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 요소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 인식 연구

Title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 요소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Professors and Learners on the Social Discrimination Factors in Korean Textbook Conversations
Authors
김지혜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 요소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들의 사회적 경험과 문화적 배경이 반영된 다문화 감수성이 이러한 인식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시대에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사회 통합을 실현하는 한국어 교수법 및 교재 개발, 교사 재교육 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 교육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차별 요소에 관한 선행 연구, 사회적 차별 요소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 인식에 관한 선행 연구, 교수자 및 학습자의 다문화 감수성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했다. 이를 통해 도출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은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 정도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의 인식은 어떠한가?’이다. 연구 문제 2는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 유형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의 인식은 어떠한가?’이다. 연구 문제 3은 ‘한국어 교수자 및 학습자의 다문화 감수성과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에 대한 인식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이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사회적 차별의 정의와 유형을 고찰하고, 교사의 다문화적 인식 및 태도의 중요성을 살펴보았으며, 다문화 감수성의 개념과 구성 요소 및 측정 방법을 검토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 요소의 분석 및 추출 방법,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 요소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의 인식 측정 방법과 분석 방법, 한국어 교수자 및 학습자의 다문화 감수성 측정 방법과 분석 방법을 결정했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 요소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 방법을 기술했다. 구체적으로는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출간된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인종 및 국적, 성별, 연령, 직업, 외모, 결혼, 지역, 종교, 사회적·경제적 지위 등의 사회적 차별 요소를 분석 및 추출하고, 한국어 교수자 35명과 한국어 학습자 3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 요소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감수성 지수를 조사했으며, 이후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선형혼합모형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했다. Ⅳ장에서는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 요소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수자 및 학습자의 다문화 감수성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 정도에 대한 인식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평균적으로 교수자가 학습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차별 유형에 대한 인식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평균적으로 교수자가 학습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 요소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의 인식은 사회적 차별 요소의 수와 유형에 따라 달라졌는데, 이를 통해 복잡한 담화 상황에서는 사회적 차별에 대한 인식의 민감성과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과 담화 내 차별 상황이 명시적인지 암시적인지에 따라 사회적 차별에 대한 인식의 민감성과 정확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 교수자 및 학습자의 다문화 감수성과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 요소에 대한 인식 간에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한국어 교수자의 다문화 감수성과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 유형에 대한 인식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며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 담화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 요소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의 인식 연구가 없는 상황에서, 인종 및 국적·성별·연령·직업·외모·결혼·지역·장애·경제적 지위 등 다양한 사회적 차별 요소에 대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어떻게 인식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인식이 이들의 사회적 경험과 문화적 배경이 반영된 다문화 감수성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다문화 시대에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사회 통합을 실현하는 한국어 교수법 및 교재 개발, 교사 재교육 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that respect cultural diversity and realize social integration in the multicultural era by examining professors and learners' perception on social discrimination elements in Korean textbook discourse, and how multicultural sensibility reflecting their social experience and cultural background is correlated with these perceptions.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I reveal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It reviews previous study on social discrimination elements appea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ior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language professors and learners, and prior studies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professors and learners. The research questions derived from thi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s 'What is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learners of the degree of social discrimination shown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discourse?' Research question 2 is 'What is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learners of the type of social discrimination shown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discourse?' Research question 3 is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language professors and learners, the degree of social discrimination shown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discourse, and the perception of the type of social discrimination?' Chapter II considers the definition and type of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It examines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of teachers, and reviews the concept, components and measurement method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Based on this, I decided how to analyze and extract social discrimination elements in Korean textbook discourse, how to measure professors and learners'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elements in Korean textbook discourse, and how to measure and analyz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language professors and learners. Chapter III describes research methods to examine the perception on Korean language professors and learners of social discrimination elements in Korean textbooks. Specifically, It was analyzed and extracted social discrimination factors such as race and nationality, gender, age, occupation, appearance, marriage, region, religion, and social and economic status from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b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5 Korean language professors and 34 Korean language learners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on social discrimination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indices. Afterwards, technical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linear mixed model were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Chapter IV looks at professors and learners' perception on the degree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types of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ements of social discrimination shown in the Korean textbook discourse. And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sensitivity to multiculturalism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in the Korean textbook discourse was done. As a result, it reveale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ocial discrimination among professors and learners on the social discrimination factors shown in the Korean textbook discourse. However the perception on the type of social discrimination by professors is higher than that of the learners. Also, depending on the number and type of social discrimination factors shown in the Korean textbook discourse, the recogni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degree and type of social discrimination by professors and learners changed. That showed that the sensitivity and accuracy of social discrimination recognition can be reduced in the complex discourse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social discrimination factors is high. Moreover, it showed that the sensitivity and accuracy of social discrimination perception can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discrimination situation is explicit or suggestive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social discrimination factor. In addition,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language professors and learners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factors in Korean textbook discourse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between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language professors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types in Korean textbook discourse. Chapter V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provides suggestions 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on subsequent stud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at how professors and learners perceive various social discrimination factors such as race and nationality, gender, age, occupation, appearance, marriage, region, religion, disability, and economic status, and how these perceptions correlate with multicultural sensitivity reflecting their social experience and cultural background. I hope this research will help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and re-education of teachers, which respect cultural diversity and realize social integration in the multicultural er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