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8 Download: 0

『方言類釋』 연구

Title
『方言類釋』 연구
Other Titles
『方言類釋』 硏究 : 以近代漢語詞匯爲主
Authors
최병선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재돈
Abstract
『方言類釋』은 1778년(朝鮮 正祖 2년)에 편찬된 대표적인 類解類 譯學書로, 近代漢語의 어휘와 어음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문헌 자료이다. 본고는 『方言類釋』에 반영된 近代漢語 어휘 및 그 변천 양상, 그리고 어휘에 반영된 중국 문화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方言類釋』의 漢語 어휘를 표제어 어휘와 ‘中州鄕語’라고 표기된 어휘, 그리고 문화어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회화 교재인 元代本『老乞大』 『飜譯老乞大』 『老乞大新釋』 및 『重刊老乞大』에서 예문을 들어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를 통해 『方言類釋』 어휘의 변화 과정을 파악하였고, 현대표준중국어 어휘와의 차이점 또한 규명하였다. 둘째, 『方言類釋』에 수록되어 있는 어휘의 변천 과정과 면모를 알아보고자 『古代漢語詞典』 『唐五代語言詞典』 『宋語言詞典』 『元語言詞典』 『宋元語言詞典』 『近代漢語詞典』 『現代漢語詞典』 『漢語大詞典』 등을 활용하여 그 용례와 문헌 출처 등을 확보하였고, 의미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方言類釋』의 천문류(天文類), 시령류(時令類), 지여류(地輿類), 친속류(親屬類), 신체류(身體類), 용모류(容貌類), 동정류(動靜類), 성정류(性情類), 잡어류(雜語類)의 어휘를 현대에는 사용되지 않는 어휘와 현대까지 사용되고 있는 어휘로 나눌 수 있었다. 현대까지 사용되고 있는 어휘는 현대표준중국어로만 사용되고 있는 어휘, 현대표준중국어와 방언에서 모두 사용되고 있는 어휘, 현대에는 방언으로만 사용되는 어휘로 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方言類釋』에 수록된 표제어의 어휘적 특징과 문법적 특징을 정리하였다. 어휘적 특징으로는 접두사와 접미사를 아우르는 접사의 사용, 술어-목적어 구조와 술어-보어 구조로 사용된 2음절 어휘, 3음절의 관용어가 있었다. 문법적 특징으로는 동사의 중첩, 조동사, 접속사, 부정어 ‘不’과 ‘沒’, 그리고 구조조사 ‘的, 地, 得’과 동태조사 ‘了1, 着, 過’, 어기조사 ‘了2, 麽’, 의성어와 의태어가 있었다. 넷째, 『方言類釋』에서 ‘中州鄕語’라고 분류된 어휘를 고찰하였다. 『方言類釋』의 각 부류 말미에 ‘中州鄕語’로 수록되어 있는 방언 어휘를 본고에서는 『方言類釋』에서 밝힌 지역명에 따라 粵方言 어휘, 湘方言 어휘, 吳方言 어휘로 다시 나누어 『漢語方言大詞典』 『現代漢語詞典』과 『中韓辭典』을 통해 그 의미와 사용 지역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粵方言과 湘方言에 해당하는 어휘들은 지금도 대부분 방언어휘로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中州鄕語’로 분류된 어휘 중 약 60%를 차지하는 吳方言 어휘가 가장 많이 수록된 원인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方言類釋』의 문화어휘를 음식, 복식, 주거, 상업, 사교문화 어휘로 나누어 문화어휘의 의미 풀이 및 문화어휘에 반영된 문화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文化를 반영한 어휘들은 총칭이 먼저 수록되었고, 이어서 구체적인 어휘들이 중요도와 사용 순위에 따라 배열되었으며, 음식, 복식, 주거, 상업, 경조사, 접대 및 욕설에 관련된 어휘가 상당히 세분화되어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方言類釋』이 편찬된 당시의 표제어 어휘, 당시의 방언인 ‘中州鄕語’로 분류된 어휘, 문화어휘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이들이 현대표준중국어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보다 더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는 음운론적 연구 또는 다른 역학서인 『譯語類解』 『同文類解』 『蒙語類解』 『倭語類解』 및 『華語類抄』와의 상세한 비교 고찰을 통해서야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이는 이후 더 보완해야할 사항이며 古代漢語와 현대표준중국어에서는 보이지 않는 近代漢語만의 특징을 찾아내어 이들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작업은 近代漢語 어휘 연구에 있어 상당한 의미를 가지므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本稿以硏究近代漢語詞匯爲目的, 爲此選擇了韓國朝鮮時期的類解類譯學書『方言類釋』爲硏究對象, 對書中的漢語詞匯進行了考察。 『方言類釋』是1778年(朝鮮 正祖2年)完成的一部多語辭典。它由當時朝鮮精通易學的實學大家,即北學派的鼻祖徐命膺下令譯官洪命福匯集漢蒙清倭四種語言, 并把這些語言按意義進行分類編寫而成, 該文獻對於硏究近代漢語語音、詞匯、語法等具有相當重要的意義。但迄今爲止, 關於它的硏究屈指可數, 可以說只有一些文獻學、韓國語、日本語、蒙古語等方面的硏究。 本稿主要針對『方言類釋』中的漢語詞匯進行了分析和考察, 對其中所收錄的漢語標题語詞匯和方言詞匯及文化詞匯進行了分析。 爲了具體考察『方言類釋』中的漢語詞匯, 本稿將書中的漢語詞匯分爲標题語詞匯和方言詞匯以及文化詞匯進行了硏究。具體方法如下: 首先對『方言類釋』中的天文、地輿、時令以及親屬、稱呼、身體、容貌、動靜、氣息、性情、言語類和雜語類詞匯的結構與排列規則進行了考察,發現『方言類釋』中的天文、地輿、時令以及親屬、稱呼、身體、容貌、動靜、氣息、性情、言語類的詞匯與其他類解類譯學書相比增加了許多新的詞匯, 而且其中收錄的方位詞大多一直沿用至今。容貌類大部分收錄了形容詞;動靜類則收錄了動詞類和動補結構的詞匯、擬聲詞以及‘被’字句、動詞重疊等等。 其次, 對收錄於天文、地輿、時令以及親屬、稱呼、身體、容貌、動靜、氣息、性情、言語、雜語類的詞匯進行了解釋,發現 “天、地、月、山、水、河、氷、風、雨”等天文、地興類詞匯和“父親、母親、大哥”等親屬、稱呼類詞匯以及“喫驚、眼、鼻、手”等氣息類和身體類詞匯的基礎詞匯大多沿用至今,但也有一些消失, 比如 “夜來、出恭、模扌羕、拙婦、渾家、舊年、令正”等, 還有一些語意發生了變化或成爲方言詞匯, 僅在局部的方言區使用, 比如 “日頭、晌午、博落蓋、孃子、今月、當家的、天道、下晩、爹爹、孃孃”等。 本文還考察了標題語的詞匯特點和語法特點。爲了考察詞匯特點把標題語詞匯分爲帶詞綴的詞匯(帶前綴、帶後綴)、雙音節和三音節詞匯, 發現有 “子、兒、頭、家、們”等前綴和後綴, 雙音節詞匯有述賓和述補結構, 三音節詞匯中有不少帶否定詞 “不”, 幷收錄了不少慣用語。爲考察語法特點把標題語詞匯分爲動詞、能願動詞、助詞、連詞、否定詞、擬聲詞等, 發現書中動詞重疊有“AA”形式和“A一A”形式, 能願動詞有“會”和“愛”, 否定詞“不”與“沒”。結構助詞“的、地、得”還沒有完全地獨立使用,,呈現出“的”代替“地”使用的特點。動態助詞“了1、着、過”與現代漢語中的用法幾乎完全相同, 語氣助詞只有“了2、麽”。連詞所收錄的數量不多,僅有表示選擇關係的連詞“或者”和表示轉折關係的連詞“雖然”和“但是”, 表示因果關係的連詞“旣然”, 表示假設關係的連詞“倘或”而已。 另外, 還考察了收錄於該書中的“中州鄕語”, 主要把它分爲粵方言、湘方言、吳方言詞匯, 然後在『漢語方言大詞典』『現代漢語詞典』『中韓辭典』裏重新确認了其方言詞匯的使用地區與現代方言詞匯和普通話詞匯的關係。發現有以下三種特點。一是一直沿用至今幷且還在普通話裏使用的詞匯, 例如“爸、媽、媌條、辜負、邀喝、倔僵”等。二是只在方言區裏使用的詞匯, 例如“格支、呌化子、㫾午、秀溜、多咱、虺尵、直籠統、儂、賤累”等, 三是已無踪迹, 卽已消亡的詞匯, 例如“黑尿、油花、孛窣、支査”等。 最后考察了『方言類釋』中的文化詞匯, 對各類文化詞匯的典型詞語進行了具體的分析和比較。『方言類釋』的文化詞匯幾乎都是先收錄各類總稱,然后依次排列了具体的詞匯。發現其中的接待類詞匯和罵辱類詞匯幾乎都沿用至今,而飮食類詞匯有些已消失,或成爲方言詞匯, 只在一些方言地區使用。另外還發現茶酒文化詞匯比其他文化詞匯收錄較少。另外本文通過這些文化詞匯考察了當時的中國文化現象, 幷對其特點進行了闡釋。 本文對『方言類釋』中的漢語標題語詞匯和方言詞匯以及文化詞匯進行了較深入廣範的硏究, 幷對近代漢語詞匯與現代漢語詞匯的差異進行了分析和考察。但是要獲得更多、具體、更有深度的硏究成果, 還需與其他譯學書, 卽『譯語類解』『同文類解』『蒙語類解』『倭語類解』等進行細致的分析和硏究。因本稿同時對標題語詞匯和方言詞匯以及文化詞匯進行了分析和考察, 詞匯量大、內容涉及面廣、闡釋和說明難度較大, 所以錯誤在所難免, 有待今後做大量的修正、補充和完善。謹望本稿能爲近代漢語詞匯硏究做出積極且有意義的貢獻。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