and perspective as part of the scientific community and help them recognize themselves and feel involved as a scientific community member. Fourth, the students were growing as a science student by improving and developing their relationship with science. Fortunately, the students demonstrated confidence in science and research that they once found complicated and expanded their definition of science. They were constructing their own identity as a future scientific community member. Overall, this study provides the necessity to offer diverse opportunities for scientific learning with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at way, underprivileged students can find their meaning of scientific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A. 농어촌 지역의 교육환경 4 B.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과학학습 6 Ⅲ. 연구 방법 9 A. 연구 대상 9 1. S 프로젝트 9 2. 연구 참여자 선정 10 3. 연구 대상 학교 및 학생의 특성 10 4. S 프로젝트 활동 내용 16 B. 연구 절차 20 C. 자료 수집 21 D. 자료 분석 23 Ⅳ. 연구 결과 24 A. 과학과 친해지기 24 1. "암기를 안 하면 깜지를 하시죠." 24 2. "직접 이해하면서 느끼는 게 더 좋았죠." 26 3. "못해도 괜찮아 괜찮아 하면서 하니까 28 4. 과학이 "더 보이는 것 같아요" 29 B. 자신감 있는 학습자로 성장하기 31 1. 애들이"자신감이 없는 거 에요" 31 2. "엄청 큰 과학관이 있다는 것" 33 3. "본받아야 할 점" 35 4. 할 수 있는 과학 39 C. 관심사를 주도하기 40 1. "관심이 없는 건 잘 안 들어요." 40 2. "제가 주도적으로 했어요." 43 3. "이게 진짜 생물학자의 연구구나" 46 D. 과학자로 성장하기 47 1. "탈D지역을 해보려고요" 47 2. 과학자처럼"연구를 할 수 있다는 게 좋았어요." 50 3. "다른 분들도 되게 많았거든요신기 했어요" 53 4. "진짜 과학 공부" 55 Ⅴ. 논의 및 결론 57 참고문헌 60 부록 63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369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소외계층을 위한 과학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농어촌 지역 학생들의 과학학습 경험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the Scientific Learning Experience of Students in Rural Areas who Participate in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the Underprivileged-
dc.format.pageⅴ.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