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6 Download: 0

基于 《全唐诗》的唐代拟声词研究

Title
基于 《全唐诗》的唐代拟声词研究
Other Titles
唐代의성어에 대한 연구 : 《全唐詩》에 수록된 의성어를 중심으로
Authors
장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재돈
Abstract
中 文 提 要 拟声词是指当外界的声音经由耳朵传达至脑内听觉中枢后、人们使用发声器官摹拟接收到的信号并经由语言系统的转换而产生的一类词。拟声词的摹拟对象包括人和动物在活动中发出的声音以及自然现象的声音等。 自古以来汉语中就活跃着极其丰富的拟声词,它们随时出现在许多文学作品中,发挥着重要的语法和修辞作用。其中,属于中古汉语的唐代拟声词不仅在结构上趋于多样,而且在语义上更是蔚为大观,它们继承了古代汉语拟声词,并对近现代汉语拟声词发展有着重要的作用,因此唐代拟声词的研究可以让我们从共时和历时层面对中古汉语拟声词的面貌有一个较为清楚的认识。 唐代是诗歌最为发达的时期,诗歌在当时已经成为一种普遍使用的文学体裁和交往方式,而《全唐诗》汇集了2200多名诗人的近五万首诗歌,里面的拟声词俯拾皆是,给我们提供了大量的研究材料,全面地反映了唐代拟声词的概况。因此,本文将《全唐诗》中的拟声词作为研究唐代拟声词的对象,在搜集其中拟声词的基础上,从结构特点、语义归类、语音分析、字词形态与语义的关系、语法功能、在诗歌中的运用、对前代拟声词的继承和发展等方面,结合具体的诗歌实例进行详细的考察,力图通过《全唐诗》拟声词研究对唐代的拟声词做一个系统的论述。 本论文共分为十章,每个章节的主要内容如下。 第一章是引言,指明研究目的和意义,总结前人的研究成果,说明研究对象和方法。 第二章论述拟声词的定义及其特殊的属性。 第三章分析了拟声词的结构特点。本文根据音节数将《全唐诗》拟声词分为单音节拟声词、双音节拟声词和四音节拟声词三类。 第四章本文将《全唐诗》拟声词按照其语义,即摹拟的具体声音分为关于人类的拟声词、关于动物的拟声词、关于自然现象的拟声词三大类,并分别分为更细致的小类,结合诗句进行了较为详细的解释。 第五章分析《全唐诗》拟声词用字的声母及韵母分别在《广韵》中的分布情况、AB式双音节拟声词前后音节的声母和韵腹的组合特点、声调特点以及声母韵母与语义之间的关系等。 第六章阐述《全唐诗》拟声词的字词形态与语义的关系。从拟声词的字形往往可以推测出发声体,并且《全唐诗》拟声词中有许多异形同音或近音同义拟声词和同形异义的拟声词。这些都与汉字为表意文字、具有一音多字的特点有密切的关系。 第七章论述《全唐诗》拟声词的语法功能。拟声词在诗歌中的句法功能非常多样,可以充当主语、谓语、定语、状语、补语、宾语、独立语等。同时,拟声词在诗句中主要与名词、动词、副词、形容词搭配。从这些可以得知拟声词在诗句中具有相当活跃的语法功能。 第八章列举诗例阐述拟声词在《全唐诗》中的运用。以拟声词的摹声修辞功能为基础,通过具体的诗歌进行了举例说明,展示拟声词在唐诗发挥的作用。 第九章探讨《全唐诗》拟声词对《诗经》和《文选》诗赋中拟声词的继承和发展,主要从结构和语义两方面展开论述。 第十章总结本文分析考察后得出的结论。 ;국문초록 의성어는 인간이나 동물이 내는 소리나 자연현상 등의 소리를 모방한 어휘를 가리킨다. 고대부터 중국어에는 풍부한 의성어가 있었으며, 이들은 일정한 어음과 구조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수많은 문학작품 도처에 출현하여 중요한 문법 기능과 수식 기능을 발휘하였다. 唐代 의성어는 시기상으로 중고한어에 속하며, 위로는 고대중국어 의성어를 이어 받고 아래로는 근대중국어 의성어로 이어지는 중간단계로서 중요한 과도기이다. 따라서 唐代 의성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고한어 의성어의 공시적 ․ 통시적인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唐代는 詩歌의 전성기였다. 시는 唐代에 이미 매우 보편적인 문학 장르의 하나로 발전하여 제왕 귀족, 문인 관료뿐 아니라 문자를 조금 아는 사람들 사이에서 외교, 교육, 등의 분야를 비롯하여 사람들 간의 일반적 교류에서도 매우 일상적으로 이용되었다. 또한 2200여 명의 시인들이 지은 5만 수 가량의 시가를 수록한 《全唐詩》에는 의성어가 매우 많아 대량의 연구 자료를 제공한다. 따라서 唐詩는 唐代 의성어의 개황을 충분하고도 전면적으로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全唐詩》중의 의성어를 전면적으로 수집하고, 아울러 그 구조형식, 어음 특징, 의미 귀납, 어휘형태와 의미의 관계, 어법 기능 및 운용, 그리고 前代 의성어에 대한 계승과 발전 등의 방면에서 구체적인 詩歌 실례와 결합하여 상세하게 고찰함으로써 《全唐詩》의 의성어를 통해 唐代 의성어에 대해 체계적으로 논하는 데 있다. 본 논문은 모두 10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장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은 서론으로 연구 목적과 의의를 밝히고 선행 연구 성과를 종합하며, 연구 대상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의성어의 정의 및 그 특수성과 속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제 3장에서는 의성어의 구조형태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음절의 수에 근거하여 《全唐詩》의 의성어를 단음절 의성어, 이음절 의성어, 사음절 의성어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제 4장에서는 수집한 의성어를 인간에 관한 소리, 동물계의 소리, 자연현상의 소리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 분류를 다시 세분하고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제 5장에서는 《全唐詩》에 수록된 의성어의 어음 특징을 고찰하였다. 의성어에 쓰인 글자의 성모와 운모의 중고어음 쳬계에서의 분포 상황, 성조 특징, AB식 이음절 의성어의 두 음절의 성모와 주요모음의 결합 특징, 의성어의 어음과 의미 간의 관계 등을 고찰하였다. 제 6장에서는 《全唐詩》의성어의 글자, 어휘 형태와 의미의 관계를 논하였다. 의성어는 긑자 형태로부터 흔히 소리를 내는 發聲體를 알 수 있다. 어휘 형태에 있어서는 異形同義 의성어와 同形異義 의성어가 많다. 이것은 한자가 표의문자이며 동음자가 많은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제 7장에서는 《全唐詩》의성어의 어법 기능에 대해 논하였다. 시가에서 의성어의 어법 기능은 매우 다양하여 주어ㆍ술어ㆍ관용어ㆍ부사어ㆍ보어ㆍ목적어ㆍ독립어 등을 담당할 수 있으며 또한 흔히 명사, 동사, 부사, 형용사 등과 같이 결합한다. 제 8장에서는 의성어가 唐詩에서 운용되는 상황에 대해 논하였다. 본 논문은 의성어와 소리 모방의 수사적 관계를 기초로 하여 疊音語와 聯綿語의 수사 효과를 결합하고, 아울러 구체적인 시가 분석을 통해 의성어의 수사 기능을 설명하였다. 제 9장에서는 《全唐詩》의성어가 《詩經》과《文選》의 賦에 쓰인 의성어를 계승하고 발전시킨 점을 주로 구조 형태와 의미 형태의 측면에서 논하였다. 제 10장은 결론으로 본 논문의 고찰 결과를 종합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