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49 Download: 0

2015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세계민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수업 지도안 연구

Title
2015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세계민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수업 지도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n Integrated Music Teaching Guide Utilizing World Folk Songs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uthors
이소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orld Folk Songs in the 14 different kinds of 2015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nd develop an integrated music teaching method utilizing world folk so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world folk music accounted for 11.5% of the total scores in the textbooks and a total of 102 world folk songs from 46 countries and other regions were included over 227 times. The area where folk songs from the most countries were introduced is Europe, and the area where folk songs from countries with few were introduced is Oceania. Learning activities using world folk songs introduced in the 2015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did not include diverse activities that cover all areas of music, including expression, appreciation, and the realm of everyday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world folk songs contained in the 2015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n integrated music class guidance plan was developed for use in the field by reflecting the 2015 music curriculum and contents of textbooks. The class guide consisted of eight periods in total. Through this class, students understand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culture of the Five Dynasties and learn ab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of different continents. Also,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world folk songs based on their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in each region. In addition to music activities, students can experience a variety of learning activities, such as drawing a picture that suits the music or expressing their bodies. Learning activities that understand the mathematical principles that can be found in music, as well as developing the community’s ability to live as a global citizen, are also included. Us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diverse music activities will be possible as well as to increase interest in learning related subjects. I hope that thi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will be useful in the field of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enjoy a wider world of music through various musical experiences.;바른 인성과 미래 핵심역량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개정 논의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이 2020년 3월, 초∙중∙고등학교 전 학년에 걸쳐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있다.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창의∙융합적 사고 능력의 개발을 위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음악 교과 내 통합적인 활동 뿐 아니라 다른 예술 영역 및 타 교과와 연계된 음악 학습의 필요성을 특히 강조한다. 타 예술 및 교과와 연계된 음악 학습은 학생들의 음악적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며 관련 지식을 확대시킴으로써 음악에 대한 심화된 이해를 돕는다. 또한,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학습 경험은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증진 및 학업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2015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출판된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세계 민요를 활용하여 타 예술 영역 및 교과와의 통합적 음악 수업 지도 방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계 민요는 노래가 전해져 오는 지역∙국가∙민족의 역사 및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문화적 산물이므로 지리∙역사∙세계사∙사회문화 등 타 교과와 관련 지어 학습할 수 있는 중요한 교육적 자원이라고 판단하여 통합적 음악 수업의 제재곡을 세계 민요만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14개의 출판사에서 출판된 2015 중학교 음악○1, 음악○2 교과서에 수록된 세계 민요의 대륙별 분포 및 세계 민요를 제재곡으로 한 학습 활동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세계 민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015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을 반영하여 통합적 음악 수업 지도 방안을 개발하였다. 교과 내 통합 뿐 아니라 다양한 교과가 연계된 음악 수업 개발을 위해 포가티(Fogarty)가 제안한 통합교육과정 모형의 개념 및 장단점을 탐구하고, 학습 목표 및 활동 내용에 따라 연결형, 공유형, 거미줄형, 실로꿴형 등 일부 모형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는 음악교육전문가 1인 및 현직 교사 2인에게 내용 타당도 및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 받았다. 지도안은 총 8차시로 구성되었다. 1차시는 세계 민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 수업을 여는 개괄에 해당하는 차시로 아시아∙유럽∙오세아니아∙아프리카∙아메리카 등 오대주의 지리적 위치와 문화를 이해하고, 대륙별 민요의 일반적 특징에 대해 학습한다. 2차시부터 7차시에 걸쳐 각 대륙별 대표적인 민요를 제재곡으로 사회∙역사∙수학∙미술∙체육(무용) 등과 통합된 음악 수업을 진행한다. 각 차시별 제재곡은 교과서에서 최다 빈출된 대륙별 세계 민요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되, 학습 목표 및 내용에 따라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악곡으로 선정하였다. 8차시에는 세계 여러 나라의 전통 음악 축제에 대해 조사하고, 전 세계인이 참여할 수 있는 지역 음악 축제를 기획하여 발표하며 세계 민요 학습 활동을 마무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민요는 노래가 전승되어 온 지역의 문화와 생활 양식, 민족성 등이 반영되어 있는 문화적 산물이므로 이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 수업은 학생들의 음악적 표현 및 감상 능력의 계발과 인문사회학적 소양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수∙학습 지도안에 대해 현직 교사는 음악 관련 지식을 심화시킴으로써 음악에 대한 심화된 이해를 돕고, 음악을 바라보는 관점을 다양화할 수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세계 민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 수업이 관련 교과에 대한 학습 흥미를 증진함으로써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며 다채로운 음악 활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현장 적용 가능성 및 가치가 있다고 평가하였다. 덧붙여 통합적 음악 수업 지도 방안이 실제 현장에서 의미 있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여러 교과 교사의 협력적 수업 연구가 우선되어야 하며 블록타임제, 자유학기 등을 활용하여 융통성 있는 수업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본 연구에 따른 후속 연구로 세계 민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 수업의 학습 대상을 확대하여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지도 방안 연구를 제언한다. 특히 다문화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통합적 음악 수업은 학생들의 문화적 이해의 폭을 넓힘으로써 다문화 감수성을 기르고 공동체적 역량을 심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통합적 음악 수업은 학생들의 시각과 사고의 틀을 확장시킴으로써 급변하는 미래 사회를 주도할 인재로서의 성장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본 교수∙학습 자료가 실제 교육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됨으로써 학생들이 다양한 음악 경험을 통해 음악적 시각이 확장되어 보다 폭넓은 음악 세계를 향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