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0 Download: 0

비전승 가야금병창 <춘향가> 연구

Title
비전승 가야금병창 <춘향가>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not transmitted ‘Gayageum Byeongchang – Chunhyangga’
Authors
윤지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영근
Abstract
본 논문은 유성기음반에 녹음된 가야금병창 <춘향가> 중 비전승 악곡을 중심으로 판소리와의 사설비교 및 음악적 특징, 소리와 가야금의 결합양상을 분석한 논문이다. 현행 판소리 <춘향가>는 완창형태의 여러 유파로 전승되고 있으나, 가야금병창 <춘향가>는 그에 비해 매우 축소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유성기 음반 목록에 따르면 1930년대 가야금병창 <춘향가>는 총 54곡으로 기록되어있는 것에 비해, 현행 가야금병창 <춘향가>는 5곡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유성기 음반 목록의 54곡 중 현재 복각되지 않은 19곡과 전승되고 있는 5곡을 제외한 복각된 유성기 음반 비전승 가야금병창 <춘향가> 30곡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1930년대 불려진 비전승 가야금병창 <춘향가>의 특징을 나타내어 그 가치를 재조명하고 현행 가야금병창 <춘향가>의 새로운 연주곡 확장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비전승 가야금병창 <춘향가>의 사설을 중심으로 판소리 <춘향가>사설의 계열을 동편제, 서편제로 나누어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장단구성 및 음역, 선법, 시김새, 붙임새를 분석하였다. 셋쩨, 비전승 가야금병창 <춘향가>의 소리와 가야금의 결합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소리의 선율과 리듬에 대한 가야금의 연주형태를 선율형과 리듬형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판소리 <춘향가>와 비전승 가야금병창 <춘향가>의 사설을 비교한 결과 서사적인 요소를 중시하는 판소리에 비해 가야금병창 사설의 내용이 간결해졌다. 가야금병창의 많은 곡들은 동편제와 서편제의 사설이 혼합된 형태로 불려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하나의 계열로만 유사하게 나타난 사설들도 있다. 오태석의‘옥중가’는 서편제의 김소희 바디와 유사하였고, 김해선, 심상건, 정남희의‘옥중가’는 모두 동편제의 장자백 바디와 유사하였다. 오비취의 ‘옥중가’와 방금선의‘옥중가’는 서편제 사설과 유사하였다. 이와 같이 병창이라는 장르적 특성에 맞게 동편제·서편제의 판소리 사설을 두루 엮어 연주자 자신만의 사설을 완성해 부른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비전승 가야금병창 <춘향가>의 음악적 특징을 장단구성, 선법, 시김새, 붙임새로 분류하여 연구한 결과, 장단구성은 대부분 판소리의 장단과 동일한 장단으로 연주하고 있으나, 오태석, 한성기가 부른 이별가 중‘춘향모 나온다’대목의 경우 판소리에서는 중중모리 장단으로 불려지고 있지만 오태석은 자진모리 장단, 한성기는 중중모리 장단으로 불러 판소리의 장단과는 다르게 불려지기도 하였다. 선법은 대목별로 많은 곡이 계면조 선법으로 진행하였으며 선법의 변화를 보인 곡도 있다. 오비취, 김해선이 부른‘이별가’의 경우 계면조에서 우조, 다시 계면조로 바뀌는 진행을 보이고, 심상건이 부른‘몽중가’에서는 계면조와 우조의 선법이 여러번 바뀌어 진행하였다. 오태석이 부른‘십장가’의 중모리 장단에서는 계면조에서 우조선법으로 변화를 주어 불렀다. 시김새는 대부분의 창자가 1음절 3음부터 13음까지의 폭넓은 시김새를 구사하였다. 그 중 심상건은 1음절 3음의 시김새를 가장 많이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간결하게 부르는 것을 지향하였고 정남희는 1음절 15음의 시김새로 가장 화려한 시김새를 구사하였다. 시김새의 사용은 창자마다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창자의 기량안에서 본인들이 추구하는 형식으로 여러 시김새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붙임새는 대마디대장단과 엇붙임으로 나누어 분류한 결과 대부분의 곡들이 대마디대장단으로 불려지고 있었다. 엇붙임은 ‘이별가’, ‘신연맞이’, ‘몽중가’, ‘어사춘향모상봉’ 대목에서 나타났으며 그 중 심상건, 이소향, 최계란이 부른‘몽중가’에서 가장 많은 엇붙임이 사용되었다. 셋째, 소리와 가야금의 결합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리의 선율및 리듬에 따른 가야금의 연주형태을 선율형과 리듬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선율형은 총 4가지의 유형으로 ㉠선율 완전일치형, ㉡선율 유사형, ㉢선율 축소형, ㉣선율 이음형으로 분류하였다. 그 중 11대목의 30곡중 23곡이 ㉡선율유사형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선율이음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리듬형은 총 5가지의 유형으로 ①리듬 완전 일치형, ②리듬 확대형, ③리듬 축소형, ④리듬 상이형, ⑤리듬 생략형으로 분류하였다. 그 중 11대목의 30곡중 16곡이 ①리듬 완전 일치형으로 나타났고, 10곡이 ②리듬 확대형으로 나타나 두 유형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듬 상이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비전승 가야금병창 <춘향가>에서는 가야금이 소리선율을 유사하게 연주하였고 리듬은 소리리듬과 일치 및 확대하여 연주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상 비전승 가야금병창<춘향가> 30곡을 중심으로 판소리<춘향가>와 비전승 가야금병창<춘향가>의 사설비교, 장단구성 및 음역, 선법, 시김새, 붙임새, 소리와 가야금의 결합양상을 분석한 결과, 판소리의 사설을 독창적이고 다양하게 축약시켜 각 창자마다 유동성있게 개개인의 예술성을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가 비전승 가야금병창 <춘향가>의 가치를 재조명함으로써 복원작업을 위한 발판이 되고, 현행 가야금병창 <춘향가>의 새로운 연주곡 확장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This thesis is studying for extension and revaluation of ‘Gayageum Byeongchang - Chunhyangga’ repertoires through establishing musical characteristics of melodies which not transmitted but recorded by gramophone record. At 1930’s ‘Gayageum Byeongchang – Chunhyangga’ sang variously with many climax parts by singers based on ‘Pansori – Chunhyangga’ but it passed down with narrow range and few parts nowadays. On the other hand, ‘Pansori – Chunhyangga’ is known to public widely with whole song from various bodies. Hereupon this thesis analyzed comparison with ‘Pansori – Chunhyangga’ lyrics, characteristics of melodies and sounds, tracing features of gayageum combination aspect from non-published ‘Gayageum Byeongchang – Chunhyangga’ songs based on republished and non-published gramophone record. At this thesis, not transmitted ‘Gayageum Byeongchang – Chunhyangga’ parts selected as subject of study has 11 parts(①‘Sarang-ga’, ②‘Ibyeolga’, ③‘Shin Yeun Ma Ji’, ④‘Sipjang-ga’, ⑤‘Ockjung-ga’, ⑥‘MongJoonga’, ⑦‘Eosa-haengjang’,⑧‘Nongbuga’, ⑨‘Bakseokti’, ⑩‘Eosa-chunhayng mo sang bong’, ⑪‘Ock jung sang bong’), sang by 11 singers and results are as like below. At first, not transmitted ‘Gayageum Byeongchang – Chunhyangga’ used simple lyrics as compared with ‘Pansori – Chunhyangga’ which concerned with descriptive points. ‘Gayageum Byeongchang’ lyrics are mostly mixed ‘seopyeonje’ and ‘dongpyeonje’ but ‘Ockjung-ga’ of ‘Oh-taesuk’ is most similar with ‘Kim so-hee’ body of ‘seopyeonje’ and ‘Ockjung-ga’ of ‘Sim-sanggun, Kim-haesun, Jung-namhee’ are most similar with lyrics from ‘Jang-jabeak’ body of dongpyeonje. ‘When Choonhyang missing Lee doryung(Mong-ryong)’ parts lyrics of Oh-beach similar with ‘seopyeonje’ lyrics. As like above, it proves gayageum byeongchang players making their own lyrics by mixing ‘seopyeonje and ‘dongpyeonj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 genre of gayageum byeongchang. Second, as a result for analyzing musical characteristic of not transmitted ‘Gayageum Byeongchang – Chunhyangga’ by rhythm composition, modes, sigimsae, buchimsae, at rhythm composition parts played same rhythm with pansori. Oh tae-suk, sing ‘chunhyang-mo coming out’ part with jajin-mori and Han sung-gi sing jungjung-mori fluidly when pansori use jungjung-mori rhythm. Music modes used commonly by parts, but Oh bi-chi, Kim hae-sun sing ‘Ibyeolga’ from kyemyeonjo to woojo and kyemyeonjo again. Sim sang-gun sing ‘MongJoonga’ changing kyemyeonjo to woojo 11times. Oh tae-suk sing ‘Sipjang-ga’ with kyemyeonjo at jinyang rhythm and change kyemyeonjo to woojo at jung-mori rhythm. Gayageum Byeongchang singers use sigimsae 1 syllable many sounds to make song more splendidly and sometimes use sigimsae little to make it simple and use sigimsae more when they want to make song highlight. Singers use mostly 1 syllable 3 sounds sigimsae, Kim hae-sun used most majority sigimsae among other singers. sim sang-gun and jung nam-hee least sigimsae. Usage of sigimsae shows certainly different between singers and they use various sigimsae by their ability. buchimsae devided by daemadi daejangdan and utbuchim, almost every song uses daemadi daejangdan. Mostly utbuchim shows at MongJoonga especially. Sim sang-gun, lee so–hyang, Choi gye-ran enjoy use utbuchim when they sing MongJoonga. Third, we examine combination aspect of gayageum by melody type and rhythm type. Melody type has 4 types(Ⓐperfect match melody type, Ⓑsimilar melody type, Ⓒmelody reduction type, Ⓓdifferent sound melody type). Among above, 23songs from 11parts of 30 songs show up Ⓑsimilar melody type. Also rhythm type has 5 types(①perfect match rhythm type, ②rhythm expansion type, ③rhythm reduction type, ④different rhythm type, ⑤rhythm skip type). Among above, 16 songs from 30songs show up ①perfect match rhythm type ans 10songs show up ②rhythm expansion type. These 2 types takes major share from rhythm types. As a result of this thesis, not transmitted ‘Gayageum Byeongchang – Chunhyangga’ appears connection lyrics from seopyeonje and dongpyeonje. Singers express their own artistry freely through compiling lyrics fluidly. Melodies and rhythms from not transmitted music also played various rhythm with matching and expansion by singer’s ability. Nowadays, ‘Gayageum Byeongchang – Chunhyangga’ transmitted very few songs by few mast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I expect this thesis can contribute expansion of Gayageum Byeongchang repertoires and become toehold for restoration work through revaluating not transmitted ‘Gayageum Byeongchang – Chunhyangg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