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3 Download: 0

중도입국자녀 대상 방문교육지도사의 상호문화적 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중도입국자녀 대상 방문교육지도사의 상호문화적 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tercultural Practical Experience of Visiting Education Instructors for Migrant Background Children
Authors
이한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태현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intercultural practical experiences of visiting education instructors for migrant background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revealed that the teacher who ca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igrant background children and take charge of the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is the visiting educational leader. Visiting educational instructors visit the subjects' homes and conduct classes through direct face-to-face meetings, providing insight into not only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igrant background children, but also peer relationships and home environment related to school adaptation. Second, in-depth analysis of the actual experiences of those who provide services in visiting education projects can enhance the expertise for specific targets. To this end, the researcher proposes an intercultural capacity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migrant background children and to form relationship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ultural contexts. Furthermore, we will analyze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visiting educational instructors based on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s to grasp the reality of visiting educational services for migrant background children. Third, I would like to reduce the individual burden of visiting educational instructors by presenting a intercultural approach in visiting educational classes and services. so I would like to suggest intercultural literacy lessons that can be conducted jointly by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family life instructors. Intercultural practice of intercultural cultural experiences by analyzing the intercultural practice experiences of visiting educational instructors for migrant background children Divided into. The result of categorizing and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migrant background children including subcategories and codes is as follows. first, the visiting education leader was trying to lead a intercultural encounter with migrant background children. In order to proceed with visiting education classes for migrant background children, they tended to start with basic learning by lowering their instructional goals than those of Korean-born multicultural children. Second, visiting education teachers and migrant background children formed “co-cultural spaces” in visiting education classes, where they met and mixed with each other and experienced the strangeness together. Third, visiting educational instructors tried to increase the motivation for visiting educational classes of migrant background children by using intercultural dialogues and encourage career exploration to increase the independent independence of migrant background children. Bu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due to the nature of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nterviews. As a supplemen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or the research method that combin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o conduct further follow-up studies for migrant background children.;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는 여성가족부에 소속된 다문화전문인력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집을 직접 방문하여 방문교육사업을 수행한다. 방문교육지도사는 다양한 배경을 지닌 이주민을 대상자로 만나게 된다. 방문교육지도사가 만나는 대상은 주로 결혼이민자, 대한민국에서 출생하여 다문화 배경을 지닌 국내출생자녀, 국외에서 태어나서 성장하다가 한국으로 들어온 중도입국자녀이다. 본 연구목적은 ‘중도입국자녀에 대한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상호문화적 실천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중도입국자녀를 대상으로 실천경험이 있는 방문교육지도사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질적 연구 방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도입국자녀가 한국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학습방안과 방문교육지도사의 전문적인 역량에 대해 적절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지향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입국자녀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특성에 맞는 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교사가 방문교육지도사임을 밝힌다. 방문교육지도사는 대상자의 집을 직접 방문하여, 1:1의 대면을 통해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중도입국자녀에 대한 개인적인 특성뿐 아니라 학교적응과 관련된 또래관계 및 가정적인 환경까지 내밀하게 통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중도입국자녀가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전문적이고 적절한 개입을 수행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전문가가 방문교육지도사라고 보았다. 둘째, 방문교육사업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들의 실제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특정대상자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중도입국자녀와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다양한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상호문화역량을 제시하고자 한다(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 through education, 2014). 더 나아가 방문교육지도사의 실천경험을 상호문화관점에 따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중도입국자녀에 대한 방문교육서비스의 실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중도입국자녀의 특성을 반영한 방문교육수업에 시사점을 제공해주고자 한다. 셋째, 방문교육수업 및 서비스에서 상호문화적 접근방법을 제시하여 방문교육지도사의 개별적인 부담을 줄여주고자 한다. 방문교육지도사의 수업은 서비스 대상자에 따라 갖추어진 지침서를 통해 진행된다. 그러나 중도입국자녀를 대상으로 지침서를 적용하기 쉽지 않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입국자녀가 처해있는 환경과 상황은 개인마다 천차만별로 다양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수준을 보이는 중도입국자녀를 대상으로 제공된 단일 지침서를 사용하는 것은 수업 진행에 어려움을 가져온다. 둘째, 방문교육지도사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지침서가 다르기 때문이다. 방문교육지도사는 한국어교육지도사와 가족생활지도사로 분류된다. 한국어교육지도사는 중도입국자녀를 대상으로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 교재를 사용한다. 가족생활지도사는 중도입국자녀를 대상으로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지침서를 사용한다. 그러나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지침서는 언어적 소통이 가능한 국내출생 다문화자녀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는 중도입국자녀라는 같은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방문교육사업에서 사용하는 교재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가족생활지도사가 사용하는 지침서는 중도입국자녀의 특성을 반영한 지침서로 보기가 어렵다. 이러한 한계는 중도입국자녀의 상황과 상태에 따라 방문교육지도사의 개별적인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한국어지도사와 가족생활지도사가 공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호문화학습을 제시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