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7 Download: 0

행복한 삶의 성취를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의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Title
행복한 삶의 성취를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의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for Achievement of a Happy Life
Authors
손민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수언
Abstract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행복한 삶의 성취’를 위한 역량을 길러나가야 한다. 역량이란 한 순간에 길러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향상의 정도를 즉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행복한 삶의 성취를 위한 역량을 길러나가기 위해서는 단순한 기능의 개발이 아니라 ‘정의로운 사회로 변화시킬 수 있는 주도적인 행동으로서의 실천’의 개념이 요구되어진다고 본다. 이에 따라 청소년이 행복한 삶의 성취를 위한 역량을 계발해 나가는데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관점에서 가정과 수업의 의의를 찾고, 그들의 자기이해와 자아형성(자아정체감)의 과정에 어떤 영향력을 줄 수 있을지 예측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따라서 청소년의 행복한 삶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의 수업을 설계하여 실행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 ‘청소년의 발달과 이해’ 단원과 ‘진로와 생애설계’ 단원의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수업을 설계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행복한 삶을 위하여 청소년기의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항구적 문제를 중심으로 ‘청소년기의 건강한 발달을 위하여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하여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긍정적인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하여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자아실현을 위한 생애 설계를 위하여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자아실현을 위한 진로 설계를 위하여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5가지의 실천적 문제를 설정하였다. 또한,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세 가지 행동체계’를 바탕으로 학습 목표와 내용 요소를 구성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천적 문제 중심의 교수·학습 과정안은 총 6차시 분량이며, 읽기 자료를 포함한 학습 활동지 총 20개와 실생활 중심의 시나리오 자료들을 직접 만들어 활용하였다. 세 가지 행동체계를 길러주기 위한, 세 가지 행동체계에 의한 목표와 내용 및 활동은 학생들의 사고의 폭을 넓혀 다양한 지식과 기능 및 태도를 길러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선정한 단원과 실천적 추론이라는 수업방법은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가치판단을 바탕으로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인지하며, 그 과정에서 자아정체감을 형성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 추측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이 학생들의 자아정체감과 나와 가정, 사회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은 강의식 수업보다 학생들의 자아정체감에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켰다. 자아정체감이 한 순간에 길러지는 능력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은 강의식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자기이해와 인식을 촉진하는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에 따른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관점에 따른 가정과 수업은 학생들이 나와 가정, 사회에 대한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행동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게 만들었다. 또한 변화가능성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내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인지하여 삶을 이끌어가겠다는 의지를 갖도록 하였다. 행복한 삶을 만들어나가는데 필요한 역량을 한 가지 틀로 범주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가정과 교과에서는 실천적 문제를 제시하여 삶의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스스로를 돌아보게 하여 자기이해 및 자아형성을 이루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3가지 행동체계를 실천하는 것을 통하여 다양한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 즉 역량을 길러나갈 수 있다. 따라서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통해 세 가지 행동체계를 공고히 하여 학생들은 행복한 삶을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역량으로서의 내적 힘을 길러 가치로움을 바탕으로 자신에 대한 역할과 책임을 다 할 수 있게 된다. 우리 모두가 사회의 변화가능성에 기대를 가지고 ‘실천의 가치’만들어 나갈 때 나의 삶과 우리 사회의 미래는 희망적이다.;To live a happy life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developing the capacity for‘achieving a happy life’ is necessary. However, it is not possible for the capacity to be acquired at once or to immediately demonstrate the extent of its improvement. Developing the capacity to achieve a happy life requires not just the development of a function but the concept of 'practice as a leading action that can transform a fair society'. Thus, in developing the capacity to achieve a happy life for adolescents,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Home Economics classes from a practical problem-based curriculum perspective and predict how it can impact their self-understanding and self-formation (identity) proc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execute practical problem-based classes for happy lives of adolescent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the study developed a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designing classes focusing on practical problem of the 'adolescent development and understanding' unit and the 'career and life plan' uni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Focusing on the perennial problem of what should I do in adolescence for a happy lif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five practical problems: ‘What should I do for healthy development of adolescence?’, ‘What should I do to improve self-esteem?’, 'What should I do to establish a positive self-identity?', 'What should I do to plan a life for self-realization?', and 'What should I do to plan a career for self-realization? Also,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 element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Three Systems of Action’ to address the practical problems. The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developed in the study had six sessions. A total of 20 learning worksheets including reading materials and real-life scenarios were produced. It was expected that goals, contents, and activities by the Three Systems of Action to cultivate the Three Systems of Action would broaden the mindset of the students and enrich a variety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Moreover, given that the selected units and the class method of practical reasoning were expected to not simply go beyond finding a simple answer to 'what should I do?' but allow the students to form individual self-identity in the process of seeking orientation of behaviors and establishing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a basis of value judgments, its effectiveness was analyzed.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about the effects of practical problem-based classes of the study on the students' self-identity and their perceptions of themselves, families, and society. The practical problem-based classes produc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students' self-identity than lectures. Although self-identity is not a capacity to be immediately fostered, an increase in average scores revealed that the practical problem-based classes contributed to promoting the students' self-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compared to lectures. Furthermore, with regard to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practical problem-based classes, Home Economics classes in the context of the practical problem-based curriculum guided the students to find an ideal role by moving away from the existing stereotypes about themselves, families, and society. They also became willing to lead their lives, recognizing the orientation that they should go with the hope of changes. It is not possible to categorize the capacity needed to make a happy life into one framework. Nevertheless, the Home Economics Subject can present students with practical problems and help them to raise interest and self-reflection in the essences of lives, thereby leading them to achieve self-understanding and self-formation. Moreover, the practice of the Three Systems of Action can cultivate a variety of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that is, competence. Therefore, by addressing practical problems, students can solidify Three Systems of Action and foster internal strength as the competence to create a happy life, thereby fulfilling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based on values. When we all create ‘value of practice’ with anticipation of the potential for changes in ourselves, families, environments, and society, individual lives and the future of our society are hopefu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