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순희-
dc.contributor.author김윤경-
dc.creator김윤경-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0:13Z-
dc.date.available2020-08-03T16:30:13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85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52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23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경험 대화의 개념과 이론적 토대를 고찰하고, 경험 대화 속 대화적 경험 서사의 생성 및 담화 서사적 정체성의 형성 양상을 탐구하며, 담화 서사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경험 대화 교육을 설계하는 데에 있다. 경험 대화(experience talk)란 ‘사적인 면대면 상황맥락에서 친밀하고 동등한 둘 이상의 경험 대화자들이 직접 겪었던 개인 및 공동의 경험적 사건을 화제로 삼아, 대화적 경험 서사 및 담화 서사적 정체성을 공동구성하면서, 경험을 해석하고 자아를 성찰하며 자기와 타인과 세계를 이해하는, 서사수행 및 메타서사수행의 상호교섭적 대화’이다. 경험 대화의 특징은 경험을 통한 대화(a talk via experiences), 경험에 대한 대화(a talk on experiences), 경험이 되는 대화(a talk as experiences)이다. 경험 대화의 구성요소는 대화적 자기로서의 ‘경험 대화자’, 공유된 현실로서의 ‘경험적 사건’, 가능세계의 이야기판이자 이야기장인 ‘이야기 시공간’이다. 연구방법은 대화적 서사 분석(CNA)이며 사례연구, 실행연구, 설계 기반 형성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A 여자고등학교의 여학생 15명과 경기도 B 중학교의 학생 24명(여10, 남14)으로 총 39명이다. 연구절차는 문헌연구를 통해 경험 대화의 개념 및 특징을 규명하고 연구설계를 한 후, 자료수집 및 분석을 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핵심 내용을 추출하여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8년 9월부터 2019년 1월까지 3회의 형성적 순환을 통해 총 5차례 경험 대화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대화적 경험 서사에 대한 차원적 분석, 담화 서사적 정체성에 대한 자리매김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화적 경험 서사의 양상에 대한 차원적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 대화의 상호작용 범주인 화자성 차원에서 요인별로 분석한 결과, 친소 관계에 따라 친할수록 화자성이 높았고, 낯설수록 화자성이 낮았다.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동성 그룹인 여학생 그룹과 남학생 그룹의 화자성은 낮았지만, 혼성 그룹의 화자성은 높아졌다. 화제별로 보면 중학생은 개인의 화제일 경우 화자성이 낮지만, 공동의 화제일 경우 화자성이 높았다. 고등학생은 개인 및 공동의 화제에서 모두 화자성이 높았다. 둘째, 경험 대화의 내용구성 범주인 화제성/내장성/선형성 차원에서 요인별로 분석한 결과, 친소 관계에 따라 친할수록 화제성이 낮고, 내장성이 높으며, 선형성이 낮았다. 반면 낯설수록 화제성은 높거나 낮으며, 내장성과 선형성이 모두 낮았다. 성별에 따라 동성 그룹(여학생 그룹, 남학생 그룹), 혼성 그룹 모두 화제성, 내장성, 선형성이 낮았다. 화제에 따라 중학생은 개인의 화제일 경우에는 화제성, 내장성, 선형성이 모두 낮았지만, 공동의 화제일 경우 화제성과 선형성은 낮아지고, 내장성은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고등학생은 개인 및 공동의 화제에서 모두 화제성과 선형성은 낮고 내장성은 높았다. 셋째, 경험 대화의 자기인식 범주인 규범성 차원에서 살펴보면, 친소 관계에 따라 친할수록 규범성이 낮았지만, 낯설수록 규범성의 양상이 다양해져서 높거나 낮다고 판단하기 어려웠다. 성별에 따라 여학생 그룹은 규범성이 높았고, 남학생 그룹은 규범성이 낮았는데, 혼성 그룹은 규범성이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화제에 따라 중학생은 개인의 화제일 경우 규범성이 높았고 공동의 화제일 경우 규범성이 낮았다. 반면 고등학생은 개인의 화제에서 규범성이 낮고, 공동의 화제에서 규범성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대화적 경험 서사에서는 낯선 관계, 여학생 그룹, 개인의 경험을 화제로 한 경험 대화일 경우 지속적 서사실행(NP1)을 통한 일관성의 서사능력(NC1)이 우세하였다. 반면, 친한 관계, 혼성 그룹, 공동의 경험을 화제로 한 경험 대화일 경우 탐색적 서사실행(NP2)을 통한 진정성의 서사능력(NC2)이 우세하다. 이처럼 경험 대화 속에서 경험 대화자는 친소 관계, 성별(그룹), 화제에 따라 지속적, 탐색적 서사실행과 일관성, 진정성의 서사능력을 통해 담화 서사적 정체성을 풍성하게 만들어가고 있었다. 담화 서사적 정체성의 형성 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화 서사적 정체성의 상호작용 양상은 경험적 사건의 불확실성에 대한 상호조율, 이야기 시공간 속 지식권리의 주장과 조정, 참여적 상호조율 기제로서 경험 대화자 간 역동적 자리매김 행위로 나타난다. 둘째, 담화 서사적 정체성의 내용구성 양상은 서사실행에 의한 대화적 경험 서사의 공동직조, 다중 서사-주체/타자에 의한 경험의 다중적 서사화, 독특한 결과의 공동발굴 및 예상된 사건의 공동구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셋째, 담화 서사적 정체성의 자기인식 양상은 행위 및 정체성 조망을 통한 경험의 재구성 및 재해석, 담화 서사적 정체성의 행위주체적 형성과 윤리적 정향의 특징을 지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교육 2030(OECD, 2018)’에서 제안한 변혁적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관점으로 ‘담화 서사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경험 대화 교육’을 설계하였다. 경험 대화 교육의 내용 체계는 ‘내용 범주’,‘핵심 내용’,‘학년(군)별 내용 요소’로 나뉜다. 핵심 내용은 지식, 기능, 태도 범주로 나뉘며, 기능 범주는 관계적 기능과 수행적 기능으로 구성된다. 담화 서사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경험 대화 교육의 핵심 내용은 서사 담화의 상호교섭적 의사소통 과정(지식), 참여적 상호조율(관계적 기능), 대화적 경험 서사의 생성과 담화 서사적 정체성 형성(수행적 기능), 나-너-우리-누리의‘잘삶’(태도)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동기유발 정도로만 여겨져 왔던 경험 대화의 메타언어적, 공동구성적 특징을 규명하여 경험 대화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화법교육적 필요성을 모색하였다. 둘째, 주로 구조적・주제적 분석에만 머물렀던 대화적 서사 분석이 아닌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청소년들의 실제 경험 대화에 대한 대화적・연행적 분석을 실시하여 경험 대화의 역동적 양상을 상세히 밝혔다. 셋째, 경험 대화 속 담화 서사적 정체성에 대한 자리매김 분석을 통하여 경험 대화를 통해 형성되는 청소년의 담화 서사적 정체성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넷째, 담화 서사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경험 대화 교육 내용을 설계하여 실제 삶과 긴밀하게 결합하는 화법교육의 토대를 마련하고 일상적 경험 말하기・듣기에 대한 패러다임을 전환하였다. 앞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첫째, 경험 대화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탐색을 심화해야 한다. 또한 간학문적 성격의 ‘경험 대화’에 대한 이론이 학문적으로 견고하게 구축될 수 있도록 학계 간 협업이 필요하다. 둘째, 비대면 경험 대화 교육 및 다른 교과에도 전이가능한 담화 유형으로서 경험 대화의 활용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야 한다. 셋째, 청소년의 언어문화로서 일상대화의 창조적, 상상적, 소통적 가능성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 언어생활과 학습과 삶에 있어 행위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examine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experience talk(ET), second, to explore the pattern of creation in conversational narrative of experiences(CNE) and discursive narrative identity(DNI) in experience talk, and third, to design the experience talk education to form discursive narrative identity. ET is a mutually transa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narrative practice and meta narrative practice to understand self, others, and the world by interpreting experiences and reflecting on oneself while co-constituting an CNE and a DNI with a topic of personal and shared experiential events experienced by two or more intimate and equally co-teller of experiences(CTE), The characteristics of ET are a talk via experiences, a talk on experiences, and a talk as experiences. The components of ET are CTE, experiential events, and story chronotope.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15 female high school girls from Seoul A Girls' High School and 24 students from middle school B, Gyeonggi Province (14 female students, 14 males). The method is an conversational narrative analysis(CNA), a field of discourse analysis. CNA explores narratives and identities constructed in real conversa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conversational analysis(CA) and narrative analysis(NA). The research identifi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ET and design the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data was collected five times from September 2018 to January 2019 through three formation cycle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CA on the coordination device of ET, a dimensional analysis on the CNE, and positioning analysis on DNI were conducted. To begin with the results of the dimensional analysis of the aspect of CNE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by tellership(TS)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category of experience dialogue, the familiar group had 【TS+】, and the unfamiliar group had 【TS-】. According to the gender, the female group and the male group had 【TS-】, but the mixed group had 【TS+】. Also, it indicated that according to the topic, individual's topic showed 【TS-】, but in the case of common topics showed 【TS+】.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by factor in tellibility(T), embeddedness(E), linearity(L) dimensions, according to the content composition category of ET, the familiar group showed the low relationship 【T-】, 【E+】, and 【L-】. On the other hand, the unfamiliar group showed high and 【T±】, 【E-】, and 【L-】. There was no difference by gender, and female group, male group, and mixed group had 【T-, E-, L-】. Depending on the topic, in the case of the individual topic, 【T-, E-, L-】 , but in the case of the common topic, 【T-, L-】 but 【E+】. Third, the result of the normative dimension, which is the self-recognition category of ET,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the more familiar group had 【N-】. However, it was difficult to decide that the less familiar group had low or high 【N0】 because they had variety of normative. According to the gender, the female group had the high 【N+】, the male group had the low normative 【N-】, and the mixed group showed 【N-】. Depending on the topic, the normative was 【N+】 in personal experiences, and the normative was low in common experiences. Nex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ormation of DNI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action aspect of DNI is the coordination of uncertainty of experiencial events, the assertion and adjustment of epistemics in the story chronotope, and positioning as a participant coordination device. Second, the content compositional aspects of DNI are the interweaving of CNE by narrative practice, the multiple narratization of experiences by multiple narrative-subjects/ others, the co-digging of unique outcomes, and the co-organization of projected events. Third, the self-awareness aspect of DNI is the re-construction and re-interpretation of experiences through the view of action and identity, and the formation of discourse narrative identity and ethical orientation as agency.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ET education for weaving DNI was designed. The curriculum perspective is a transformative competency-focused perspective proposed by Education 2030 (OECD, 2018). The content system of ET education is divided into core content and content elements for each grade (group) based on a transformative competency - oriented curriculum. The key content is divided into categories of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and the functional categories are composed of social and emotional functions, cognitive functions, and meta-cognitive functions. The principles of ET 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DNI are 1) the principle of mutual bargain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narrative discourse, 2) the principle of discourse mutual coordination as a cooperative and playful participation mechanism, 3) the execution of narrative Principle of narrative and co-composition of experience through the 4) It is the principle of 'reflection-in-talk' as a reflective practitioner of agency. The core contents of ET 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DNI are the embodyment of procedural knowledge about the interactive process of narrative discourse, the mechanism of participatory mutual coordination, the creation of CNE and the function of the formation of DNI. It is the cultivation of the attitude and value of 'well-being' of I-You-We-Worl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o theoretically establish the concept of ET and seek the need for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of the meta-verbal and co-constructive features of ET, which have been regarded as motivation, Second, To reveal the multi-dimensional aspects of ET in detail, CNA was conducted on the actual experiences of adolescents, and CNA, which was mainly analyse on structural and thematic aspects, was analyzed. Third, The DNI of the youth formed through the ET was specifically identified through PA of the DNI in the ET. Fourth, the educational content of ET for weaving DNI was prepared to transform the paradigm of conversation to everyday experience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conversation education that is closely combined with real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사 검토 5 1. 경험 말하기‧듣기 교육 연구 5 2. 경험 서사 관련 연구 8 3. 정체성 관련 연구 10 C. 연구방법 14 1. 연구참여자 14 2. 연구절차 17 3. 자료수집 22 Ⅱ. 경험 대화 교육의 이론적 토대 43 A. 경험 대화의 개념 및 특성 44 1. 경험 대화의 개념 44 2. 경험 대화의 특징 48 3. 경험 대화의 구성요소 59 B. 경험 대화의 의미 구성 및 조정 과정 67 1. 인지체계 속 서사적 의미 구성 과정 67 2. 경험 대화의 상호교섭적 의사소통 과정 70 3. 일상적 대화 게임 속 협력적 의미 조정 관리 74 C. 실천적 지식으로서 경험 대화의 서사수행 83 1. 대화적 경험 서사의 인지적 서사수행 85 2. 담화 서사적 정체성의 메타인지적 서사수행 93 Ⅲ. 경험 대화의 양상 분석 107 A. 분석방법 107 B. 분석결과 130 1. 경험 대화의 상호작용 양상 130 가. 경험적 사건의 불확실성에 대한 상호조율 132 나. 이야기 시공간 속 지식권리의 맥락적 운영 141 다. 참여적 상호조율 기제로서 자리매김의 과정 154 2. 경험 대화의 내용구성 양상 171 가. 서사실행에 의한 대화적 경험 서사의 공동직조 174 나. 다중 서사-주체/타자에 의한 경험의 다중적 서사화 182 다. 독특한 결과의 공동발굴 및 예상된 사건의 공동구성 196 3. 경험 대화의 자기인식 양상 206 가. 행위 및 정체성 조망을 통한 경험의 재구성 및 재해석 208 나. 새로운 자기규정을 통한 자기이해의 시공교차적 확장 214 다. 담화 서사적 정체성의 행위주체적 형성과 윤리적 정향 225 C. 종합적 논의 239 Ⅳ. 경험 대화 교육의 설계 251 A. 기존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251 B. 경험 대화 교육의 내용 체계화 263 1. 경험 대화 교육의 목표 263 2. 경험 대화 교육의 내용 265 3. 경험 대화 교육의 방법 281 Ⅴ. 결론 및 제언 306 참고문헌 310 부록 1. 경험 대화의 양상 분석 코딩북 327 ABSTRACT 3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345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담화 서사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경험 대화 교육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versation Education of Experience Talk for Weaving Discursive Narrative Identity-
dc.format.pageviii, 33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