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오은하-
dc.creator오은하-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2:58Z-
dc.date.available2020-02-03T16:32:5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41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414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210-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 독자들의 다문서 이해 양상 및 유형에 근거하여 다문서 읽기 전략을 도출하고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서와 관련된 연구 및 교육의 현상과 이론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문서 이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다문서 이해 과정을 탐색, 통합, 비판으로 설정하면서 각 하위 요소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고등학생의 다문서 이해 양상을 추출하기 위한 연구를 설계하고, 중·고등학생 1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근거로 중·고등학생 독자들의 다문서 이해 양상을 다각적·다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독자들의 다문서 이해 특성을 심화 분석하기 위해 분석(cluster anlaysis)를 실시하여 독자 집단을 이해 수준별, 이해 과정별로 유형화하고, 다문서 이해 전략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와 국내외 (자)국어 교육과정 검토를 바탕으로 탐색, 통합, 비판 중심의 다문서 이해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다문서 이해 양상, 유형, 전략, 교육 내용 체계화 순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중등학생 독자들의 다문서 이해 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일문서 이해와 다문서 이해의 비율은 7:3으로 나타났다. 단일문서를 읽을 때 1인당 발화 빈도는 중학생의 경우 128회, 고등학생의 경우 127.3회로 나타났고, 다문서 읽기는 중학생의 1인당 발화 빈도가 57.4회, 고등학생이 52.1회로 나타나 학교급에 상관 없이 두 읽기 장면의 발화 차이는 2배 넘게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중등학생 독자들에게 다문서 읽기가 수월한 과제가 아니라는 것을 시시한다. 둘째, 다문서 이해 과정별 분석 결과 다문서 이해 과정 중 통합의 비율이 44.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탐색이 36.1%, 비판이 19.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볼 때, 중‧고등학교 독자들은 여러 글을 찾아가며 읽는 것이나 공통점, 차이점을 계속해서 연결하며 읽는 것은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지만 복수의 글을 연계하여 평가하고 그에 대한 비판적 의견이나 대안을 제시하는 것에는 비교적 미숙한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매체별 다문서 이해 분석 결과, 인터넷 다문서 이해보다 인쇄 다문서 이해에서 통합과 비판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빈도 순으로 나열하면 인쇄 다문서 통합이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그 다음은 인터넷 다문서 통합, 인쇄 다문서 비판 순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다문서 비판이 가장 적다. 독자들은 인터넷 글보다 인쇄 글을 읽을 때 다문서 통합과 비판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다문서 이해 과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문서 탐색은 다문서 통합 및 다문서 비판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에 비해 다문서 통합과 다문서 비판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문서 이해와 다문서 이해의 상관관계를 지니는지 알아본 결과, 단일문서 이해와 다문서 이해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문서 이해와 다문서 이해 간의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낮다는 결과는 다문서 이해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중등학생 독자들의 다문서 이해 유형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군집 분석과 질적 판단 결과, 다문서 이해 수준 및 과정을 기준으로 다음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해 수준별 유형은 ‘능숙한 독자, 중간 독자, 미숙한 독자’로 군집화되었고, 각 집단은 다문서 탐색, 통합, 비판의 능숙성을 기준으로 구분되었다. 이해 과정별 유형은 ‘다문서 통합 및 비판 중심 독자, 다문서 탐색 중심 독자’로 구분되었다. 다문서 탐색 중심 독자는 다문서 통합과 비판에 비해 다문서 탐색을 능숙하게 수행하는 독자, 다문서 통합 및 비판 중심 독자는 다문서 탐색에 비해 다문서 통합과 비판을 능숙하게 수행하는 독자 유형이다. 독자의 이해 수준별 유형은 차후 교육 내용 조직의 수준과 범위 설정에 참고가 될 것이다. 과정별 독자 유형이 도출되었다는 것은 다문서 이해의 일부 과정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는 독자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중등학생 독자들의 다문서 이해 전략을 탐색, 통합, 비판의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다문서 탐색적 이해 전략은 다중적 접근, 거시적 조망, 읽기 경로 구축 전략으로 유형화되었다. 다중적 접근 전략은 한 가지가 아닌, 두 가지 이상의 방식을 통해 원하는 텍스트가 있는 공간으로 진입하는 전략이다. 거시적 조망 전략은 검색 결과들을 클릭하기 전이나 후에 여러 텍스트에 담긴 공통의 정보들을 파악하며 읽는 전략을 의미한다. 읽기 경로 구축 전략은 독자들이 텍스트를 선별하면서 자신만의 텍스트 목록을 만들어 나가는 전략이다. 둘째, 다문서 통합 전략은 텍스트 간 의미 정교화, 텍스트 간 구조 형성, 텍스트 간 다면성 이해 전략으로 도출되었다. 텍스트 간 의미 정교화 전략은 각 텍스트 간 정보의 차이로 인해, 특정 텍스트의 저자가 의도하지 않은 내용을 추론하거나 독자가 이해되지 않는 내용을 파악하는 전략이다. 텍스트 간 구조 형성 전략은 각 텍스트에 담긴 정보나 정보원을 중심으로 텍스트를 배열하고 조직하면서 다문서 읽기 상황에서 문서들 간의 상호텍스트적 관계(intertextual relationship)를 형성하는 것이다. 텍스트 간 다면성 이해 전략은 각 텍스트와 관련된 참여 주체나 사회‧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여 통합적 의미를 구성하는 것이다. 셋째, 다문서 비판 전략은 다문서 평가, 반론 및 대안 제시, 신념 성찰 및 실천 다짐 전략으로 범주화되었다. 다문서 평가는 다양한 텍스트들의 정보와 정보원에 대해 평하는 전략 범주이다. 반론 및 대안 제시 전략은 다양한 텍스트를 읽으면서 텍스트에 전제된 기본 관념과 가정들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신념 성찰 및 실천 다짐 전략은 여러 텍스트를 읽으면서 자신이 현재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의견의 어떤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개선할 부분이 있는지를 스스로 반추하며 이를 행위적 실천으로 연계하는 움직임을 보이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료 분석 결과와 국내·국외(호주, 뉴질랜드, 미국, 일본) 교육과정 검토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 체계화의 방향을 제시하고, 다문서 교육의 목적 및 목표, 교육 내용 체계, 세부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교육 목적 및 목표는 ‘지식, 방법, 태도’를 중심으로 설정하고 이들이 핵심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어야 함을 명시하였다. 내용 체계는 ‘내용 범주’와 ‘핵심 개념’을 두 축으로 구성하여 교육 목표를 구체화하고 교육 내용의 틀을 제시하는 바탕이 되도록 하였다. 내용 선정과 조직을 위해 Ⅳ장에서 분석한 중・고등학생 독자들의 다문서 이해의 ‘수준과 범위’를 재범주화하고 위계화하였다. 최종적으로 다문서 이해 교육 내용의 학교급별 ‘통합기준’과 ‘성취기준’을 병행하여 제시하였다. 교육 내용 체계화의 전 과정에서 단일 텍스트 읽기로는 도달하기 어려운 다문서 읽기의 다양한 측면들을 반영하여 구성하였고, 특히 기존의 다문서 이해 교육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다문서 이해 지식과 전략들을 상세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다문서 이해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지식이나 전략 습득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세계의 주체로 자립하고 성장하는 데 있음을 명시하고 다문서 이해 성향 함양을 포함한 태도 측면의 교육 내용을 강화하였다. 즉, 독자들이 다양한 텍스트를 찾고, 엮고, 따질 수 있는 능력을 지니도록 하는 교육이 되도록 구성하였으며, 나아가 텍스트라는 세계에 대한 이해 주체로서 자신 스스로를 성찰할 수 있는 독자가 되도록 교육 내용을 범주화하고 위계화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ultiple-document (hereafter, MD) reading strategies based on the MD understanding patterns and typ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readers and to design educational curriculum of reading. In order to pursue the purpose, the study consisted of the five steps. First, the study conceptualized the MD comprehension through examining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 Next, based on the theoretical modeling, the study identified three key MD comprehension processes: exploration, integration and critical evaluation. Through a think-aloud method and analysis, the third step wa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three MD processes and strategi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urth, the student group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cluster analyses of student data and were analyzed how the student groups differed in terms of the three MD processes. Last, the curriculum design and development of MD comprehension was propos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MD comprehension processes and strategies, as well as analyses of foreign countries’ curricular. The study results of the MD comprehension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revealed as follows. In order to identify the MD comprehension patterns, the students were grouped and examined by overall and detailed analyses. The overview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single-documents (SD) comprehension to multiple-documents (MD) comprehension was shown as a ratio of 7:3. Second, the analysis of the comprehension process showed that the ratio of the MD integration process was the highest at 44.1%, followed by MD exploration at 36.1% and MD critical evaluation at 19.8%. The MD exploration rat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as 44.3% (178 times), about 20%p (percent point) higher than those of high school students (27.1%). It meant that the high school students outperformed the MD integration and critical evaluation than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 MD process,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find and search text information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but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integrate and texts critically than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results of MD comprehension patterns by the media were conducted. Both integration and critical evaluation were higher in the comprehension of printed documents than the digital documents. In terms of frequency, the most frequent pattern was MD integration in printed texts, followed by MD integration in the digital texts, MD critical evaluation in printed texts, and MD critical evaluation in the digital texts. Regardless of the media, MD integration reached a higher degree than the MD critical evaluation. Fourth,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D comprehension processes showed that the MD explor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MD integration and MD exploration, respectively, but it was not reach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e the other hand, MD integ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D critical evaluation,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D and MD showed that there was a weak and a negative correlation despite not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nalysis of MD comprehens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was revealed as follows. The group was divided into advanced readers (M2, M3, M7, H2), intermediate readers (M5, M6, H3, H4, H6), novice readers (H5), MD critical exploration and critical readers (H1, H7), and MD exploration readers (M4). They were also categorized in terms of“level of comprehension” and “process of comprehension.” A group of advanced readers was a type of reader who was generally adept at exploring, integrating and criticizing multiple documents. A group of intermediate readers was a type of reader who generally carried out the search, integration and critical evaluation of multiple documents at a moderate level. A group of novice readers demonstrated a low level of performance in all processes. The MD critical exploration and critical readers showed more exploration than integration and critical evaluation, while the MD critical evaluation reader was a type of reader who performed integration and critical evaluation skills more than explor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D comprehension strategies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D exploration strategy began when readers entered the internet space in the desired text through more than one method. Second, an overviewing strategy was related to identifying and reading the common information contained in multiple texts before or after clicking on search results. Third, the reading path deployment strategy was used as readers created their own text lists while screening irrelevant texts. Next, the MD integration strategy was a group of strategies, semantically elaboration strategies between texts. The strategic patterns of the students appeared as follows. First, the readers identified and constructed text's meaning, by comparing and constating differences in information presented in each text. Second, a strategy of constructing the structure between texts was presented in order to form an intertext relationship while arranging and organizing text around the information or sources contained in each text. Third, a strategy of the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f multiple texts was used to construct an integrated meaning by considering the participating agency of texts (e.g., author) or socio-historical backgrounds associated text. A third type of strategy, the MD critical evaluation strategy, was as follows. First, MD critical evaluation was a type of the strategic category that reviewed the information and sources of various texts. Second, the counter argument and alternative presentation strategy was to raise questions about fundamental concepts and assumptions underlying the texts while reading various texts, and then to seek new solutions. Third, the strategy of self-assessment and reflection were a group of strategies consisted of reflecting on oneself and evaluating texts by examining what was wrong with, what was there to improve, and what to move toward action. In Chapter V, the MD education contents and curriculum were developed while specific education measures were developed for educational application. Based on the educational contents extracted, the content hierarchy and related curriculum were designed to provide MD comprehension education at each school level. The principles of hierarchical educ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were presented at each school level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D comprehension processes as well as students’ developmental paths. In addition, the currently developed categorie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e., MD exploration, MD integration, and MD critical evaluation) were compared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proposed for new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dimensions of the MD comprehension education beyond teaching comprehension of single texts in the traditional way. It also state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MD comprehension education did not make student to assimilate a pre-maid knowledge or mechanical strategies, but to help readers stand on its own and grow as an active learner in the world by possessing an active attitude and agency. In summary, it was discussed that the education system should be organized that help readers use diverse information and sources, question texts that were unquestioned, and reflect on themselves as an understanding agent of the world of tex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사 검토 6 1. 다문서 읽기 연구 6 2. 인터넷 텍스트 읽기 연구 12 3. 비판적 읽기 연구 18 C. 연구 내용 및 방법 24 Ⅱ. 다문서 이해 교육을 위한 이론적 토대 27 A. 다문서 및 다문서 이해의 개념 27 1. 기존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27 2. 다문서의 개념 및 특성 32 3. 다문서 이해의 재개념화 및 유관 개념 38 B. 다문서 이해의 과정 및 요소 45 1. 기존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45 2. 다문서 탐색적 이해 52 3. 다문서 통합적 이해 59 4. 다문서 비판적 이해 67 C. 다문서 이해의 요인 및 구조 78 1. 다문서 이해의 영향 요인 78 2. 다문서 이해의 작용 구조 87 Ⅲ. 연구 방법 93 A. 연구 참여자 94 1. 예비 실험 94 2. 본 실험 99 B. 연구 도구 103 1. 텍스트 및 과제 103 2. 사고 구술 117 3. 활동지 121 4. 사후 면담 124 C. 자료 분석 125 1. 분석 방법 및 절차 125 2. 자료 관리 및 변환 129 3. 자료 확인 및 분석 132 4. 분석자 간 신뢰도 확보 141 Ⅳ. 중등학생 독자들의 다문서 이해 결과 분석 143 A. 다문서 이해 양상 143 1. 다문서 이해 양상 개관 143 2. 다문서 이해 양상 심화 분석 152 B. 다문서 이해 독자 유형 182 1. 이해 수준별 독자 유형 185 2. 이해 과정별 독자 유형 195 C. 능숙한 독자의 다문서 이해 전략 199 1. 다문서 탐색 전략 200 2. 다문서 통합 전략 208 3. 다문서 비판 전략 219 Ⅴ. 다문서 이해 교육 내용 체계화 232 A. 기존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232 1. 국내 교육과정 검토 232 2. 국외 교육과정 검토 247 3. 교육 내용 체계화의 방향 263 B. 다문서 이해 교육 내용 설계 266 1. 목적 및 목표 266 2. 내용 체계 270 3. 교육 내용 272 Ⅵ. 결론 및 제언 287 참고문헌 293 부록 1: 연구 안내문 및 동의서 319 부록 2: 사고 구술 시범 활동지 320 부록 3: 실험 자료 텍스트 322 부록 4: 과제 및 활동지 328 ABSTRACT 3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460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다문서 이해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탐색, 통합, 비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duca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of multiple-document (MD) comprehension: Focusing on processes and strategies of exploration, integration, and critical evaluation-
dc.creator.othernameOh, Eunha-
dc.format.pagexi, 33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