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시선추적을 활용한 구문 점화 과제에서 실어증 환자의 능동 및 피동 문장 산출 능력

Title
시선추적을 활용한 구문 점화 과제에서 실어증 환자의 능동 및 피동 문장 산출 능력
Other Titles
Active and passive sentence production ability under conditions of structural priming in aphasia : An eye-tracking study
Authors
신미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지은
Abstract
실어증이란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해 언어를 표현하거나 이해하는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효율성의 저하를 보이는 상태로(McNeil & Pratt, 2001), 이러한 언어 처리과정에서 나타나는 효율성의 저하로 인하여 실어증 환자들은 문장 이해와 산출에 어려움을 보인다. 특히, 실어증 환자들의 피동문 이해와 산출에 대한 결함은 선행연구에서 여러 차례 보고되었으며(Grodzinsky, 1986; Linebarger et al., 1983; Faroqi-Shah & Thompson, 2003; Burchert et al., 2008; Thompson & Lee, 2009; Thompson et al., 2013), 피동문 이해와 산출에서 나타나는 결함에 대한 원인을 밝히기 위해 여러 가설과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실어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능동 및 피동 문장 이해와 산출에 대한 연구는 정반응수와 반응시간에 국한되어 이루어지고 있어 실시간 처리 과정을 살펴보기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시선추적기를 사용하여 실어증 환자의 능동 및 피동 문장 산출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선추적기를 활용하여 구문 점화 과제에서 정상 성인 및 실어증 환자의 능동 및 피동 문장 산출과정을 알아보았다. 또한 문장 유형별로 오반응에서 나타나는 오류 유형의 비율을 분석하여 문장 유형별로 나타나는 오류 유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정상 성인 10명과 실어증 환자 9명이었으며, 연구 과제로 동일한 구문구조의 점화 문장을 먼저 제시하여 목표 문장의 산출을 촉진하는 구문 점화 과제를 사용하였다. 구문 점화 과제는 능동형 15개, 피동형 15개로 총 30개의 점화 문장과 목표 문장으로 구성되었다. 실어증 환자의 능동 및 피동 문장 산출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정반응률과 문장 산출 소요시간이 분석되었다. 시선추적 분석은 문장 산출 구간별(Before Onset, NP1, NP2, V-End)로 관심 영역(행위자, 대상)에 대한 시선고정 횟수가 계산되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문 점화 과제에서 능동문 및 피동문의 정반응률과 문장 산출 소요시간을 살펴본 결과, 정상 성인과 실어증 환자 간 집단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어증 환자가 능동문과 피동문에서 정상 성인보다 정반응률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상 성인에 비해서 실어증 환자가 능동문과 피동문을 산출하는데 있어서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어증 환자의 정반응률과 문장 산출 소요시간에서 문장 유형(능동 vs. 피동)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구문 점화 과제에서 문장 유형별로 오반응에 대한 오류 유형을 살펴본 결과, 능동형 점화 문장 조건에서는 기타 오류(61.43%)-조사 오류(20.00%)-문장 유형 전환 오류(11.43%)-의미역 전환 오류(7.14%) 순으로, 피동형 점화 문장 조건에서는 기타 오류(57.61%)-문장 유형 전환 오류(25.00%)-의미역 전환 오류(13.04%)-조사 오류(4.35%) 순으로 나타났다. 문장 유형별로 나타나는 오류 유형의 비율이 다르게 나타나 능동 및 피동 문장 산출에서 문장 유형에 따라 주로 보이는 결함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선추적 분석 결과, 정상 성인의 정반응과 실어증 환자의 정반응은 능동문과 피동문에서 모두 관심 영역(행위자, 대상)의 시선고정 횟수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문장 산출 구간이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실어증 환자들이 능동문과 피동문을 처리하는 과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때 정상 성인과 비슷한 처리 과정을 거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에, 실어증 환자의 오반응은 관심 영역(행위자, 대상)의 시선고정 횟수의 차이가 나타나는 문장 산출 구간이 정상 성인과 실어증 환자의 정반응과 다른 형태를 보여 문장 산출 처리과정이 정상 성인과 실어증 환자의 정반응에서 나타나는 것과 질적으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상 성인과 실어증 환자 모두 능동 및 피동 문장을 적절하게 산출하기 위해 ‘행위자’ 의미역에 비하여 ‘대상’ 의미역을 오랫동안 응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상’ 의미역의 처리가 한국어의 능동문과 피동문의 성공적인 산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Aphasic patients show difficulties in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sentences due to the degradation of efficiency in various areas due to the damage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McNeil & Pratt, 2001). Deficits in understanding and processing of passive sentences in aphasic patients have been reported several times in the previous studies(Grodzinsky, 1986; Linbarger et al., 1983; Faroqi-Shah & Thompson, 2003; Burchert et al., 2008; Thompson & Lee, 2009; Thomas et al., 2013). Many hypotheses and controversies have been made to determine the cause of defects in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of passive sentences in aphasic patients. However,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accuracy and reaction time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al-time processing of active and passive sentence production for aphasic patients in Korea using an eye-tracking method and analyzed error types in each of sentence type. Nine patients with aphasia and ten age- and education-matched normal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performed a structural priming task. The structural priming task was consisted of prime sentences and target sentences with 15 active and 15 passive sentences. Participants repeated prime sentence first, and then described picture events using the same verb. Accuracy and speech onset latencies from speech regions(NP1-NP2-V-End) were analyzed and fixation count of AOI(Agent, Theme) from speech regions(Before onset, NP1, NP2, V-End) were analyzed for eye movement measur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phasic patients performed significantly less accuracy than normal adults in both active and passive sentences and they also took significantly longer time to produce both type of sentences accurately than normal adults indicating aphasic patients have difficulties of sentence production in both sentence typ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ntence type(active vs. passive) in both accuracy and speech onset latency in normal adults and aphasic patients. Second, the frequency of error types was different among sentence type in aphasic patients. In active primed condition, the rates of error types were in the order of Others-grammatical morphology errors-sentence type errors-Role Reversals. In the case of passive primed condition, the rates of error types were in the order of Others-sentence type errors-Role Reversals-grammatical morphology errors. Different rates of error types appeared for sentence type indicate that aphasic patients show different deficits for each of the sentence type. Lastly, the result of eye movement measurements suggests that eye movements of aphasic patients were qualitatively similar to those of normal adults in correct respons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rror, eye movements of aphasic patients were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ose of normal adults. In addition, fixating ‘target’ more than ‘ag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ful production of active and passive sentences in the Korean langu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