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의선-
dc.contributor.author이승희-
dc.creator이승희-
dc.date.accessioned2020-03-30T16:30:33Z-
dc.date.available2020-03-30T16:30:33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0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08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675-
dc.description.abstract'Feminism' was the key word that struck Korea in 2016. As the public interest in feminism and gender equality grows, the government emphasizes the media’s obligations of public interest and the cultural influence as mass media, recognizing that media c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preading the culture of gender equality and calling them to their role. The influence of media on audience values has been consistently verified in academia through the cultivation theory, media framing and narrative persuasion. Given the everyday and widespread influence of the media, the role of media can be substantial in shaping the sociocultural perception for societies with gender equality. However, organizations and the academia continue to report that gender equality is not achieved in the media. Among them, the genres with most frequent gender discrimination are the drama and entertainment programs, and the most common type of gender discrimination is the 'sex-role stereotype'. Given the nature of the entertainment programs, they can be approached easily and on a daily basis irrespective of one’s age or level of knowledge. Moreover, as various sociocultural issues are dealt with as content sources for comedy, leading the audience to culturally accept such issues, these programs have the potential to reproduce and disseminate sociocultural ideologies naturally. In recent years, reality programs have emerged as popular formats among entertainment programs. Reality programs that mix fiction and nonfiction has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reality genre, where the viewpoints of the characters and production teams can be separated through the methods of content expression and direction. Therefore, the production team of reality television shows can produce the program with the embedded evaluation of characters through directing elements such as subtitles and music, and it is possible that such intentional production could lead to sex-role stereotypes. In other words, the everyday acts of the real-life character are reprocessed through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roducers; in this process, the producers engage in a function of framing, where they tell the audience ‘how to think and interpret of certain situations and actions’, and ultimately the production can lead to the popularization of sex role stereotypes based on the actions of the characte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actions of male and female characters in the reality TV programs are framed through directing elements and verified whether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oducers actually influences the perception of sex roles of the audience. Among reality TV shows, this study has focused on those with families, as the sex roles of men and women would be clearly divided between the daily lives of families. As there have been almost no research on framing from video directing, this study first engaged in content analysis of <Study 1> with an exploratory nature, on how the directing frame associated with sex role stereotypes are present in family reality TV programs.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hod of describing sex-role stereotypes’ rather than the previously popular topic of ‘types of described sex-role stereotypes’; as such, it has utilized the ambivalent sexism theory, which explains how gender discrimination occurs through certain methods through the emphasis of sex-role stereotypes, to construct the frame analysis framework. Thereafter,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has utilized the experimental study <Study 2>, which utilizes directing frame and directing elements of actually produced TV shows to construct and design experiments to verify the effects of directing frames associated with sex role stereotypes. Through these exercises, this study has explored the trends of directing framing of sex role stereotypes in reality TV shows as well as their influence on the audience, attempting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how entertainment TV programs reproduced sociocultural ideologies through its produc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amily reality TV programs naturally influence the sex role stereotypes of the audience through the directing frame. First, the content analysis of <Study 1> confirmed the usage patterns of sex role stereotypes. The most frequently-occurring directing frame was the positive portrayal of non-traditional sex roles of men and traditional sex roles of women. While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sex roles in men are becoming more blurred, the traditional sex roles for women are still being emphasized from a wider range, including appearance and the issue of in laws, and the new sex roles about women were rarely addressed. In the hostile sexism frame, the non-traditional gender role behaviors were poorly and grossly presented only when the character was male, and this implies that the patriarchal ways of thinking which regard housework as a chore still exists in media. At the same time, given a female character, the resistant sex-role frame, which is the negative directing frame of traditional sex roles, was found to be second most frequent after the benevolent sexism frame, which is the positive directing frame of traditional sex roles. This indicated that the media praised women engaging in their traditional sex role but sympathized with the effort and burden that women bore when the women had to take care of both housework and childcare alon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study <Study 2>, whi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ex role directing frames on the audience, the directing frame was found to influence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hich were emotional sympathy,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sex roles present in media. In addition, emotional sympathy had a correlation with identification, and identification had a correlation with evaluation, respectively. In other words, if an emotional sympathy is present with the producers’ directing styles, the audience was found to be more likely to identify with the characters carrying out the directed sex roles, and identification with the character was likely to lead to an evaluation of the sex roles.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perceived reality of the audience were found to be key variables that controlled emotional sympathy and evaluation of the directed sex roles. The control effects of perceived reality imply that the genre-specific characteristic of reality TV shows could further increase the influence of the directing frame. As this study relates to the sex roles of men and women, it was significant to discover that there was no meaningful interaction with the sex, age and marital status of the audience and directing frame, as they were set as moderator variables that were expected to cause differences in audience response to the directing frames. That there was no unique impact from the sex, age and marital status of the audience on the influence of the directing frame, given that the variables such a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perceived reality indicates that the audience has differing responses to sexist directing frames and directing frames that are not sexist. Whenever there had been gender-related conflicts, it appeared to be a battle of the sexes or generational conflicts on the surface; however, the more fundamental factors that brought differences in audience response were rat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perceived reality, rather than the sexes and ages of the audience. Therefore, improv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rough institutional strategies such as education and policy, it is expected that such measures will contribute to the easing of sex-related conflicts and the establishing of an integrated society. Moreover, desirable socializ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media programs, as media can be used to help understand each other’s positions through indirect experiences and portraying snapshots of gender equalit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clauses to be included in the guidelines for the production of gender equality program productions. (I) actively portray new sex roles of women. (II) Evaluate work-related abilities using the same criteria regardless of sex. (III) Do not depict or imply behavioral characteristics, appearance, personality, etc. as a general view of a particular sex.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academic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has applied the media framing theory, originally applied to text in the field of news, on entertainment-genre programs. Second, this study has created a framework for analyzing directing frames by borrowing from the ambivalent sexism theory from social psychology to explain the directing methods of sex role stereotypes in entertainment programs. Third, this study collected data to empirically verify the influence of sex role stereotypes of media. Fourth, this study attempted to indirectly infer the process of ideological persuasion of entertainment programs. On a practical level,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implications for media education for producers and the audience, so that the media can play its role in spreading the values of gender equality. ;‘페미니즘’은 2016년 대한민국을 강타한 핵심 키워드였다. 페미니즘과 양성평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정부는 방송의 공익적 책무와 대중매체로서의 문화적 영향력을 강조하며 양성평등 문화 확산에 미디어가 상당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식하고 미디어의 제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미디어가 수용자의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은 문화계발효과이론, 미디어 프레이밍 이론, 내러티브 설득 이론 등을 통해 학계에서 꾸준히 검증되어 왔다. 미디어의 일상성과 광범위한 영향력을 고려할 때, 양성평등 사회를 위한 사회문화적 인식을 형성하는 데 미디어의 역할은 상당할 수 있다. 그러나 미디어 내 양성평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단체와 학계의 보고는 변함없이 계속되고 있다. 그 중 현재 방송 에서 성차별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장르는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이며, 가장 많이 나타나는 성차별 유형은 ‘성 역할 고정관념’이다. 예능 프로그램은 장르적 특성상 수용자의 연령이나 지식수준에 상관없이 누구나 쉽게 일상적으로 접근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사회문화들을 개그소재로 하여 문화적으로 받아들이게 한다는 점에서 사회문화적 이데올로기를 자연스럽게 재생산 및 전파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최근에는 예능 프로그램 중에서도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인기 포맷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픽션’과 ‘논픽션’이 섞인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경우 내용의 표현 및 연출 방식에 있어서 등장인물과 제작진의 관점을 따로 분리할 수 있는 리얼리티 장르의 고유한 특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제작진은 자막, 음악 등의 연출요소를 통해 등장인물에 대한 평가가 가미된 연출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제작진의 의도적 연출이 성 역할 고정관념을 생산할 가능성이 있다. 실존 인물의 일상적 언행이 편집과정에서 제작진의 연출을 통해 재가공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제작진이 방송을 통해 시청자에게 ‘특정 상황이나 행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해석해야 할지’를 제시하는 프레이밍의 기능이 작동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작진의 연출이 등장인물의 언행에 대한 성 역할 고정관념의 사회화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서 남녀 등장인물의 언행이 연출 요소를 통해 어떻게 프레이밍 되는지 주목하고, 제작진의 연출방식이 수용자의 성 역할에 대한 인식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 중에서도 가정의 일상생활 속에서 남녀의 성 역할이 뚜렷이 대비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족관찰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했다. 영상 연출에 대한 프레임 연구는 기존에 거의 없었기 때문에, 탐색적 성격의 <연구 1>에서 성 역할 고정관념 연출프레임이 가족관찰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내용분석을 통해 먼저 파악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주된 연구관심사였던‘묘사된 성 역할 고정관념의 유형’이 아니라 ‘성 역할 고정관념이 묘사되는 방식’에 관심을 가지므로, 이를 분석하기 위해 성차별이 성 역할 고정관념의 강조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일어나는지를 설명하는 양가적 성차별주의 이론을 차용해 프레임 분석틀을 구축했다. 이어서 이를 기반으로 실제 방송에 사용되고 있는 연출프레임과 연출요소를 반영하여 실험물을 구성한 실험연구 <연구 2>를 설계하여 성 역할 고정관념 연출프레임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가족관찰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성 역할 고정관념 연출 프레이밍의 양상과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예능 프로그램이 연출을 통해 사회문화적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가족관찰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연출프레임을 통해 자연스럽게 수용자의 성 역할 고정관념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 1> 내용분석의 결과 성 역할 연출프레임의 사용패턴이 확인되었다. 첫째, 성 역할이 묘사되는 장면들에서 배경음악, 음향효과, 그래픽 이미지, 리액션 트랙과 같은 비언어적 연출요소들과 평가자막, 감정자막과 같은 언어적 연출요소들이 성차별 연출프레임을 구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연출프레임마다 프레이밍을 구성하는 연출요소가 다르게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연출프레임은 남성의 비전통적 성 역할과 여성의 전통적 성 역할 수행을 긍정적으로 연출한 프레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방송에서 남성의 전통적 성 역할에 대한 경계는 흐려지고 있는 반면, 여성에게는 외모, 시가 등 더 넓은 범위에서 여전히 전통적 성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며, 여성에 대한 새로운 성 역할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발견했다. 셋째, 제작진들은 자막 사용 및 이를 통한 연출 프레이밍에 있어서 남성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성 역할에 대한 시각을 풀어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연출된 남성 등장인물의 관점은 곧 제작진의 해석이 반영된 것으로, 결과적으로 시청자들은 제작진의 해석 및 평가를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다. 넷째, 같은 연출프레임 내에서도 등장인물의 성별에 따라 사용하는 연출요소에 미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적대적 성차별 프레임에서 비전통적 성 역할 행동이 우울하고 한심하게 연출되는 것은 등장인물이 남성일 경우에만 나타났는데, 이는 가사 일을 허드렛일로 여기는 가부장적 사고가 방송가에 아직까지 존재함을 시사한다. 반면 적대적 성차별 프레임의 등장인물이 여성일 경우에는 능력을 의심하는 느낌의 부정적 연출요소가 사용되어, 여성이 전통적인 남성 영역의 일을 할 때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능력을 인정받기 어려운 사회의 현실적 상황과 이에 따른 성 역할 고정관념이 연출프레임에서도 드러났다. 이러한 방송프로그램의 성 역할 연출프레임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 <연구 2> 실험연구 결과, 첫째, 연출프레임은 본 연구의 세 가지 종속변인인 연출된 성 역할에 대한 정서적 동조, 동일시, 평가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용자의 양성평등의식과 인지된 현실감은 연출된 성 역할에 대한 정서적 동조와 평가를 조절하는 가장 주요한 변인으로 밝혀졌다. 특히, 인지된 현실감은 연출된 성 역할에 대한 정서적 동조와 평가에 대한 조절효과 외에도 연출된 성 역할에 대한 동일시에 대해 주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관찰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가지는 현실감이라는 장르적 속성이 연출프레임의 영향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연출된 성 역할에 대한 정서적 동조는 동일시와, 동일시는 평가와 차례대로 상관관계를 가졌다. 즉 제작진의 연출방향에 정서적으로 동조되면 연출된 성 역할을 수행하는 주인공에게 동일시할 가능성이, 주인공에게 동일시하면 그에 따른 성 역할에 대한 평가를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녀의 성 역할과 관련한 내용이니만큼 연출프레임에 따른 수용자반응에 차이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하여 조절변인으로 설정했던 수용자의 성별과 세대, 결혼 여부는 연출프레임과 유의한 상호작용을 보이지 않았다. 양성평등의식과 인지된 현실감 등의 변인들이 서로 통제된 상태에서 수용자의 성별과 세대, 결혼 여부가 연출프레임의 영향에 미치는 고유 효과가 없었다는 것은, 수용자들이 성별이나 연령에 관계없이 성차별적 연출프레임과 그렇지 않은 연출프레임에 차별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의미이다. 사회적으로 젠더 관련 갈등이슈가 일어날 때 마다 표면적으로는 성 대결이나 세대 갈등의 구조로 보이는 듯 했으나 수용자 반응의 차이를 가져오는 보다 근본적인 요인은 수용자의 성별이나 연령 자체보다 양성평등의식과 인지된 현실감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후천적으로 사회적 교육, 정책 등 제도적 장치를 통해 양성평등의식을 제고한다면 성 갈등 문제 완화 및 통합적인 사회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방송이 상대방의 입장을 서로 이해할 수 있도록 간접경험의 기회를 늘리고 성 평등적 모습을 묘사하는 등 방송프로그램을 통한 사회화를 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양성평등 방송제작을 위한 가이드라인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 다음과 같은 조항을 제안한다. (ⅰ) 여성의 새로운 성 역할을 적극적으로 묘사한다. (ⅱ) 일에 대한 능력은 성별과 관계없이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한다. (ⅲ) 행동적 특성, 외형, 성격 등을 특정성별의 일반적인 모습으로 묘사하거나 강요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첫째, 뉴스 분야의 텍스트에 적용되던 프레이밍 이론을 예능 장르 프로그램의 방송영상과 이를 구성하는 연출요소에 적용하여 이론의 범위를 확장했다. 둘째, 예능 프로그램의 성 역할 고정관념 연출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사회심리학의 양가적 성차별주의 이론을 차용하여 연출프레임 분석틀을 마련했다. 셋째, 자료를 수집하여 미디어에 묘사되는 성 역할 고정관념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넷째, 예능 프로그램의 이데올로기적 설득과정을 간접적으로나마 추론하고자 시도했다. 실용적 차원으로는 본 연구의 결과가 방송제작진 및 수용자의 양성평등 미디어 교육에 함의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의 목적 및 의의 4 Ⅱ. 기존문헌 연구 7 A. 미디어에 나타나는 성 역할 고정관념 7 1. 성 역할 고정관념의 의미 및 속성 7 2. 미디어에 나타나는 성 역할 고정관념 연구 8 가. 뉴스보도 9 나. 광고 및 뮤직비디오 10 다. 드라마, 영화 11 라. 예능 프로그램 12 3. 소결 14 B. 양가적 성차별 주의: 성 역할 고정관념의 재현방식 16 1. 성차별이 드러나는 방식: 양가적 성차별주의 16 2. 사회변화에 따른 남성에 대한 성차별 인식의 변화 17 3. 수용자의 개인속성이 성차별 지각에 미치는 영향 18 4. 소결 22 C.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속성 및 이데올로기적 영향 23 1.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 23 2. 하위 장르로서의 관찰예능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 25 3.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이데올로기 생산 및 설득 메커니즘 27 4. 소결 29 D. 영상 연출 프레이밍: 리얼리티 프로그램 분석틀 31 1. 프레임 이론의 적합성 31 가. 프레임 연구의 흐름과 연구영역 32 나. 영상 프레임 연구 35 2.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연출 프레이밍 구성요소 36 가. 영상 요소 36 나. 음향 요소 39 3. 소결 41 Ⅲ. 연구문제 43 Ⅳ. 연구방법 46 A. 연구 1: 성 역할 고정관념 연출프레임 분석 46 1. 연출프레임 도출을 위한 문헌연구 46 가. 성 역할 고정관념 발생영역 46 나. 예능 프로그램 연출요소와 감정 유인가 48 다. 내용분석틀로서의 연출프레임 도출 51 2. 내용분석 53 가. 분석 대상 53 나. 코딩유목 54 다. 신뢰도 작업 57 B. 연구 2: 성 역할 고정관념 연출프레임의 수용자효과 58 1. 실험연구를 위한 연구모형 구축 58 2. 실험 61 가.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61 나. 실험설계 및 주요변인의 조작적 정의 63 다. 실험과정 72 Ⅴ. 연구결과 74 A. 연구 1: 성 역할 고정관념 연출프레임 분석 결과 74 1. 연구문제 1-1: 연출프레임 74 2. 연구문제 1-2: 연출요소 83 가. 비언어적 연출요소 83 나. 언어적 연출요소 86 3. 등장인물 성별에 따른 연출프레임 차이 94 4. 연출프레임 분석 소결론 99 가. 성 역할 고정관념 연출프레임의 사용패턴 99 나. 자막의 기능: 동일시관점 설정 100 다. 온정적 성차별의 이중성 102 라. MC의 역할 103 B. 연구 2: 성 역할 고정관념 연출프레임의 수용자효과 결과 104 1. 기초 분석 결과 104 가. 피험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04 나. 주요변인의 신뢰도 검증 106 다. 실험영상의 적합성 107 2. 연구문제 분석 결과 109 가. 연구문제 2-1: 연출된 성 역할에 대한 정서적 동조 109 나. 연구문제 2-2: 연출된 성 역할에 대한 동일시 117 다. 연구문제 2-3: 연출된 성 역할에 대한 평가 123 라. 연구문제 2-4: 종속변인 간 관계 134 3. 연출프레임의 수용자효과 소결론 135 Ⅵ. 결론 138 A.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138 B. 양성평등 방송제작을 위한 제언 142 1. 양성평등 방송제작 가이드라인 제안 144 2. 연출프레임 영역별 연출 지침 146 C.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한계 152 참고문헌 155 부록 1. 조사 설문지 171 Abstract 1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691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가족관찰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성 역할 고정관념 연출 프레이밍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ex-role stereotyping directing frames in family reality TV shows-
dc.format.pagex, 184 p.-
dc.contributor.examiner최지향-
dc.contributor.examiner조연하-
dc.contributor.examiner나은영-
dc.contributor.examiner임소혜-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