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종설-
dc.contributor.author정홍미-
dc.creator정홍미-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2:47Z-
dc.date.available2020-02-03T16:32:47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29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294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16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학교협동조합이 운영되고 있는 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을 통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2019년 5월 27일부터 2019년 10월 25일 서울시 내 학교협동조합이 운영되는 3개 고등학교 252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사회적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Dubow&Ulman(1989)의 SSAS(the 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 척도를 한미현·유안진(1996)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공동체의식은 Chavis와 McMillan(1986)가 개발한 공동체의식지표(Sense of Community Index)를 바탕으로 김경준(1998), 박가나(2009), 이라영·신남수(2009), 신흥미(2010)의 연구를 토대로 수정 및 보완된 김지현(2016)의 공동체의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은 Sherer 외(1982)가 개발한 자기효능감 척도(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를 홍혜영(1995)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학교적응은 이규미·김명식(2008)이 타당화 한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 절차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의 간접효과 유의성은 Sobel test(1982)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및 공동체의식은 모두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사회적지지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효능감에 의해 부분 매개 되었다. 즉, 사회적지지를 높게 지각한 고등학생은 자기효능감도 높았으며 공동체의식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학교적응에 의해 부분 매개 되었다. 즉, 사회적지지를 높게 지각한 고등학생은 학교적응도 잘하였으며, 공동체의식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의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학교적응도 잘하며 이는 곧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공동체의식을 높이기 위한 학교협동조합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sense of community.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252 high school students operating school cooperatives in Seoul from May 27th, 2019 to October 25th, 2019.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3.0 program.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by 3 stages of multiple regressions by Baron and Kenny (1986).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was verified by Sobel test (1982).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and sense of community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sense of community was partially mediated by self-efficacy. In other words, high school students who perceived high social support had high self-efficacy and high sense of community. Third,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the sense of community was partially mediated by school adjustment. In other words, high school students who perceived high social support had good school adjustment and high sense of communit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foun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higher self-efficacy and better school adjustment, which influenced the sense of communit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of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supporting the need for school cooperatives to enhance the sense of commun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 제기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4 Ⅱ. 선행연구 고찰 5 A. 학교협동조합 5 B. 사회적지지와 공동체의식 7 C.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10 D.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12 E. 통제변수 14 Ⅲ. 연구방법 15 A. 연구모형 15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16 C. 측정 도구 17 D. 분석방법 19 Ⅳ. 연구결과 20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0 B. 주요 변인의 기초통계 21 C. 변인 간 상관관계 22 D. 연구모형 분석 23 Ⅴ. 결론 및 제언 28 A. 연구결과 및 논의 28 B. 연구의 함의 30 C. 연구의 한계점 32 참고문헌 34 부록 42 ABSTRACT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30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30-
dc.title학교협동조합 운영 고등학교 재학생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n Sense of Community of Students in High Schools operating School Cooperatives-
dc.creator.othernameJung, Hong Mi-
dc.format.pagevi, 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적경제협동과정-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적경제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