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7 Download: 0

골관절염 중년여성의 성기능, 성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itle
골관절염 중년여성의 성기능, 성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exual Distress,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middle aged women with osteoarthritis
Authors
권영애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효정
Abstract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sexual distress, sexu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whom middle aged women with osteoarthritis diseases. moreover, it will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quality of life affecting to sexual function and sexual distres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to participants 121 middle-aged women who have been suffering osteoarthritis diseases. The instruments were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the Female Sexual Distress Scale (FSDS),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LO) -BREF scale. Date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or the mean 19.39±8.41 for sexual function. In the sub-category, the mean was 2.62 ± 1.01 for sexual desire, 2.9 ± 1.63 for arouse, 3.62 ± 1.92 for lubrication, 3.22 ± 1.68 for orgasm, 3.54 ± 1.17 for satisfaction and 3.48 ± 1.89 for pain. Moreover, sexual function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which related in age (F = 4.173, p = .018), education (F = 4.049, p = .02), average monthly income of households (F = 7.423, p = .001), menopause status (F = -2.914, p = .004), when pain occurs (F=9.026, p<.001) and exercise restriction status (F = - 2.179, p = .032). 2. The sexual distress was analyzed in 25.62±9.52 on average with 86 person (71.1% of total respondent) had high sexual distress. Moreover, sexual distress was seen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menopause status (t-=2.959, p=0.004). 3. The quality of life was shown that total sum was 78.27 ± 13.28 with according to overall quality of life was 6.58 ± 1.19, physical health area was 21.05 ± 4.39, psychological area was 18.11 ± 3.87, social relations area was 8.53 ± 1.9, environmental area was 24.01 ± 4.86. Quality of life also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final educational (F = 10.407, p = <.001), average monthly income of households (F= 7.73, p =.001), menopause status (F = -2.974, p = .004), prescribe status of analgesics (F = -5.916, p <.001), when pain occurs(F=3.574, p=.031). 4. This study found that sexual distr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xual function (r =-. 235, p = .01). Moreover, sexual str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r = -.315, p < .001). However, sexual func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r = .315, p <.001). 5. The result o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Sexual dysfunction and Sexual distress explained 16.1% of subject’s quality of life (F=11.375, p<.001). Sexual dysfunction (β=.256, p=.004) and Sexual distress (β=-.255, p=004) were found to affect subject’s quality of life. The results suggest that higher lower sexual function and sexual distress have a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with osteoarthritis diseas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with osteoarthritis disease, a more specific nursing intervention that can improve sexual function and reduce sexual distress should be pursed. ;중년기는 신체적 기능 저하, 사회적 역할 상실 등으로 인한 심리적인 위기를 느끼는 시기로 특히 중년여성은 폐경의 경험으로 인해 신체적 증상, 질환으로 인해 삶의 질에 큰 변화를 가져온다. 본 연구는 골관절염 질환을 가진 중년여성의 성기능, 성스트레스,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써 골관절염 질환을 가진 중년여성의 성기능 장애를 확인하고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수도권 일개 병원에서 골관절염으로 진단받고 치료를 위해 외래에 내원한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여성 121명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였다. 성기능은 Rosen 등(2000)이 개발한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를 김혜영 등(2002)이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타당성을 검증한 한국어판 FSFI로 측정하였고 성스트레스는 Derogatis 등(2002)이 개발한 도구인 Female Sexual distress Scale (FSDS)를 한창수 등(2004)이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삶의 질은 세계보건기구에서 개발한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i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LO)-BREF를 민성길 등(2000)이 번안한 한국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5.0 Window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변수의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성기능, 성스트레스, 삶의 질을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 검정으로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성기능, 성스트레스,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성기능, 성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평균 연령은 51.28±7.13세, 기혼자가 92.6%, 고졸이 50.4%, 직업이 없음이 62.8%, 가구 한달 평균 수입은 200만원~399만원 49.6%, 폐경 59.5%로 나타났다. 질병 특성은 업무요인 42.1%, 진통제 복용 52.1%, 통증기간 6개월 미만 40.5%, 활동 시 통증 46.2%, 하지통증 51.2%, 운동범위 제한 없음 57%로 나타났다. 2. 성기능은 평균 19.39±8.41점이었으며 하위 영역별 평균은 성욕구 2.62±1.01점, 성적흥분 2.9±1.63점, 윤활액 3.62±1.92점, 절정감 3.22±1.68점, 만족감 3.54±1.17점, 성교 통증 3.48±1.89점이었다. 성기능은 연령(F=4.17, p=.018), 최종학력(F=4.06, p=.02), 가구 한 달 평균 수입(F=7.42, p=.001), 폐경 유무(F=-2.91, p= .004), 통증 발생시점 (F=9.03, p<.001), 운동 제한 유무(F=-2.18, p=.03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성스트레스는 성적 문제 유무를 구분하는 절단치 점수 20점을 기준(한창수 등, 2004)으로 본 연구에서는 평균 25.62±9.52점으로 성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상자 중 20점 이상은 71.1%(86명)로 나타났다. 성스트레스는 폐경 유무(t=2.96, p=0.00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폐경을 한 집단이 하지 않은 집단보다 성스트레스 점수가 더 높았다. 4. 삶의 질 총점은 78.27±13.28점이었으며 전반적인 삶의 질 6.58±1.19 점, 신체적 건강 영역 21.05±4.39점, 심리적 영역18.11±3.87점, 사회적 관계 영역 8.53±1.9점, 환경 영역 24.01±4.86 점이었다. 삶의 질은 최종학력(F=10.41, p<.001), 가구 한 달 평균 수입(F=7.73, p=.001), 폐경 유무(F=-2.97, p=.004), 진통제 투약 여부(F=-5.92, p<.001), 통증 발생 시점(F=3.57, p=.03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성기능과 성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24, p=.01), 성기능은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32, p<.001). 성스트레스와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32, p<.001). 6. 회귀분석을 통해 성기능과 성스트레스가 삶의 질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기능의 점수가 높을수록(β=.26, p=.004) 성스트레스는 낮을수록(β=-.26, p=.004)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기능과 성스트레스는 골관절염 질환을 가진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16.1% 설명해주었다(F=11.33, p<.001). 본 연구를 통하여 골관절염 질환을 가진 중년여성의 성기능 점수가 높을수록 성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골관절염 질환을 가진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기능을 향상시키고 성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