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관형사절 해석 연구

Title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관형사절 해석 연구
Authors
김시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중의적인 관계관형사절 해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관계관형사절에 후행하는 두 개의 명사구가 ‘의’를 매개로 존재할 때 관계관형사절 내 핵어명사구에 대한 의미 해석에서 중의성이 발생한다. 가령, 관계절이 후행하는 명사구 중 첫 번째 명사구를 수식하는 낮은 부착 해석 혹은 두 번째 명사구를 수식하는 높은 부착 해석은 그 의미가 다르게 나타난다. 제2언어 학습자의 경우 관계관형사절 내 핵어명사구의 구조적 유형에 따라 의미 해석상에 편향성이 나타나는데 이는 학습자들이 문장 처리에 의존하는 언어가 모어인지 또는 목표어인지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관계관형사절의 의미 해석은 핵어명사구의 문법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하거나 언어사용자의 처리 기제에 따른 의미 해석상의 차이를 살핀 연구,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관계관형사절의 의미적 해석을 핵어명사구의 문법 관계에 따라 살펴본 가설에는 ‘명사구 접근 가능성 위계(Noun Phrase Accessibility Hierarchy; NPAH)’, ‘구조적 거리 가설(Structural Distance Hypothesis; SDH)’ 그리고 ‘선형적 거리 가설(Linear Distance Hypothesis; LDH)’이 있다. 이 중 Keenan & Comrie(1977)는 명사구 접근 가능성 위계를 중심으로 관형사절 내 핵어명사의 문법 관계에 따라 주어 명사구가 목적어 명사구보다 접근에서 우위에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따라서 제2언어 학습자들의 주어 관계관형사절 습득의 우위를 예측할 수 있다. 한편, 관계관형사절의 어려움을 공백과 핵어명사의 구조적 거리로 살펴본 구조적 거리 가설도 주어 관계관형사절의 우위를 예측한다. 이와 달리, 선형적 거리 가설은 한국어 목적어 관계관형사절의 우위를 예측한다. 본고에서는 위와 같은 상이한 예측을 바탕으로 제2언어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주어·목적어 관계관형사절 해석에서 핵어명사구의 문법 관계에 따라 해석에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한국어 주어·목적어 관계관형사절의 핵어명사에 대한 의미적 해석이 두 가지로 가능할 때, 언어사용자의 처리 전략은 ‘최신성(Recency)’, ‘술어근접성(Predicate Proximity)’ 그리고 ‘오도 효과(Garden path effects)’가 있다. 첫째, 최신성 원리에 따르면 관계절은 가장 최근에 처리된 첫 번째 명사구에 낮은 부착 된다. 둘째, 술어근접성 원리에 따르면 한국어와 일본어와 같은 어순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언어에서는 관계절이 ‘의’로 연결된 명사구에서 두 번째 명사구에 부착되는 높은 부착의 해석을 선호한다. 마지막으로 관계관형사절 핵어명사에 대한 해석을 언어사용자의 처리 측면에서 설명한 것으로 오도 효과가 존재한다. 오도 효과는 한국어 주어 관계관형사절 처리에서 복문인 관계관형사절을 단문으로 오인하는 오류를 지적하며 구조적 처리의 부담으로 인해 의미적 해석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관계관형사절의 구조적 유형과 의미 해석에 관련된 가설들을 바탕으로 일본인 제2언어 한국어 학습자의 해석을 관찰하고자 한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관계관형사절의 유형을 주어 관계관형사절과 목적어 관계관형사절로 나누었을 때, 각 관계관형사절 유형에서 한국어 모어화자와 일본인 학습자들의 높은 부착 해석에 숙달도 변인이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숙달도의 유의미한 효과는 주어 관계관형사절에서만 확인되어 학습자 집단의 높은 부착 해석에 관계관형사절의 구조적 유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후비교분석을 통해 주어 관계관형사절의 높은 부착 해석에서 숙달도 하 집단의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화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일본인 하 집단은 주어 관계관형사절의 해석에서 모어화자에 근접하지 못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일본인 상 집단은 모어화자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모어화자 수준을 향해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기간과 높은 부착 해석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세 번째 연구문제는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 거주기간과 높은 부착 해석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학습기간과 주어 관계관형사절의 높은 부착 해석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목적어 관계관형사절의 높은 부착과의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거주기간과 주어 관계관형사절의 높은 부착 해석 사이에도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거주기간과 목적어 관계관형사절의 높은 부착 해석의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첫 번째 연구문제와 유사한 습득의 경로를 시사하는 것으로 일본어 학습자는 주어 관계관형사절의 높은 부착 해석에서 모어와 목표어의 전형적인 기제와 다른 양상을 보이나 숙달도 효과와 마찬가지로 학습기간과 거주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모어화자 수준을 향해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관계관형사절에 대한 높은 부착 해석은 관계관형사절의 구조적 유형 중 주어 관계관형사절에서 모어화자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주어 관계관형사절보다 목적어 관계관형사절의 습득상 우위를 시사하며, 주어 관계관형사절의 우위를 예측한 명사구 접근 가능성 위계와 구조적 거리 가설의 예측을 기각한다. 관계관형사절의 처리에 있어서 최신성 원리와 오도 효과에 의한 의미해석은 숙달도가 낮은 하 집단에서만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핵어명사의 문법 관계에 따라 관계관형사절의 유형을 구분하고 ‘의’로 연결된 두 개의 명사구에 관계절이 낮은 부착 혹은 높은 부착이 가능한 중의성이 존재할 때, 주어 관계관형사절에서 낮은 숙달도의 일본인 제2언어 학습자들이 모어나 한국어의 의미 해석과 처리의 기제를 따르지 않고 중간언어적 현상을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interpretation of ambiguous Korean relatives b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Korean relative followed by genitive marker (-uy) presents complex Noun Phrase (NP) in which the relative can be attached to the first NP, a low attachment or the second NP, a high attachment. The interpretation of relative clauses differ based on the attachment types. Based on the grammatical position of head nouns, the attachment preference can appear differently for L2 learners and this could be influenced by the language that the L2 learners depend on for syntactic processing; native language or target language. There are two approaches to study interpretation of relative clauses; one based on grammatical position of head nouns and the other based on processing mechanisms of language users. First, studies on semantic interpretation of relative clause based on grammatical position of head noun explores mainly three hypotheses; ‘Noun Phrase Accessibility Hierarchy (NPAH: Keenan & Comrie, 1977)’, ‘Structural Distance Hypothesis (SDH: O’Grady et al., 2003)’ and ‘Linear Distance Hypothesis (LDH: Tarallo & Myhill, 1983; Hawkins, 1989)’. NPAH describes hierarchy of grammatical relations in relativization in which Subject relatives (SRs) have an advantage over Object relatives (ORs). This pattern of crosslinguistic grammaticality suggests an advantage for Korean SRs over ORs. Next, SDH predicts that Korean SRs have advantage over ORs because the structural distance between the gap and the head is greater in a object relative clause in Korean than in a subject relative. Lastly, LDH predicts an OR advantage in Korean because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head noun and the gap measured by number of words is greater in Korean SRs than ORs. When two interpretations of Korean relatives with subject gaps (SRs) and object gaps (ORs) are possible, the language users can employ one of the following processing strategies; ‘Recency (Gibson et al., 1996)’, ‘Predicate Proximity (Gibson et al., 1996)’ or experience ‘Garden path effects’. One of relative disambiguation strategies known as ‘Recency’ which explain how a new phrase is attached to the phrase that is currently processed, predicts a low attachment preference. On the other hand, the principle of ‘Predicate proximity’ explains crosslinguistic differences in attachment preference which suggests that for nonconfigurational languages like Korean, high attachment preference is predicted. Lastly, in Korean SRs, the language users may experience garden-path effect in which the first two noun phrases of the sentence are interpreted as the subject and object of a simple SOV sentence which adds processing difficulty in Korean SRs. Based on above discussions, the study developed test items for two conditions: SRs and ORs to see the interpretation of ambiguous Korean relative b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he Japanese learners may prefer high attachment based on parsing strategy of native language, Japanese and the target language, Korean. On the other hand, the L2 learners may prefer the low attachment to reduce processing load.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if the attachment preference appears differently for two types of Korean relative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explores the effect of proficiency in high attachment preference in Korean relative.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effect of proficiency on interpretation of SRs. The lower proficiency group of Japanese learners showed different high attachment preference compared to the higher proficiency group and native speakers of Korean. This result contrasts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the SRs would be easier to process and therefore the effect of proficiency would be less distinct than that of ORs. This result suggests that while the NPAH and SDH predicted a SR advantage, result from the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 of linear distance and principle of Recency is greater in L2 processing of Korea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explores the effect of period of study on high attachment preference in two types of Korean relative. The third research question explores the effect of period of stay on high attachment preference. For both questions, the effect of period of study and of period of stay seems to influence high attachment preference in SRs and not ORs. This again supports the predictions of LDH, principle of Recency and garden-path effect in Korean.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relatives b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he results have implication for understanding of processing of relatives in prenominal languages like Korean and how the L2 learners apply syntactic processing in disambiguation. While the results of study present bot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the study hopes to bring further research in the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