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0 Download: 0

수준별 코퍼스를 활용한 발견학습이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조동사 학습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itle
수준별 코퍼스를 활용한 발견학습이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조동사 학습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Levelled Corpus-based Data-driven learning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Learning of English Grammar
Authors
한솔잎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진
Abstract
본 연구는 수준별 코퍼스 기반 자료를 활용한 문법학습이 중학교 학습자의 조동사 학습에 있어 가지는 영향을 이해력, 표현력 및 정의적 태도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우리나라 학생들을 학교 영어교육을 통해 유창하고 정확한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여 글로벌 인재로서의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정하고 있다(교육부, 2015). 이러한 경향에 발맞추어 현재 영어교육 연구자들은 능동적인 의사소통의 요건으로서 등한시 되어왔던 문법학습의 중요성에 다시 주목하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던 문법교수의 주제는 주로 형태적 요소가 강한 문법으로, 하나의 단어 속에 여러 개의 뜻이 담긴, 즉 의미적 요소가 강한 서법 조동사 등의 문법규칙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편, 코퍼스는 진정성 있고 실제적인 예문을 제공함으로써 한 단어가 가지는 미묘한 의미적 차이를 학습하게 하는데 적합하다.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져 왔던 전통적인 명시적 문법 교수법에서 탈피하여 코퍼스 자료의 충분한 예문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문맥 속 문법규칙을 찾아내어 학습하는 귀납적 발견학습이 현재와 앞으로의 문법교육에 큰 기대를 안겨준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와 학교 현장에서 규칙과 용례를 충분히 다루고 있지 않은 서법 조동사의 미묘한 의미적 차이를 상·하위 학습자에게 수준별 코퍼스를 이용한 발견학습을 통해 가르치는 것이 이들의 문법지식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중학교 1학년 52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총 2주간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학생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통제집단에게는 전통적인 문법교수를 하였고 실험집단에게는 수준별 코퍼스 기반 수업자료를 이용한 문법교수를 실시한 후, 각각의 문법교수 방법이 학습자의 이해력 및 표현력,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목표 문법은 고등학교 교과서 및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높은 빈도로 출현하는 서법조동사로 선정하였고(구현정, 박은수, 2013), 실험에 앞서 두 집단에게 영어 문법능력 사전평가 및 사후평가, 사전 설문지 및 사후 설문지, 그리고 개방형 추가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별 코퍼스 기반 문법학습 자료를 활용한 발견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목표한 조동사 간 의미차이에 대한 문법지식의 향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은 반면, 전통적인 연역적 문법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은 문법지식의 향상을 보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문법 이해력은 점수가 향상되었으나 표현력에서 유의미한 점수의 상승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 문법 이해력과 표현력 모두 향상이 되었다. 또한, 문법 이해력에 있어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다 더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법 표현력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해 수준별 코퍼스를 이용한 문법지도가 전통적 문법지도법 보다 학습자에게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말한다. 이는 미묘한 의미의 차이를 파악해야 하는 서법조동사의 특성상 충분한 예문의 문맥파악이 중요한 데, 학습자로 하여금 문맥 속에서 의미적 규칙을 찾아내기에 충분한 양의 코퍼스 자료가 주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둘째, 상·하위 집단의 문법향상의 정도를 비교한 결과, 상위 학습자의 경우 전통적인 문법지도를 받은 통제집단의 표현력에만 상승이 있었고 코퍼스 기반 문법지도를 받은 실험집단은 이해력과 표현력 전반에 걸쳐 유의미한 학습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하위 학습자의 경우 전통적인 문법지도를 받은 통제집단은 이해력과 표현력 모두에 걸쳐 학습효과를 보았지만 코퍼스 기반 문법지도를 받은 실험집단은 이해력만이 향상되었다. 또한,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에 상관없이 통제집단의 학습자들에게서 이해력에 더 큰 학습효과가 나타났고, 표현력에는 두 집단에게 모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 결과를 통해 코퍼스 기반 문법자료를 활용한 문법수업이 하위 학습자의 이해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상위 학습자의 문법지식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수준별 코퍼스 기반 문법학습 자료를 활용한 발견학습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유의미한 정의적 변화를 일으키게 하지 않는다. 실험결과, 코퍼스 자료 수업을 받았던 실험집단과 전통적 문법수업을 받았던 통제집단 모두 실험 사전과 사후를 비교하였을 때 문법 흥미도, 코퍼스 활용태도 및 자료의 난이도 측면에서 눈에 띄는 정의적 태도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학습자들을 영어 능숙도에 따라 상·하위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에도 마찬가지였다. 코퍼스 활용 발견학습에 대한 추가적 설문 결과, 수업 후 난이도, 수업 효용도 및 수업 후 흥미도에 있어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모두 정의적 변화를 느끼지 않았다. 코퍼스 기반 문법수업을 들은 학습자들의 응답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규칙을 발견하는 자료 중심적 발견학습이 문법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 한 반면, 제한된 시간에 많은 양의 자료를 읽고 해석하는 활동이 하위 학습자일수록 부담스러울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코퍼스를 이용한 문법학습이 코퍼스 특유의 자료적 구조와 수업방식이 학습자의 문법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주는데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조동사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코퍼스를 이용한 조동사 문법수업을 할 경우 충분한 예문이 제공되어야 한다. 형태를 중심으로 관찰하고 규칙을 파악해야 하는 문법규칙과 달리 한 단어가 가지는 여러 가지 의미의 차이를 관찰하고 파악해야 하는 서법조동사의 경우 학습자가 그 미묘한 차이를 읽어내려면 여러 차례에 걸쳐 예문을 읽고 반복적인 문맥적 패턴 속에서 언어지식을 획득하고 스스로 정리해야 하므로 다량의 예문이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소그릅 활동을 통해 역할극(role play) 및 각 조동사의 의미적 차이를 토론하는 활동을 하면 각 조동사의 의미차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코퍼스 자료를 사용하는 문법수업에 앞서 교사와 학습자 모두 코퍼스를 사용하는 방법에 익숙해야 한다. 본 실험의 여건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학교현장에 있는 다수의 교사는 코퍼스 자료를 이용하는 수업 방식에 익숙하지 않고, 대부분의 학습자 역시 예문을 보고 스스로 규칙을 도출하는 발견학습을 숙지하지 않은 상태이다. 수업을 이끄는 교사와 코퍼스를 이용해 스스로 학습하는 학습자가 모두 코퍼스 기반 수업방식에 익숙하다면 본 실험의 결과와는 상이하게 코퍼스 자료 수업의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지 모른다. 셋째, 우리나라 영어 교과서에 기재되는 서법조동사의 종류와 사용 빈도를 조정하여야 한다. 원어민이 실제로 사용하는 서법조동사를 대형 코퍼스에서 정리하여 그 빈도와 종류에 따라 영어 교과서에 실리는 조동사를 구성하고, 서법조동사를 다루는 단원을 만들어 하나의 조동사 안에 여러 가지의 의미가 있음을 충분한 예문을 제공함과 동시에 가르쳐야 한다. 또한, 서법성은 서법조동사 뿐 만 아니라 서법성을 표현하는 다양한 구문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가르친다면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들이 정확하고 유창하게 의사소통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pus-based data-driven learning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of English grammar rules and changes of the affective doma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ims to foster Korean students' fluency and accuracy in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their English education school curriculum in pursuit of growing as a successful member of global society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In line with this trend, English education researchers are now re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grammar learning, which has been neglected from a list of major factors for active communication. The subject of grammar teaching, which has been actively studied until now, was mainly a grammar with strong morphological elements, and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grammar rules which has strong semantic elements under a single word. Meanwhile, corpus is suitable for learning the subtle semantic differences one word has by providing authentic and practical examples.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explicit grammar teaching method, which has been conducted at the school site, the inductive discovery learning in which learners find and learn grammar rules in context by themselves through sufficient examples of the corpus material gives high expectations for current and future grammar education.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how teaching high-proficiency learners and low-proficiency learners the subtle semantic differences of the words which rules and examples are not properly taught in textbooks and school sites, affects their acquisition of grammar knowledge through discovery and learning using a level-based corpu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total of two weeks of experiments, using 52 first-year students from a Seoul-based middle school as subjects of research.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to which grammar was taught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and an experiment group to which grammar was taught using the corpus-based teaching materials. After conducting grammar lessons using the leveled corpus-based teaching materials, the effects of each grammar teaching method on the learner's understanding, expression, and affective domain were investigated. The target grammar was selected referring to the high frequency in high school textbooks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Koo Hyun-jeong, Park Eun-soo, 2013) and the two groups were given a preliminary and post-evaluation of their English grammar ability, a pre- and post-questioning questionnaire, and an open additional questionnaire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perienced discovery learning using the corpus-based grammar study material did not clearly show any improvement in grammar knowledge on the target grammar, while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conventional deductive grammar lessons showed improvement in grammar knowledge. For experimental groups, grammar comprehension improved,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ntrol groups, both grammar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skills have improved.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control groups were more effective than experimental groups in comprehension of gramma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ir ability to express grammar. This results show that grammar instruction using a levelled corpus is less effective for learners than conventional grammar instruction. This suggests that despite providing sufficient examples are important due to the nature of the modality to grasp the nuances of meaning, the learners may not have been given enough corpus to find meaningful rules in the context.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egree of grammar improvement in high-proficiency and low-proficiency groups, the high-proficiency learners only had an increase in the expression among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the conventional grammar instruction, and the experiment group that received the corpus-based grammar instru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learning effect throughout their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ability. In the case of low-proficiency learners,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conventional grammar instruction had positive learning effects across both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wherea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the corpus-based grammar instruction only improved in comprehension. Also, regardless of the learner's proficiency in English, there was a greater learning effect on comprehension in the learner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 meaningful impact on both groups in their expression. The results show that grammar instruction using corpus-based grammar learning material help improve the low-proficiency learners’ comprehension, and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grammar knowledge of high-proficiency learners. Third, discovery learning using corpus-based grammar learning materials does not cause learners to make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affective domai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n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corpus-based instruction nor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the conventional grammar instruction showed any noticeable change in their affective domain in terms of interest in grammar, corpus utilization, and difficulty of the data. This was the same when learners were divided into high and low proficiency group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in English. Further surveys on the corpus-based discovery learning showed that neither the control group nor the experimental group felt any change in the degree of post-instruction difficulty, the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ion, and the degree of post-instruction interest. While the responses of learners who received the corpus-based instruction confirmed that the learner's own discovery of rules increases the learner's interest in grammar learning, reading and comprehending large amounts of data within a limited time can be burdensome for the low-proficiency learners.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see that the corpus-specific data structure and the way the corpus-based teaching works both have a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n learners' affective domain towards grammar learning.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e following can be suggested a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grammar learning for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First, sufficient examples should be provided when teaching modality grammar rules using corpus. Unlike other grammar rules, which require observing forms to understand the rules, it is important that a large number of examples are provided because learners need to read examples repeatedly to acquire language knowledge and organize th information to read the nuances. In addition, working as a small group activities to discuss the meaningful differences in role play activities will help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meaning of each modal auxiliary verb. Second, both teachers and learners should be familiar with how to use the corpus before the corpus-based grammar instructions. Just as the conditions of this experiment, many the classroom method of using corpus, and most of the learners are not familiar with discovery learning to understand rules by themselves by carefully reading examples with target grammar rules within. If both the teacher leading the class and the learner using the corpus had been familiar with the corpus-based learn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could have been positive effects of the corpus-based instruction. Third, the type and the frequency of modal auxiliary verbs in our English textbooks should be adjusted. We should organize a list of verbs that are actually used by native speakers and create a unit that provides sufficient example sentences that contains modal auxiliary verbs and teach them that there are many meanings within a single auxiliary verb. In addition, it would help improve Korean learners’communicative accuracy and fluency if schools teach them that modality can be expressed only by the auxiliary verbs but also many other modal phra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