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5 Download: 0

생활습관 및 근무형태와 고혈압 발생의 관련성

Title
생활습관 및 근무형태와 고혈압 발생의 관련성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life style and working pattern incident hypertension :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2001-2016)
Authors
천지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성복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evance of lifestyle and work patterns and high blood pressure generation to the general population, and to prioritize them by comparing the influence of each individual factor to prepare basic data for efficient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ypertension. The research data used data from 2001 to 2016 from the Korea Genome Mechanics Survey Cohort Business Community Based Cohort, which was colle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5,759, with 2,704 men and 3,055 women. The analysis method conducted a Cox proportional risk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evance of lifestyle and work patterns and high blood pressure generation, and calculated the percentage of population contribution risk of living habits and service types using the levin's formula. The link between lifestyle and work patterns and high blood pressure occurrence was determined and in the case of physical activity, men were 1.159 times more likely to develop high blood pressure in model 3 (95% Cl:1.003-2.584). In the case of drinking, the risk of high blood pressure is 1.244 times higher if men drink (95% Cl: 1.026-1.509). For smoking, the risk of high blood pressure in Model 3 is 1.063 times higher if men smoke (95% Cl:1.036-1.204). For meat consumption, the risk of high blood pressure in Model 3 is 1.244 times higher if men consume it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95% Cl: 1.066-1.453). For sodium intake, the risk of high blood pressure in model 3 was 1.401 times higher if men consumed more than 4,000 mg (95% Cl: 1.081-1.596) and for women if they consumed more than 4,000 mg, the risk of high blood pressure in model 3 was 1.241 times higher (95% Cl:1.095-1561). In addition,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that each factor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alculating the population contribution risk ratio, men consumed the most sodium, with 22 percent, followed by 13 percent for those who were less physically active and 12 percent for those who were currently drinking. Women had the largest influence with 15 percent of sodium intake, followed by 11.5 percent for those who work shifts and 8.43 percent for those who have less physical activity. Sodium intake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high blood pressure. Based on this, it means that effective high blood pressure prevention and management will be possible if diet management and health education are implemented that can control sodium intake. This study calculated the population contribution risk fraction to compare the influence of lifestyle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hypertension. Since population contribution risk-sharing rates values can vary depending on individuals and populations, prevention strategies for diseases are important,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on various lifestyle factors that may affect future high blood pressure generation.;본 연구는 일반인구를 대상으로 생활습관 및 근무형태와 고혈압 발생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각 개별 요인의 영향력을 비교하여 우선순위를 정해 효율적인 고혈압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데이터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집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 코호트 사업 지역사회기반코호트 2001년부터 2016년 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총 대상자는 5,759명으로 남성 2,704명과 여성 3,055명이다. 분석방법은 생활습관 및 근무형태와 고혈압 발생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콕스비례위험분석을 실시하고, levin’s 공식을 사용하여 생활습관 및 근무형태의 인구집단기여위험분율을 산출하였다. 생활습관 및 근무형태와 고혈압 발생의 관련성을 파악한 결과 신체활동의 경우 남성은 저강도 운동을 할 때 모형 3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이 1.159배 높았다(95% Cl: 1.003-2.584). 음주의 경우 남성이 음주를 한다면 고혈압 발생 위험이 1.24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5% Cl: 1.026-1.509). 흡연의 경우 남성이 흡연을 한다면 모형 3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이 1.06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5% Cl: 1.036-1.204). 육류 섭취의 경우 남성이 육류 주 3회 이상 섭취를 한다면 모형 3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이 1.24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5% Cl: 1.066-1.453). 나트륨 섭취의 경우 남성이 4000mg 이상 섭취를 한다면 모형 3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이 1.40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95% Cl: 1.081-1.596), 여성이 4000mg 이상 섭취를 한다면 모형 3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이 1.24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5% Cl: 1.095-1.561). 추가적으로 독립변수간의 영향력을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 각 요인들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집단기여위험분율을 산출한 결과 남성은 나트륨 4000mg 섭취 군이 22%로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신체 활동 적은 군 13%, 현재 음주를 하는 군 12%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나트륨 4000mg 섭취 군이 15%로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교대 근무를 하는 군 11.5%, 신체 활동 적은 군 8.43% 순으로 나타났다. 나트륨 섭취가 고혈압 발생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나트륨 섭취를 조절할 수 있는 식단 관리 및 보건 교육을 시행한다면 효율적인 고혈압 예방 및 관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고혈압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요인의 영향력을 비교하기 위해 인구집단기여위험분율을 계산하였다. 인구집단기여위험분율 값은 개인 및 인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질병에 대한 예방 전략이 중요하고, 향후 고혈압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생활습관 요인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