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1 Download: 0

라일락유치원 만3세 유아들의 음악활동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Title
라일락유치원 만3세 유아들의 음악활동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Other Titles
Ethnographic study about music activity among three-year-old children in Lilac Kindergarten
Authors
이지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본 연구는 라일락유치원 만3세 풀잎반 유아들의 하루일과에서 나타나는 음악활동에 대해 분석하고 그 성과를 살펴봄으로써 현장의 교사들에게 음악활동의 이해를 돕고 음악활동이 내포한 성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라일락유치원 만3세 풀잎반 유아들은 하루일과 중 어떠한 음악활동을 하는가? 2. 라일락유치원 만3세 풀잎반 유아들의 음악활동의 성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라일락유치원 만3세 풀잎반 유아 20명과 교사 1명을 대상으로 실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7년 3월 30일부터 2018년 2월 23일까지 실행하였으며, 참여관찰, 교사면담, 문서 수집과 동영상 촬영, 오디오 녹음, 현장 약기 등의 방법을 사용했다. 수집자료는 전사본을 만들고 범주화해가며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의 하루일과에 나타난 음악활동은 ‘음악 탐색하기’,‘음악 감상하기’,‘음악 표현하기’이었다. ‘음악 탐색하기’에서 유아들은 유치원에 있는 도구를 악기처럼 사용했고 키보드를 가장 흥미있어 했다. ‘음악 감상하기’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감상하며 유아들이 음악에 반응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갖게 했다. 이 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음악적 요소를 이해했다. ‘음악 표현하기’에서 비형식적 음악표현은 유아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에 활용되었으며 언어의 역할을 했다. 이로써 음악활동이 언어활동과 연계됨을 알 수 있었다. 통합적 음악표현에서는 놀이상황에 자연스럽게 음악활동이 활용되면서 유아들이 본인의 욕구와 흥미를 음악적으로 표현하게 되었다. 음악 창작하기에서 유아들의 말리듬은 즉흥찬트 만들기에, 즉흥찬트는 노래만들기에 영향을 주었다. 이를 위해 교사는 유아들의 흥미와 요구에 맞는 음악활동을 제공했다. 그 결과 유아들은 음악적 요소를 이해하고 자신을 표현하는 능동적 음악활동을 하였다. 둘째, 만3세 풀잎반 음악활동의 성과는 ‘효과적인 의사소통’,‘구성원과 친밀감 형성’,‘음악의 생활화’,‘다양한 상호작용의 활성화’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유아들은 발성, 캐논, 말리듬, 추임새, 즉흥찬트를 사용했다. ‘구성원과 친밀감 형성’을 위한 음악활동으로 유아들의 경우, 노래부르기, 즉흥찬트, 노랫말 바꾸기를 활용했고, 교사는 노래부르기와 즉흥찬트를 했다. 특히 교사가 사용하는 즉흥찬트는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모방해 음악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음악의 생활화’의 유아는 교사가 선정한 다양한 장르의 곡들을 자연스럽게 들으며 음악활동이 활성화되었고 행복해졌다. ‘다양한 상호작용 활성화’는 교사들이 유아 음악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적극적인 상호작용과 음악활동에 관심을 갖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들은 다양한 음악활동을 능동적으로 하게 되었다. 그 뒷받침에는 음악적 표현에 관심을 갖고 자료를 제공해 주며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교사가 있었다. 또한 유아들의 흥미와 요구를 반영하는 음률영역의 제공과 교사의 다양한 음악활동이 필요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음악활동의 이해를 돕고, 교육현장에서 광범위한 음악활동이 전개되어 적합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음악교육이 실행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help the teachers in the field understand musical activities and provide them with the results implied in the musical activities, by analyzing the musical activities in the daily routine of the children in the Grass Leaf Class of three-year-olds in Lilac Kindergarten and examining the results of the musical activities. The research questions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musical activities do the children in the Grass Leaf Class of three-year-olds in Lilac Kindergarten do in their daily routine? 2. What are the results of the musical activities of the children in the Grass Leaf Class of three-year-olds in Lilac Kindergarte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0 children and one teacher in the Grass Leaf Class of three-year-olds in Lilac Kindergarten located in Gyeonggi-do.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30, 2017 through February 23, 2018. The research methods used to collect data are participatory observation, teacher interview, document collection, video recording, audio recording, and field jotting.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making transcripts and categorizing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usic activities in the children’s daily routine were ‘exploring music’, ‘appreciating music’, and ‘expressing music.’ In ‘exploring music,’ the children used the tools in the kindergarten like musical instruments, and the keyboard was an interesting musical instrument. ‘Appreciating music’ enabled the children to have the ability to respond to and express music, appreciating music in various genres. Through this activity, the children understood musical elements. In ‘expressing music,’ non-formal musical expressions were utilized by the children to express their thoughts freely, serving as a language. By this, it was noted that musical activities were associated with linguistic activities. In comprehensive musical expressions, the children musically expressed their needs and interests as the music was naturally used in play situations. To do so, the teacher provided musical activities appropriate for children’s interests and demands. As a result, the children did the active musical activities of understanding musical elements and expressing themselves. Second, the results of the musical activities of the Grass Leaf Class of three-year-olds were ‘effective communication’, ‘forming an intimacy with members’, ‘making music a way of life’, and ‘vitalization of various interaction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the children used vocalization, canon, speech rhythm, rejoinder, and impromptu chant. As musical activities for ‘forming an intimacy with members,’ the children used singing a song, impromptu chant, and changing lyrics, and the teacher also used singing a song and impromptu chant. Especially, the impromptu chant used by the teacher made the children naturally imitate it, which stimulated musical activities. ‘Making music a way of life’ vitalized musical activities and made the children happy as they naturally listened to music in various genres selected by the teacher. ‘Vitalization of various interactions’ allowed the teacher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children’s musical activities and be interested in their active interactions and musical activities. Through this study, the children actively participated in various musical activities. To achieve this, the teacher was interested in various musical expressions, provided materials and spared no supports. The teacher had to provide the domain of melody reflecting the children’s interests and demands and do various musical activities. Hopefu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musical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extensive musical activities will be develop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hat music education will be implemented in a desirable dire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