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7 Download: 0

암환자의 건강태도, 사회적지지, 인터넷건강정보신뢰도와 e-헬스리터러시의 관계

Title
암환자의 건강태도, 사회적지지, 인터넷건강정보신뢰도와 e-헬스리터러시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 among Health Attitude, Social Support, Internet Health Information Reliability and e-Health Literacy in Cancer Patients
Authors
김혜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건희
Abstract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e-health literacy, health attitude, social support, internet health information reliability in cancer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145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cancer, from September 23rd to October 11th in the year of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in SPSS/Win version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e-health literacy was 3.24±0.89 out of 5. The mean score of health attitude was 4.04±0.50 out of 5. The mean score of social support was 44.99±8.87 out of 60. The mean score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reliability was 3.28±0.88 out of 5. 3. The difference in e-health literacy between the general, health-related and Internet usage characteristics of the cancer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ower in 40(F=6.88, p=.001), higher in high school, university level(F=30.52, p<.001), and higher economic status(F=11.38, p<.001), the higher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F=5.14, p=.007), breast cancer patients(F=5.01, p=.008), surgery(F=3.14, p=.028), and the number of past illnesses was 2 or more(F=3.86, p=.023), the better the subjective state of health(F=3.86, p=.023), the greater the daily Internet use time (F=26.36, p<.001), and the higher the frequency of health-related Internet use (F=30.02, p<.001). 4. e-health literac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attitude(r=.35, p<.001), social support(r=.48, p<.001), internet health information reliability(r=.71,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health literac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education level, number of a family member, cancer diagnosis site, treatment method, number of diseases in the past, subjective health status, Internet usage time per day, frequency of health-related Internet usage. These research findings reveal that the health attitude, social support, and Internet health information reliability of cancer patient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health literac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more and more cancer patients are using health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more are using it to make treatment-related decisions. e-health literacy is required for cancer patients to use good health information effectively. However, nurses were less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patient's e-health literacy. Therefore, nurses have to conside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ancer patients, understand the level of e-health literacy, and identify the relevant factors that cause the level difference. ;암환자는 질병의 예후나 치료방법의 이해를 위해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인터넷의 발전은 건강관련 정보를 찾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으며 암 관련 정보의 원천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람들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 건강정보의 효과적인 활용은 건강정보를 찾고, 평가하고, 정보를 활용하거나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인 e-헬스리터러시에 따라 차이가 있다. e-헬스리터러시 수준이 낮은 환자는 인터넷건강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해 건강불균형이나 의료격차의 문제를 가질 수 있어 e-헬스리터러시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암환자의 e-헬스리터러시 수준을 확인하며 암환자의 건강태도, 사회적지지, 인터넷건강정보신뢰도와 e-헬스리터러시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9월 23일부터 2019년 10월 11일까지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145명을 편의 표집하여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sion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post 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남자가 80명(55.2%), 60대가 56명(38.6%)이었다. 대상자의 127명(87.6%)은 기혼이었고, 53.1%는 대졸 이상의 교육 수준이었으며 경제 상태는 “중” 정도가 110명(75.9%)로 가장 많았고, 동거 가족 수는 2-3명이 거주하는 경우가 95명(65.5%)이었다. 건강관련 특성에서 소화기암을 진단받은 대상자가 115명(79.3%)이었고, 암을 진단 받은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가 65명(44.8%), 항암요법을 받은 대상자가 52명(35.9%), 과거 앓았던 질환 수는 ‘없음’이 62명(42.8%), 주관적 건강상태는 ‘건강한 편이다’가 63명(43.4%)로 가장 많았다. 인터넷 사용 특성을 살펴보면,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 시간은 1∼2시간이 40명(27.6%)으로 가장 많았고, 건강관련 목적 인터넷 사용 빈도는 주 1∼2회 사용하는 경우가 50명(34.5%), 매일 사용하는 경우(주 5일 이상)도 16명(11.0%)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e-헬스리터러시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24±0.89점으로 중간 수준이었고, 건강태도의 평균은 5점 만점에 4.04±0.50점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입원 암환자의 사회적지지의 평균은 60점 만점 44.99±8.87점으로 높은 수준이었고, 인터넷건강정보신뢰도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28±0.88점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3. e-헬스리터러시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6.88, p=.001), 연령이 40대 이하인 경우 e-헬스리터러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e-헬스리터러시는 일반적 특성 중 교육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30.52, p<.001), 고졸과 대졸 이상이 중졸 이하보다 e-헬스리터러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e-헬스리터러시는 일반적 특성 중 경제 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11.38, p<.001), 경제 상태가 ‘상’과 ‘중’인 대상자가 e-헬스리터러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e-헬스리터러시는 일반적 특성 중 동거 가족 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5.15, p=.007), 혼자 사는 사람보다 다른 가족과 거주하는 경우 e-헬스리터러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e-헬스리터러시는 건강관련 특성 중 암 진단 부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F=5.01, p=.008), 유방암 환자가 소화기암 환자보다 e-헬스리터러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e-헬스리터러시는 건강관련 특성 중 과거 치료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3.14, p=.028), 수술을 받았던 환자가 다른 치료를 받은 암 환자보다 e-헬스리터러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e-헬스리터러시는 건강관련 특성 중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3.86, p=.023), 주관적 건강상태를 ‘건강하다’고 응답한 경우 e-헬스리터러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e-헬스리터러시는 인터넷 사용특성 중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26.36, p<.001),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 시간이 1시간 미만인 경우 e-헬스리터러시 수준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e-헬스리터러시는 인터넷 사용특성 중 건강관련 목적의 인터넷 사용 빈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30.02, p<.001), 건강관련 목적의 인터넷 사용빈도가 월 2회 이하인 경우 e-헬스리터러시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건강태도(r=.35, p<.001), 사회적지지(r=.48, p<.001), 인터넷정보 신뢰도(r=.71, p<.001)와 e-헬스리터러시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암환자의 건강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사회적지지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건강정보신뢰도 인식이 높을수록 e-헬스리터러시 수준이 높았다.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발전으로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로가 다양해졌지만 개인의 e-헬스리터러시 수준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암환자가 인터넷건강정보를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 e-헬스리터러시 수준을 사정하는 것은 간호중재의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관리 전문가로 간호사는 암환자가 인터넷건강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환자의 개별적인 특성과 e-헬스리터러시 수준 차이를 고려한 교육과 중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