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9 Download: 0

남북한 영산회상 선율구조 비교 연구

Title
남북한 영산회상 선율구조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about the structure of melody at the Yeongsanhoesang of North and South Korea : Centering the LeeWan-Jik AakBu Kayageum score
Authors
정부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본 연구는 『이왕직아악부 가야금보』와 『국립국악원 가야금보』 그리고 『민족기악합주곡 령산회상』영산회상 가야금선율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풍류방의 음악문화를 전승 및 계승한 정악은 오늘날까지 한국 전통음악의 장르에서 중요한 갈래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중 기악의 대표적 악곡은‘영산회상’이다. 영산회상은 남한에서 국악원 줄풍류와 민간 줄풍류, 개인줄풍류로 전승되고 있다. 반면, 북한의 풍류방 음악문화에 대한 문헌이나 기록을 살펴볼 때 남한과 북한으로 분단되어진 현 상황에서 그 기록을 다 살펴볼 수 없다. 그러나 기악곡으로 영산회상이 남아있었고 이는 전통음악의 연구와 교육을 위해 궁중음악을 전승한 것을 확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남한과 북한에서 영산회상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을 미루어 볼 때, 영산회상 가야금선율의 면모를 파악하기 위하여 악보 간 비교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영산회상의 종류를 비교 고찰한 결과 남한의 영산회상은 현악영산회상과 평조회상, 관악영산회상 그리고 민간풍류로 구분되고 북한의 영산회상은 민간령산과 도시령산, 궁중령산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으며, 남한의 영산회상과 동일한 악곡으로 구성된 곡은 북한의‘도시령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북한의 민간령산은 크게‘삼현령산’,‘탈춤령산’,‘칼춤령산’등으로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남한은 춤 혹은 탈춤 반주음악이 구분되어있는 반면, 북한은 탈춤 반주음악을 망라하여‘민간령산’으로 분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북한‘궁중령산’은 남한에서 하나의 독립된 악곡으로 분류하는 중광지곡, 평조영산회상, 취태평지곡 그 외 일승월향지곡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그 자료가 전해지지 않기에 남한과 동일한 악곡인지 알 수 없었다. 둘째, 영산회상의 악곡명과 분장구조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왕직아악부의 상령산과 중령산. 세령산, 타령 그리고 군악은 국립국악원과 북한 모두 동일한 악곡명으로 되어있었고 그 외 나머지 악곡에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이왕직아악부의 가락제지와 삼현환입, 하현환입 그리고 염불환입을 국립국악원은 가락덜이와 상현도드리, 하현도드리 그리고 염불도드리로 구분하였고 북한은 가락환입과 상현, 하현 그리고 념불로 구분하였다. 상령산과 중령산, 세령산 그리고 타령은 분장구조가 동일하였고 가락제지와 삼현환입, 하현환입은 분장구조가 상이하였으며 염불환입과 군악은 장 구성이 상이하나 총 장단의 수는 동일하였다. 셋째, 남한과 북한의 동일선율·유사선율·상이선율 분포도를 살펴본 결과, 국립국악원은 상령산 동일선율 97%, 중령산 동일선율 92%, 세령산 동일선율 75%, 가락제지 75%로 상령산부터 가락제지까지 동일선율의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삼현환입 유사선율 80%, 하현환입 유사선율 62%, 염불환입 유사선율 73%로 도드리 계동의 음악에서 유사선율의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타령 동일선율 41%, 유사선율 59%, 군악 동일선율 54%, 유사선율 46%로 동일선율과 유사선율의 비율이 비슷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북한은 상령산 유사선율 85%, 중령산 유사선율 83%로 유사선율의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세령산 상이선율 50%, 가락제지 상이선율 80%, 삼현환입 상이선율 63%, 염불환입 상이선율 52%, 타령 상이선율 66%로 세령산부터 타령까지 하현환입을 제외한 악곡에서 상이선율의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하현환입 유사선율 50%, 군악 유사선율 71%로 유사선율의 비율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사선율과 상이선율의 유형분석을 통하여 이왕직아악부와 국립국악원 그리고 북한 영산회상 선율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상령산은 선율진행형태 3가지와 리듬진행형태 2가지가 나타났고 중령산은 선율진행형태 2가지와 리듬진행형태 1가지가 나타났다. 세령산은 리듬진행형태 3가지가 나타났고 가락제지는 리듬진행형태 4가지, 삼현환입은 리듬진행형태 3가지가 나타났으며 하현환입은 선율진행형태 1가지와 리듬진행형태 3가지가 나타났다. 염불환입은 리듬진행형태 8가지가 나타났고 타령은 선율진행형태 5가지와 리듬진행형태 4가지가 나타났으며 군악은 선율진행형태 3가지와 리듬진행형태 2가지가 나타났다. 넷째, 북한의 영산회상을 분석한 결과, 남한의 영산회상은 단선율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북한의 영산회상은 기존의 단선율 구성에서 두 개 또는 세 개의 음정을 화음으로 동시에 연주하고 아르페지오(arpeggio)주법, 트레몰로(tremolo)주법, 페르마타(fermata)와 같은 남한의 정악에서 연주하지 않는 주법을 사용하여 영산회상 음악구성에 변화를 준 것을 발견하였다. 북한은 아르페지오주법에서 적게는 4개의 음정을 연주하고 많게는 7개의 음정을 연주하기 때문에 악기를 개량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남한은 5음 음계의 12현 정악가야금을 사용하는 반면, 북한은 5음 음계의 13현 가야금이 아닌 7음 음계의 21현 가야금을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은 북한 문화가 가지고 있는 시대적 특성의 산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남· 북한 영산회상 선율 비교연구는 남한과 북한이 영산회상을 중요한 곡으로 인식하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향후 남한과 북한의 활발한 문화교류를 통해 본 연구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정악곡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한국음악의 연주 및 이론적인 부분에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about the Kayageum melody of the LeeWan-Jik AakBu Kayageum score, Kayageum score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the National instrumental ensemble of Yeongsanhoesang. The Classical Music inherited from the musical culture of the art’s room has been considered as the section defining the genre of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Among them Yeongsanhoesang is the most representing melody. Yeongsanhoesang passes down to various tastes of arts including Jul, civil, personal etc. On the contrary, considering records of the music culture of North Korea’s roon of arts, it is impossible for us to find out the thorough records under the divided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ut fortunately Yeongsanhoesang was conserved as the instrumental piece, which functions as the succession as the Royal music for the research of the traditional music. Assuming the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the Yeongsanhoesang in the south and north Korea.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comparative study about the music score is required to identify the melody of the Kayageum. First. as the result of comparative study about the kinds of Yeongsanhoesang. South’s Yeongsanhoesang might be classified into those of high key, wind instrument, civil. And the North’s Yeongsanhoesang might be classified into those of civil, city, court. The civil Yeongsanhoesang can be generally classified into those of 3 strings, mask dance, sword dance. According this process the Yeongsanhoesang at South The music is divided by dance or mask dance, the Yeongsanhoesang at North classifies it as civil one including the mask dance. The royal Yeongsanhoesang includes the JungKangJiGok, PyungGo Yeongsanhoesang, ChwiteaPyunggigok, IlSungWolHyanggigok. But we can’t assume all of them are same music score without the historical records. Secondly, Analyzing the name and the structure of the music, SangRyungSan, JungRyungSan, SeRyungSan, TaRyung and the martial music, we can find out that The North and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are all the same name of music. The difference was only found at the rest of the music scores.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classified the GaralJeJi, SamHyunhwanIp, Hahyunwhaip and Yumbulwhanip into Garakdeoli, Sanghyundodri, Hahyundodri and the Yumbuldodri. The north classified them into Garakwhanip, Sanghyun, Hahyun and the Nyumbul. The dividing structure of the Garakjeji, SamHyunhwanIp, Hahyunwhaip is all differentiated, Even though the combination of chapters of the Sangryungsan, Jungryungsan, Seryungsan and the Taryung is all different. Yumbulwhanip and the martial music has something in common not with the chapter’s combination but with the number of the chapters. Thirdly, Analyzing the distribution map of the same, similar, different tunes at the north and south,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finds out the each ratios of the same tune of the Sangryungsan, Jungryungsan, Seryungsan, Garakjeji as 97%, 92%, 75%, 75% which means the ratio of the same tunes is bit high from Sangryungsan to Garakjeji. The each ratio of the same tunes of Samhyunwhaip, Hahyunhwaip, Yumbulwhanip is 80%, 62%, 73% which means the ratio of the same tunes at the DodriGedong is a bit high. At north, the ratio of the same tunes of Sangryungsan, Jungryungsan is 85%, 83% each, which means the ratio of the same tunes a bit high. On the contrary the ratios of the different tunes of Seryungsan, garakjeji Samhyunwhaip,Yumbulwahnip, Taryung are 50%, 80%, 63%, 52%, 66% each, which means the ratio of the different tunes is a bit high from Seryungsan to Taryung except the Hahyunwhanip. Also through the analysis between the same tunes and the different tunes,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Iwangjikaakbu, Yeongsanhoesang of North could be set up. Sangryungsan shows 3 types of tunes and 2 types of rhythm. Jungryungsan shows 2 types of tunes and 1 type of rhythm. Seryungsan shows 3 types of rhythm. Garakjeji shows 4 types of rhythm. Samhyunwhaip shows 3 types of rhythm. Hahyunhwaip shows 1 type of tune and 3 types of rhythm. Yumbulwhanip shows 8 types of rhythm. Taryung shows 5 types of tunes and4 types of rhythm. Martial music shows 3 types of tunes and 2 types of rhythm. Fourthly, through the analysis of north’s Yeongsanhoesang, even though that of south consists of flat tunes, North reflecting the style of Arpeggio, Tremolo, Fermata out of the flat tunes, intends the changes in the combinations of Yeongsanhoesang. That intent brought the improved model to make up the from 4 to 7 more keys. Therefore while the south uses 12 strings’ Kayageum out of 5 keys, the North uses not the 13 strings’ Kayageum out of 5 keys but the 21 strings’ Kayageum out of 7 keys, which means the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times of north. This study which contains the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the tunes of south and north, provides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Yeongsanhoesang as the important piece. Through the activ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south and north in the future, If it is possible for us to conduct the research about the JeongAk, It is expected that more in-depth research will continue on the performance of Korean music and theoretical par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