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4 Download: 0

한국 피아노 교수(敎授) 유형 고찰

Title
한국 피아노 교수(敎授) 유형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ypes of the Piano Professors in Korea : Focused on the Genealogy of Kim Young-hwan’s Disciples
Authors
김하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피아노교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지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피아노 교육의 시초로 알려진 최초 피아니스트 김영환의 제 1세대‧2세대‧3세대 제자가 활동한 시기를 ‘개척기‧개화기‧성숙기’로 분류하여 피아노 교육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가장 활발한 교육이 이루어졌던 성숙기(1970-1999)를 중심으로 한국 교수(敎授) 유형을 구체적으로 분류 및 관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김영환의 제자계보 계통은 『피아노音樂』 1987년 4월호부터 8월호까지 윤혜경 기자에 의하여 기고된 「한국의 피아노 음악과 그 인맥」의 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개척기‧개화기‧성숙기로 분류하여 당시 발간된 신문 및 음악 잡지 등의 1차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의 피아노 교육 변화양상을 정리하였다. 『피아노音樂』 1987년 4월호에 기고된 「해외유학 피아노 전공 출신자」를 살펴보면 김영환의 제자 계통의 대부분은 미국에서 유학한 것을 알 수 있으며 그들은 미국 교수법의 영향을 받아 지도하였을 것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의 대표적 피아노 교수학자 베스틴(W. Bastien)의 저서 《성공적인 피아노 교수법(How to teach piano successfully)》에서 제 4부 인터뷰 항에 수록된 저명한 교육자(Nelita True, Rosina Lhevinne, Adele Marcus, James Dick, Irl Allison)들이 언급한 피아노 교육에서의 필요조건 6가지, ‘테크닉‧음악성‧레퍼토리‧개성‧인격‧교사의 개발’을 선정하여 교수(敎授)유형을 고찰하였다. 특히 본 원고에서는 한국 교수(敎授) 유형 영역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피아노音樂』 1982년 4월 창간호부터 1999년 12월호까지 총 123호의 인터뷰 자료들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김영환의 제자 계보에 속한 피아니스트 인터뷰는 총 115개를 수집할 수 있었으며, 테크닉 19명‧음악성 23명‧레퍼토리 7명‧개성 19명‧인격 12명‧교사의 개발 21명의 인터뷰를 발췌할 수 있었다. 해당 인터뷰에서는 테크닉의 개념이 음악의 기초 배경이자 기술적 요소로 인식되었으며, 음악성은 청각 훈련의 중요성을 피력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레퍼토리는 1980년대 일본식 악보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면서 악보 출판이 자유롭지 못한 점은 레퍼토리의 한정성을 나타내었으며, 개성과 인격은 다양성과 복합성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한 시대와 더불어 두터운 청소년 문화층의 형성이 이 두 유형을 더욱 끌어올렸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교사의 개발은 1980‧1990년대까지 형이상학적인 연주 분야를 사실주의적 개념으로 교수(敎授)하여 교수(敎授)와 연주(演奏)의 필연성을 찾도록 하는 견해가 상당수 기고되어 있었다. 이처럼 『피아노音樂』에 실린 교수법 관련 기사는 김영환 제자 피아니스트들의 교육적 관점과 견해를 엿볼 수 있었으며, 시대에 따른 교수(敎授) 유형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교수(敎授) 유형 특성은 고수(固守)와 확장(擴張)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테크닉과 음악성의 경우 1980년대 한국에 처음으로 도입된 교수법을 시작으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레퍼토리의 경우 일본의 영향 아래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출판이 가능해지면서 초‧중급 교재 및 성인용 교재 개발 등 한 몫을 담당하기에 이른다. 개성 및 인격의 경우도 사회 발전 양상에 맞추어 변화한 주제 유형이며 현재, 그리고 미래의 발전 양상에 맞춰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고수(固守) 할 부분으로 언급 된 ‘손가락 훈련’과 ‘교사의 개발’ 주제 유형과 같이 꾸준히 기존의 것을 가다듬어야 할 필요성이 존본 연구의 교수(敎授) 주제 유형 분류를 통한 고찰은 서양 피아노 음악이 한국에 유입되어 어떠한 흐름으로 이어지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에 가치와 의의를 갖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피아노 교육의 교수(敎授) 유형 체계가 성립되어 그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nges of the piano education by dividing Kim Young-hwan’s disciples – Kim Young-hwan is known to be the first pioneer that started the modern piano education - into 1st, 2nd and 3rd ones – The periods can also be divided into ‘the period of pionee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 and ‘period of maturity’, respectively.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iod of maturity (1970 – 1999) to classify the types of professors into the specific groups. The genealogy of Young-hwan’s disciples was reported by Yun Hye-kyoung to be carried on ‘Piano Music’from April to August in 1987; the title of the series was ‘The Korean Piano Music and Its Networks’.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age of Kim Young-hwan’s disciples into periods of pioneering, enlightenment and maturity and thereby, discussed the changes of the Korean piano education based on the primary data and sources published by newspapers and music magazines. According to ‘Pianists Who Studied Piano Overseas’ carried on ‘Piano Music’ in April, 1987, most of Kim Young-hwan’s disciples had studied in the United States, and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y would teach students according to the American pedagogics. Thus, this study reviewed the US representative piano professor W. Bastien’s book ‘How to Teach Piano Successfully’. In its 4th Chapter, the author described such prominent piano educators as Nelita True, Rosina Lhevinne, Adele Marcus, James Dick, and Irl Allison and their suggested 6 conditions for the piano education: technique, musicianship, repertory, individuality, personality and self-develop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aiming at reviewing the Korean piano professor types surveyed the ‘Piano Music’from its first issue (Apr. 1982) through its issue of Dec. 1999. The total issues about the interviews with the piano professors were 123 ones.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identify a total of 115 interviews with the pianists belonging to Kim Young-hwan’s disciples. All in all, their interview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s: techniqe (19), musicianship (23), repertory (7), individuality (19), personality (12), and pedagogic development (21). As a result of reviewing such interviews, it could be perceived that the concept of technique is the basic background of the music and its technical element. The musicianship provided for an opportunit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auditory training.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scores accounted for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repertory due to the checks on publication of the scores. Individuality and personality were upheld by the youth who had formed their own culture with the trends of diversity and complexity. Lastly, the pedagogic development affected the piano professors who had taught the students the metaphysical performance of piano of 1980s and 1990s by using the realism concepts. They argued that teaching and performance were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Thus, the reports regarding the piano pedagogics carried on ‘Piano Music’ hinted Kim Young-hwas’s disciples’pedagogic views and opinions, which might enable the researcher to identify the changes of teaching methods. Such pedagogic features could well be understood as concepts of adherence and expansion. In terms of technique and musicianship, diverse pedagogics and textbooks were developed, beginning from the pedagogics introduced to Korea in 1980s. In case of repertories, elementary and secondary textbooks and adults’ones would be developed one by one, departing from the Japanese influence. In case of individuality and personality, the social development was much influential. Hence, they would develop more in the future. However, the points that should be maintained were ‘finger training’ ‘development of teachers’ capacity’, etc.,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ir conventional ones.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 in that it reviewed the flow of the Western piano music into Korea to be inherited.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piano professor syst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피아노교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