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박민정 | - |
dc.contributor.author | 이현교 | - |
dc.creator | 이현교 | - |
dc.date.accessioned | 2020-02-03T16:32:51Z | - |
dc.date.available | 2020-02-03T16:32:51Z | - |
dc.date.issued | 2020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163584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584 | en_US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181 | - |
dc.description.abstract | 현대사회는 스마트폰이 보편화되고, 소셜미디어의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사람들은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손쉽게 이용 가능한 SNS를 통해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기업은 SNS를 필수적인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저렴한 비용으로 SNS를 관리하면서 브랜드 평판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SNS 이용자들은 이상적인 모습에 노출되면서 높아진 사회적 기준으로 인해 내면화하고, 타인과의 비교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신체에 있어 의식하고 관찰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신체만족도가 떨어지게 되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SNS를 통해 타인과 소통하면서 더 나은 모습을 위해 외모관리행동에 신경 쓰는 것은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SNS 사용의식을 제고할 필요성이 있다. 최근 들어, 신체의 체형부터 인종까지 다양성을 존중하는 ‘자기 몸 긍정주의(The Body Positivity Movement)’ 운동처럼 패션 브랜드나 기업에서도 고객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 편안함을 추구하는 것이 보편화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SNS 활용도가 증가하는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SNS를 관찰함으로써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태도와 행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나 신체이미지 연구에서 사용되는 사회심리이론 사회비교이론을 중심으로 SNS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SNS를 많이 활용하는 사람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성향을 밝히고, 성향으로 인해 나타나는 신체이미지 태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SNS 뷰잉(Viewing) 활동으로 인한 내면화, 사회비교 성향을 알아본다. 둘째, 내면화 성향이 사회비교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셋째, 내면화 성향이 신체 감시와 신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넷째, 사회비교 성 향이 신체 감시와 신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다섯째, 신체감시와 신체만족도가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SNS 중독성, FOMO(Fear Of Missing Out), 외모 조건부 자기 가치감에 따라 SNS 뷰잉, 내면화, 사회비교, 신체감시, 신체만족도, 외모관리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분석에는 SNS 계정을 하나 이상 갖고 있으며, 최근 일주일 내에 SNS 이용 경험이 있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리서치 전문업체를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462부의 설문지가 본 연구를 위한 분석에 사용되었다. 통계분 석을 위해 SPSS 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3.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SNS 뷰잉 활동이 내면화 성향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비교 성향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내면화 성향은 사 회비교 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NS 뷰잉 활동이 사회비교 성향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지만 내면화 단계를 거쳐 간접적인 영향으로 사회비교 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내면 화 성향이 신체 감시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신체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로, 사회비교 성향이 신체 감시와 신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로, 신체감시와 신체만족도는 외모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NS 중독성, FOMO, 외모 조건부 자기 가치감에 따라 SNS 뷰잉, 내면화, 사회비교, 신체감시, 외모관리행동에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SNS 뷰잉으로 인해 나타나는 내면화, 사회비교 성향으로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SNS와 신체이미지 관련 연구분야의 입지를 넓히는데 학문적 의 의를 갖는다. 둘째, SNS 활동이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내면화 단계를 거쳐 사회비교에 이르는 과정을 검증하면서 이론적 매커니즘을 입증하였다. 셋째, SNS는 사람들에게 심리적인 태도나 행동에 막대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 었기 때문에, SNS를 제공하는 브랜드나 기업 또는 콘텐츠 개발자들은 이용자에게 다양성을 존중하면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광고 모델 또는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SNS 이용률이 높은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나, 연구대상의 일반화 한계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령대를 고르게 분포하여 연령대별 SNS 이용 의 비교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게시물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타인의 게시물 관찰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라이프 스타일 중심인 일반 소비자 게시물의 특성과 제품 홍보 중심인 기업이나 브랜드의 게시물 특성에 있어 차이가 있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게시물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SNS 종류별로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SNS가 다양해지면서 기능적인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SNS 종류별로 차이를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In modern society, smart phones are becoming common and social media are continuously developing. People for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SNS that is easily available beyond time and space constraints, or companies use SNS as an essential marketing tool. From the standpoint of a company, it has the advantage of managing the brand reputation while managing SNS at low cost. However, SNS users internalize due to the high social standards as they are exposed to their ideal appearance, and they become conscious and observe their body through the comparison process with others. As a result, body satisfaction is likely to be negatively affected. Although it can be an advantage to care abou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or better appearance while communicating with others through SNS, it is necessary to raise positive SNS use consciousness because it is likely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self-esteem. Recently, it is necessary to pursue comfort by approaching customers intimately in fashion brands and companies like ‘The Body Positivity Movement’ that respects diversity from body type to r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ttitude and behavior that can affect by observing SNS reflecting the trend of the times when SNS utilization incr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ndency to appear in people who use SNS a lo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endency on body image attitud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examine the internalization and social comparison tendency of SNS viewing activities. Second, examine whether internalization tendencies affect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Third, examine the tendency of internalization is body surveillance and body satisfaction. Fourth, examine whether social comparison tendency affects body surveillance and body satisfaction. Fifth, examine whether physical surveillance and body satisfaction affec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ixth,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SNS viewing, internalization, social comparison, body surveillance, body 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SNS addiction, appearance contingent self-worth, and FOMO(Fear Of Missing Out). For this study, we surveyed women in their 20s who had at least one SNS account and who had experience using SNS within the past week. A total of 46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or this study.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AMOS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SNS viewing activity, the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nalization tendency. However, it did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comparison tendency. Second, internalization tend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comparison tendency. Therefore, the SNS viewing activity does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social comparison tendency, but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comparison tendency 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internalization stage. Third, internalization tend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dy surveillance, but not on body satisfaction. Fourth, social comparison tend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dy surveillance, and body satisfaction. Fifth, body surveillance and body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ixth, SNS addiction, appearance contingent self-worth, and FOMO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SNS viewing, internalization, social comparison, body surveill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expanding the location of SNS and body image related research field in that it verified the effect on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ith internalization and social comparison tendency caused by SNS viewing. Second, the study verified the theoretical mechanism by verifying the process of social comparison through the internalization stage in the effect of SNS activities on body image. Third, since SNS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huge influence on people's psychological attitude or behavior, brands, companies or contents developers who provide SNS contributed to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dvertising models or contents that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while respecting diversity to user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can be deriv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women in their 20s who have high SNS usage rate, but there is a limitation of generalization of the subjects.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use of SNS by age group by distributing age groups evenly.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postings.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observation of posts by others. Sinc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fe style-oriented consumer pos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or brand post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posts in future studies. Third, it is necessary to study by SNS type, and since SNS is diversified and shows differences in functional part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ifference by SNS type in the follow-up study.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Ⅱ. 이론적 배경 5 A. SNS 뷰잉(Viewing) 5 B. 내면화 10 C. 사회비교 11 D. 신체이미지 13 E. 외모관리행동 16 F. SNS 중독성 17 G. FOMO(Fear Of Missing Out) 18 H. 외모 조건부 자기 가치감 19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21 A. 연구모형 및 가설 21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8 C.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항목 28 Ⅴ. 연구결과 34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34 B. 측정 모델의 평가 36 C. 전체 연구모형 38 D. 집단 별 연구모형 41 E. 가설 검증 48 Ⅵ. 결론 및 논의 55 A. 연구의 요약 및 논의 55 B. 연구의 시사점 60 C. 한계점 및 후속 연구 제언 61 참고문헌 63 설문지 73 ABSTRACT 83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1066733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ddc | 600 | - |
dc.title | SNS 뷰잉(Viewing)으로 인한 신체감시와 신체만족도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translated | The effects of SNS viewing, body surveillance and body satisfaction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 - |
dc.creator.othername | LEE, Hyun Kyo | - |
dc.format.page | ix, 85 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 - |
dc.date.awarded | 2020. 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