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7 Download: 0
「대한제국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에 나타난 조선후기 동가 복식
- Title
- 「대한제국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에 나타난 조선후기 동가 복식
- Other Titles
- Late Joseon Dongga Costumes Shown in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 Authors
- 구영미
- Issue Date
- 2020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홍나영
- Abstract
- 이 논문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대한제국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에 묘사된 고종 연간의 동가 행차 시 참여 인물들의 복식에 대해 고찰한 연구이다. 「대한제국동가도」는 고종의 동가 행렬을 그린 그림으로 제목처럼 이 그림의 시대가‘대한제국’이라면 나타나야 할 황제의 황룡포나 호위군의 서양군복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이전에 있었던 여러 동가 행렬을 종합해 그려, 제목만 그린 시기에 맞추어 「대한제국동가도」라고 붙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 동가도에는 인물의 관직명, 의장(儀仗)명, 장면 설명의 묵서가 있고, 등장인물의 복식과 이동수단, 의장들이 세밀하게 그려져 있어 고종 연간 동가 행렬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대한제국동가도」 속 인물들의 복식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 전례서를 통해 조선시대 노부(鹵簿) 규정과 동가 시 행하는 절차, 참여자의 복식 규정을 살펴보고, 법전에 명시된 조선시대 신분별 복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한제국동가도」 속 왕은 익선관과 곤룡포, 군복을 입고 등장한다. 이조판서를 제외한 종친과 2품 이상은 담홍포를 입고 차면선을 들고 있고, 3품 이하는 흉배가 부착된 현록색 포를 입고 있다. 호위관원들은 융복, 군복, 갑주차림인데, 대부분이 군복차림이고, 금군청의 경우 전립의 백색 안올림, 백색 전대를 하여 다른 군과 차별화를 두었다. 군복의 경우 정조와 고종 연간을 비교하면 후대로 갈수록 전립의 모정은 둥글어지고 양태는 좁아졌으며, 전대의 길이는 길어졌다. 또 협수 소매의 붉은 색이 차지하는 부분은 점점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녹사는 하급관리이지만 품계가 있으면 흉배가 부착된 현록색 포에 오사모, 흑각대 차림을 하였다. 서리는 단령에 조아를 하고 ‘파리목관’이라고 불리는 무각평전건을 쓰고 있다. 집리는 직령 또는 단령을 입었다. 사령들은 소속에 따라 소창의, 철릭을 입거나 협수・괘자・전대・전립으로 이루어진 군복을 입었다. 군복을 입을 경우는 평시・군제업무에 동시에 입기 위함이었고, 전립의 안올림색으로 소속을 구분하였다. 별감은 홍직령을 입고 자건 또는 황초립을 썼고, 중금은 자색직령에 홍건을 썼다. 나장은 조건에 청반비의를 입었다. 나장의 반비의는 회화와 전세유물로 미루어 보아 앞길이 짧은 형태와 앞뒤 길이가 같은 형태가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 갈도는 담주색 반비의에 조건을 썼다.
호위하는 사람들로 훈련영마병은 전립 모정에 방색기와 같은 색 전우를 달고, 오초군 포수, 순령수, 대기수, 협연군, 중앙포수는 전건을 쓰고 협수에 호의를 입고 칼을 찼다. 무예별감은 자색 군복을, 군뢰는 협수에 호의를 입었으며 들고 있는 형구에 따라 모자가 달랐다. 군장군사와 포도군사는 아청색 괘자와 남전대를 착용하였고, 근장군사는 가죽 채찍을, 포도군사는 허리에 포승줄을 찼다. 기예군인은 호의를 입고 군뢰복다기와 유사한 모자를 썼다. 취고수는 흑협수와 황호의를 입고 전립을 쓰고 칼을 찼으며, 겸내취는 호수가 달린 황초립을 쓰고, 황의에 남전대를 하였다. 장악원의 악공은 꽃이 그려진 화화복두, 홍주의, 오정대를 하였고, 전악은 녹초삼, 은야대를 하였다. 의장군과 어연배는 홍의에 홍건을, 견마배는 황초립에 황의나 청의를 입었다. 안롱과 호상을 든 하례는 사령과 같은 복색을 하였다. 관복함을 메고 2품 이상 당상관을 따라가는 구종과 말구종은 흑협수에 전립을 썼으며, 통인은 황초립에 도포를 입었다.
「대한제국동가도」속 다양한 인물들의 복식을 살펴본 결과 이들은 고종 시대의 규범에 따라 각자 신분에 맞는 차림과 이동수단을 이용하였음을 알 수 있어, 문헌에 나오는 고종 연간의 다양한 신분의 복식과 이동수단에 대해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동가에 참여하는 문무백관은 도성 외 동가라면 모두 융복을 입어야 하고, 만약 동가의 목적상 단령을 입어야 한다면 모두 흉배가 부착된 상복인 현록색 포를 입어야 하는 것이 규정이다. 그러나 「대한제국동가도」속 3품 이하는 사모에 흉배가 부착된 상복인 현록색 포를 입고 있는 반면 종친과 2품 이상은 담홍색인 시복을 입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이는 2품 이상 당상관들이 멀리서 보아도 당상관이라는 것이 드러나기를 원해 담홍포를 입었을 것으로 보이나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다.
이미 다양한 콘텐츠로 사용되고 있는 정조의 수원 화성 행차와 같이 본 연구 결과도 대한제국 이전 고종의 동가 행렬 재현이나 각종 문화 콘텐츠 개발에 활용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lothes of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King Gojong’s Excursion on a Royal Carriage, focusing on“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大韓帝國動駕圖)(Housed in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Neither the Emperor’s royal robe nor the guards’ Western military uniforms appear in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which must be in the picture if it were drawn during the Korean Empire as shown by its title. Thu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just the title,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was put to meet the period when it was drawn, though several previous excursions on a royal carriage were comprehensively drawn.“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is a picture of King Gojong’s excursion on a royal carriage, in which the titles of the characters’ office, the names of ritual objects, and the ink writings of the descriptions of the scenes, the costumes and transportation of the characters, and ritual objects are drawn in detail. Thus, it is a precious resource for investigating King Gojong’s excursions on a royal carriage.
Through the book of ritual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ules about Nobu(鹵簿)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procedures in Dongga(動駕), and rules regarding the participants’costumes according to the procedures. Then it examines the costumes by each social status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specified in law books to analyze the characters’costumes in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In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the king appears in Ikseongwan, Gonryongpo, and military uniform. The royal family except for the Minister of Interior and Dangsanggwan(堂上官) of the second rank or higher put on in Damhongpo(淡紅袍) with Chamyeonseon(遮面扇) while Dangsanggwan in the senior grade of the third rank and Danghagwan(堂下官) put on Hyeonroksaekpo(玄綠色袍) to which a rank badge is attached. The guards put on Yungbok(戎服), Gunbok(軍服), and Gapju(甲冑), most of whom put on Gunbok. Guards of Geumguncheong(禁軍廳) put on white lining(Anolim) of Jeonlib(戰笠) and a white belt, different from the other soldiers. As for the military uniform, when the reign of King Jeongjo and the reign of King Gojong were compared, the top of the hat became rounder and the brim of the hat became narrower as time went by, while the length of the belt became longer. In addition, the red part of the sleeves of Hyeobsu(挾袖) tended to become longer.
Noksa(錄事) was a low-rank official but put on Osamo(烏紗帽) and Heukgakdae(黑角帶) in Hyeonrokpo to which a rank badge was attached if he had a rank. Seori(書吏) put on Joadae(絛兒帶) in Danryeong(團領) and Mugakpyeonjeongeon(無角平項巾) called ‘Parimokgwan(파리목관)’. Jibri(執吏) put on Jikryeong(直領) or Danryeong. Saryeong(使令) wore Sochangeui(小氅衣), Cheollik(天翼) or put on military uniforms consisting of Hyeobsu, Gwaeja(褂子), Jeondae(戰帶), and Jeonlib according to the unit. They put on military uniforms for ordinary affairs and military affairs simultaneously, and their unit was differentiated by the Anolim color of Jeonlib. Byeolgam(別監) wore Hongjikryeong(紅直領), put on Jageon(紫巾) in the city and Hwangcholib(黃草笠) outside the city. It seems that Junggeum(中笒) wore Jajeokjikryeong(紫的直領) and put on Honggeon(紅巾) and Tohwan(吐環) on the belt. Najang(羅將) wore Cheongbanbieui(靑半臂衣) with Jogeon(皂巾). Assuming from the paintings and relics, it seems that there were two types of Najang’s Banbieui, the shape of the shorter front and the shape of the same front and back. Galdo(喝導) put on Jogeon in Damjusaek(淡朱色) Banbieui.
For the guards, according to the unit, Ochogun-Posu(五哨軍砲手)wore Bangsaek(方色) Hoeui(號衣) and Mabyeong(馬兵) put on Jeonu(轉羽) in the same color as that of Bangsaek Flag on the top of Jeonlib. Muyebyeolgam(武藝別監) put on Jasaek-gunbok with Jeonlib. Gunloe(軍牢) put on Hyeobsu, Hoeui, and Jeonlib, with a different hat according to the instruments of torture they were holding. Sunryeongsu(巡令手) and Daegisu(大旗手) wore Hyeobsu and Hoeui and put on Jeongeon and a sword. Gunjanggunsa(近仗軍士) and Podogunsa(捕盜軍士) put on Acheongsaek(鴉靑色) Goeja and Namjeondae, and Geunjanggunsa put on a leather whip, and Podogunsa put on a rope. Hyeopyeongun(挾輦軍) put on Hyeobsu with Honghoeui, and Jungangposu(中央砲手) wore Hwanghoeui and put on Jeongeon.
Giyegunin(騎藝軍人) wore Hoeui and put on a similar hat to Gunroebokdagi(군뢰복다기). Chwigosu(吹鼓手) wore Heukhyeobsu and Hwanghoeui and put on Jeonlib and a sword, and Gyeomnachwi(兼內吹) put on Hwangcholib with Hosu(虎鬚) hanging on it and Namjeondae in Hwangeui. Jangakwon-Akgong(掌樂院樂工) put on Hwahwabokdu(花畵幞頭) with flowers drawn on it, Hongjueui(紅紬衣), and Ojeongdae(烏鞓帶), while Jeonak(典樂) put on Nokchosam(綠綃衫) and Eunyadae(銀也帶). Euijanggun(儀仗軍) put on Honggeon(紅巾) in Hongeui, and Gyeonmabae(牽馬陪) put on Hwangeui or Cheongeui in Hwangcholib. Gujong(驅從) following Dangsanggwan of the second rank or higher, carrying Gwanbokham put on Jeonlib or a unique hat in Heukhyeobsu, and Tongin(通引) wore Dopo(道袍) in Hwangcholib.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costumes of various characters in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they used costumes and transportation for their social status according to the norms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which became the momentum to verify the costumes and transportation of people of various social positions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in the literature visually.
However, according to the norms, Munmubaekgwan(文武百官) participating in Dongga should wear Yungbok for Dongga outside the city, and they should wear Hyeonroksaekpo, which is Sangbok(常服) to which a rank badge is attached if they had to wear Danryeong for the purpose of Dongga. However, Dangsanggwan in the senior grade of the third rank and Danghagwan in “Dongga Painting of the Korean Empire” wear Hyeonrokpo, which is Sangbok with Samo(紗帽) to which a rank badge is attached, while the royal family and Dangsanggwan of the second rank or higher wear Sibok(時服) in Damhong color. Thus, it seems that Dangsanggwan of the second rank or higher wore Damhongpo since they wanted themselves to be revealed as Dangsanggwan from a distance during the events like Dongga, but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a further study of this in the future. Like King Jeongjo’s Excursion to Suwon Hwaseong Fortress[수원화성행차], which is already used as various contents, hopefu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so be utilized for developing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king’s excursions on a royal carriage during the era of King Gojong.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의류산업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