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송영빈 | - |
dc.contributor.author | LIU JIAWEI | - |
dc.creator | LIU JIAWEI | - |
dc.date.accessioned | 2020-02-03T16:32:26Z | - |
dc.date.available | 2020-02-03T16:32:26Z | - |
dc.date.issued | 2020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163369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369 | en_US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062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1910년대에 한국과 중국에 서구의 문물들이 유입되기 시작한 때부터 오늘날까지의 양국 신부 이미지 변화와 특징을 거시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물론 중국과 한국은 공통적인 동양적 색채를 지니고 있지만 신부 이미지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예복, 메이크업, 장신구뿐만 아니라 양국의 신부가 보여주는 기질 등에서 각자 독특한 양상을 나타낸다. 연구에서는 다수의 문헌과 결혼식 기록 사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백여 년에 걸친 한중 양국의 신부 이미지 변화 과정을 보다 생생하고 사실적으로 기술하고자 했으며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에 대해 기술하고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한・중 양국의 혼례문화 비교 연구 분야의 자료와 성과가 크게 부족하다. 둘째, 근대에서 출발해 현대에 이르는 약 100여 년에 걸친 기간 동안의 혼례문화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가 존재하지만 매우 드문 실정이다. 셋째, 신부 이미지에 대한 이해가 대체로 외모에 대한 연구 차원에 그치고 있으며, 혼례문화에서 인물 집단이 지닌 의미 및 가치와 관련한 더욱 진전된 연구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들은 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2장에서는 연구 주제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근대 이후 한중 양국의 혼례문화 변천상을 시기별로 정리하고 신부 이미지의 구성 요소는 신부 복장, 신부 화장, 결혼식 형식으로 나눠서 이어지는 연구 내용을 이론적으로 설명하였다. 3장에서는 근대 이후 한중 양국의 혼례문화 변천 상황과 변천 과정에서 혼례의 주인공인 신부의 이미지가 어떠한 맥락으로 변화되어 왔는지에 대해 평행적으로 자세히 살펴보았다. 한국의 경우에는 1910-1937년대의 결혼식은 주로 신부의 집에서 열리는 전통 혼례식이거나 교회 또는 성당에서 열리는 신식 결혼식이었다. 신부는 전통 녹의홍상에 화관이나 족두리를 쓰거나 또는 흰색 치마와 저고리에 면사포와 화환을 매칭하였다. 1937-1969년 사이의 초기 신부 이미지 역시 전통 혼례복 또는 흰색 치마, 흰색 상의가 주류를 차지했으나 신식 혼례가 점차 전통 혼례를 대체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신부의 모습이 서구화되기 시작하였다. 1969-1988년 사이에는 흰색 웨딩드레스가 이미 여성의 혼례복에서 중심적인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전체적인 신부 이미지는 화이트룩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1988-2012년의 시기에서도 신부들은 대체로 흰색 웨딩드레스를 착용했으나 개량 한복을 사용하는 경우도 존재하였다. 또한 야외에서 진행하는 결혼식이 시작되고, 그에 따라 야외의 맑은 자연환경에 어울리는 신부의 모습을 나타내게 되면서 웨딩드레스 스타일이 점차 작고 정교하게 변화되었다. 2012년 이후 현재까지는 개성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결혼식이 진행되어 작은 혼례식, 하우스웨딩 등의 콘셉트에 따라 신부 이미지가 더욱 깔끔한 스타일링을 나타내게 되었으며, 또한 전통 혼례복식에도 다양한 변화가 등장하게 되었다. 중국의 신부 이미지를 보면, 민국시대에 시작되며, 1912-1949년 사이의 신부 이미지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전통혼례에서 봉관을 쓰고 마과와 운견을 입은 전통신부 이미지이며, 다른 하나는 민국정부가 제창한 문명 혼례에 따라 개량된 치파오를 입고 면사포를 쓴 모습이다. 1949-1976년대는 중국인민공화국의 건국 초기로써 정치, 경제 등 일련의 객관적 요인에 의해 신부의 이미지가 절대적으로 소박해지고 간소화되며, 화장마저도 일시적으로 금지되었다. 그 후 1976-2001년 단계에서 개혁개방과 함께 경제 발전을 이룩하며, 그에 따라 신부 이미지가 크게 발전하며, 외부 서양 세계의 패션 트렌드를 모방한 중국 신부들은 30년에 걸쳐 은색 슬립, 과도기의 핑크 드레스, 그리고 순백의 서양식 웨딩드레스에 이르는 다양한 변화를 형성하였다. 2001-2010년에 신부들은 일반적으로 웨딩드레스를 입고 예식장 또는 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렸으며, 중국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가 확대되면서 전통 혼례복식의 부흥 사조가 일어나게 되었다. 2010년 이후 현재까지 결혼식이 성대하게 치러지면서 신부의 이미지가 화려해져서 결혼식에서 최소 3~4벌의 조형이 교체되고, 각 절차마다 한 번 정도 변화될 정도의 성대한 결혼식이 진행되고 있다. 4장에서는 한중 양국의 신부 이미지에 대해 중점적이고 도식적으로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론적 고찰에 따라 신부 이미지의 구성 요소를 크게 복장과 화장으로 나눌 수 있으며, 또한 신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정한 환경의 공간적 영향을 받으므로 이 세 가지 요소를 비교 논술했다. 또한 양국의 신부 이미지에 나타난 특징을 비교하여 양국 신부 이미지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찰하고,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결론에서는 연구를 정리하며, 오늘날 양국 신부 이미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고 근대 이후 신부 이미지를 변화시킨 특정한 힘들을 되짚어 보았다. 결론적으로 한국과 중국의 신부 이미지는 사회문화적 변천 과정에서 외래문화의 영향과 내부 정치적인 요인 그리고 양국 전통문화가 지닌 의미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고 변화되어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이 논문의 제한점은 한국과 중국의 약 100년에 걸친 혼례문화, 특히 신부 이미지라는 다각적인 시각에서 섬세하게 접근해야 하는 주제에 대해 도식화를 시도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중국의 차이를 비교적 관점에서 선명하게 기술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과감한 시도 역시 필요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미처 섬세한 접근과 분석이 진행되지 못한 요소들은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남기고자 한다.;本论文旨在了解1910年代后,在韩中两国传统婚礼文化受到现代西方文化强烈影响的背景下,随着时代变迁,婚礼最根本的核心构成因素——新娘人物形象发生了怎样的变化。作者试图从宏观上比较分析两国新娘形象的共同点和差异点。纵然,中国和韩国地域相连,是同属于东亚文化圈下的邻国,但新娘形象在其具体的构成要素上,如:礼服、化妆、首饰以及两国新娘所表现出的气质等方面,都表现出了各自独特的风格。研究中,通过对大量文献和婚礼记录照片的分析, 生动地, 真实地记述了韩中两国百余年来新娘形象变化的过程, 本论文的构成如下: 第一章,记述了研究的背景及目的,并揭示了现有先行研究的局限性。 结果一,中韩两国婚庆文化比较研究领域的资料和成果严重不足。 第二,从近代到现代约100多年的时间里,虽然存在着对婚礼文化的综合性研究,但这是非常罕见的。 第三,对新娘形象的理解大多停留在外貌的研究层面,不存在关于人物群体在婚礼文化中的意义和价值的进一步研究。由此揭示了本研究的必要性。 第二章,针对有关研究主题的理论背景进行考察。对于近代以后韩中两国的婚礼文化变迁状况,按照历史时期进行划分梳理, 并将新娘形象根据其构成要素,划分为:新娘服装、新娘化妆、婚礼形式等,从理论上阐述其具体内涵,为后续研究提供理论支持。 第三章,近代以后在韩中两国的婚礼文化变迁中,作为婚礼主人公的新娘形象发生了怎样的变化,作者对其进行了详细的平行分析。首先,看看韩国的变化脉络。1910-1937年代期间,婚礼主要是在新娘的家中举行或在教堂或教堂举行。 而新娘会身着传统的绿衣红裳佩戴戴花冠或足头里,亦或是在白色裙子和白色上衣上,配上面纱和花环。1937年至1969年间,初期新娘形象也是以传统婚礼服形式,色彩为白色的裙子和上衣占据主流,但当新式婚礼逐渐取代了传统婚礼之后,新娘的形象也开始西方化。1969-1988年间,白色婚纱已经占据了女性婚礼服的中心地位,整体的新娘形象以白色的西式装扮为主。1988-2012年期间,新娘们大多都穿着白色婚纱,但也有穿着改良韩服的情况。另外,随着室外仪式场的出现,为了能与清新的自然环境相协调,新娘的婚纱风格逐渐变得小巧精致。 2012年至今,婚礼形式越来越个性多样,小型婚礼,house wedding等主题的婚礼受到年轻人追捧,新娘形象变得更加简洁大方,同时传统婚礼服饰也出现各种变化。 纵观近代中国的新娘形象,始于民国时期,1912-1949年间的新娘形象大致可分为两种形态:一是传统婚礼上凤冠霞帔的形象;二是按照民国政府倡导的文明婚礼,穿着改良后的旗袍,戴着面纱。 1949-1976年是中华人民共和国的建国初期,在政治、经济等一系列客观因素的影响下,新娘形象被绝对的朴素和简化,就连化妆也被禁止。 此后1976-2001年阶段,随着改革开放,经济得到常驻发展,新娘形象紧跟外部西方世界的时尚潮流,在这30年中,出现了各种大红色的裙装嫁衣,过渡期的粉色晚礼服,直到最后纯白色婚纱才被广为接受。 2001-2010年,新娘们一般穿婚纱在礼堂或酒店里举行婚礼,在与外部世界发生紧密联系的过程中,国民开始反观本国的传统文化,传统文化逐渐被发扬,传统婚礼服饰的复兴思潮也随之而起。 从2010年至今,婚礼仪式逐渐盛大,新娘形象也越来越华丽,婚礼上至少要更换3到4套造型,由此可见当下人们对婚礼仪式的重视。 第四章,对韩中两国的新娘形象进行特点的格式化比较分析。根据前文理论考察,可以将新娘形象的构成要素大致分为服装和化妆,并且新娘并非独立存在,人物本身会受到特定环境和空间的影响,所以比较研究将从这三个要素展开。与此同时,对比两国新娘形象的特点,考察其普遍性和特殊性,并试图究其原因也是本章重点。 结论之处,统整全文研究成果,揭示当今两国新娘形象的共同点和差异点,探寻出了近代以后改变新娘的内在动力。总的来说,韩国和中国的新娘人物形象在社会文化变迁过程中,受到外来文化的影响,内部政治因素以及两国传统文化所具有的深远意义的影响,由最初的封建传统之形象,逐渐蜕变为今日两国各自不同但是又特点鲜明的新娘形象。 本研究试图对韩国和中国百余年来婚礼文化变迁中的新娘形象,进行多角度地、公式化分析,但是在内容的全面性考察上略显不足。尽管如此,为了明确记述韩国和中国的差异, 认为有必要进行这种大胆的尝试,本研究中尚没能进行到的深入的、细致的分析, 对此我想作为今后的研究来保留。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 목적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4 Ⅱ. 이론적 배경 7 A. 근대 이후 혼례문화의 변화 7 1. 한국 7 2. 중국 12 B. 신부 이미지 16 1. 이미지 정의 및 신부 이미지 16 2. 신부 이미지의 구성 요소 17 Ⅲ. 한ㆍ중 신부 이미지의 시기별 변화 26 A. 한국 26 1. 1910-1937 28 2. 1937-1969 32 3. 1969-1988 35 4. 1988-2012 37 5. 2012-현재 40 B. 중국 42 1. 1912-1949 43 2. 1949-1976 48 3. 1976-2001 52 4. 2001-2010 56 5. 2010-현재 57 Ⅳ. 한중 신부 이미지 비교 62 A. 신부 이미지의 비교 분석 63 1. 복장 양식 63 2. 복장 색채 65 3. 신부 화장 67 4. 결혼식 형식 73 B. 사회적 변화 요인과 신부 이미지의 상관성 75 Ⅴ. 결론 78 참고문헌 81 中文摘要 85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3798642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ddc | 900 | - |
dc.title | 근대 이후 한ㆍ중 신부 이미지 변화 연구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translated | 近代以来韩ㆍ中新娘形象变化研究 | - |
dc.format.page | ix, 87 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 - |
dc.date.awarded | 2020. 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