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41 Download: 0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여성의 정체성 재구성
- Title
-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여성의 정체성 재구성
- Other Titles
- Reconstruction of North Korean Women's Identity after 'Arduous March
- Authors
- 곽연실
- Issue Date
- 2020
- Department/Major
- 대학원 북한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Doctor
- Advisors
- 최대석
- Abstract
- 본 논문은 북한 최대의 참혹한 시기였던 고난의 행군 경험으로 정체성 혼란과 변화를 겪고 있는 북한여성의 정체성 재구성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북한사회를 이해하고자 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논문은 고난의 행군 이전 여성 정체성을 탐구하고자 문헌분석을 하였고, 여성의 경험에 대해서는 인터뷰 방식과 생애담 구술 방식을 병행한 질적 연구방법론을 시도하였다. 특히 정체성 탐구에 적합한 생애담 구술 방식은 이전과 이후 변화된 자전적 이야기로서 의미를 드러내는 삶에 주목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여성의 정체성을 경제적 측면, 심리적 측면, 성적(性的)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북한여성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북한은 정권 초기부터 사회주의 이념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남녀평등정책을 시행하였다. 한국전쟁 이후 북한은 수령제도를 구축하는 한편, 가정 내 남성의 권한을 강화하고 전통적 여성성을 강조하면서 성차별적 위계질서를 공고화하였다. 1990년대 고난의 행군은 사회는 물론 가족생활 전반의 대전환을 가져왔다. 남성은 무능해졌고 가장의 역할은 여성의 몫이 되었다. 생계의 유일한 방편이었던 장사는 이후 당국의 시장화 조치로 양성화되면서 사회 전반으로 확대되었다.
고난의 행군을 겪으면서 여성의 정체성은 혼란과 변화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먼저 경제적 측면은 남성에 의존해 생계를 유지했던 이전과 달리 가족의 생계와 생존을 홀로 감당해야 한다는 점에서 여성은 혼란을 경험하였다. 사적 영역을 통해 생존하고 경제적 부를 축적하며 물질과 금력(money power)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여 경제적 가장으로서 책임성과 함께 자본주의적 의식을 형성하였다.
무엇보다 북한여성의 정체성 변화는 성적 측면에서 매우 두드러졌다. 고난의 행군 이전의 여성은 권위주의적인 성 억압적 사회에서 순결과 정절을 매우 소중히 여기며 폐쇄적ㆍ수동적인 성향을 보였지만, 이후 이들의 관점은 달라졌다. 고난의 행군 당시만 해도 여성은 자신의 몸을 자본화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후 외래문화의 수용과 공간이동 확대, 인적교류 증대로 개인화가 확대되면서 성적 주체로 변모하고 있었다.
여성의 정체성 변화는 정서ㆍ심리적 측면에서도 나타난 바, 경제적 가장으로 자리매김한 여성은 가정 내 발언권이 커졌고, 이는 남성 위주의 가부장적 문화에 대한 자의식적 성찰과 함께 자기 존재감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다. 전통적 여성성을 기반으로 한 타율적ㆍ수동적 성향에서 주체적ㆍ능동적 성향으로 변하며 결혼관과 자녀관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고난의 행군 경험에서 재구성되는 여성 정체성의 공통점은 불편부당한 가부장적 문화에 저항한 것이다. 그리고 탈가부장적 성향이 나타나면서 여성은 친정중심의 경제적ㆍ정서적 밀착된 관계를 형성하였다. 이로써 재구성된 여성의 정체성은 첫째, 경제적 가장으로서 책임성과 독립성이다. 둘째, 심리적 측면에서 자율성 증대와 자기존재감을 인식하였다. 셋째, 성적 측면에서 개방성과 주체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가족의 구심점’으로서 ‘유능한 아내-엄마-딸’로 이어지는 역할, 이른바 ‘슈퍼우먼’으로의 정체성 재구성 과정과 맞물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여성이 ‘살고, 다시 살아가는’ 이야기의 순환 속에서 고난의 행군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이자 정체성 혼란과 변화, 재구성을 반복하는 기제로서 작용하였고, 이는 이들의 욕구와 지향점을 보다 확연하게 드러내는 과정으로 이어졌다. 고난의 행군 경험과 이야기하기는 이들 스스로 내면의 상처를 치유하는 자가 치유력을 발견ㆍ증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논문은 앞으로 전개될 통일과정뿐 아니라 이후에도 남북한 주민의 심리적 통합의 주요 논제 중 하나인 ‘정체성’을 연구함으로써 통합의 사회적 함의를 밝히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북한여성의 정체성 재구성 과정은 이들뿐 아니라, 남북한 전 주민을 대상으로 한 정책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남과 북 주민 사이에 ‘이야기하기’를 통해 서로의 공감대와 이해력을 높여가기를 제안해 본다.;This thesis begins with understanding in terms of the North Korean society through considering rebuilding the process of North Korean women’s identities those who experienced confusion with self-identity and change in the Arduous March. This thesis is to examine on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search for women’s identities before the Arduous March, and to choose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with interview and life story narrative regarding their experiences. In particular, this adequate life story narrative approach for self-identity study focuses on the experience as autobiographical story that has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Arduous March. Therefore, this thesis analyzes women’s self-identity based on to economical, psychological and sexual perspectives.
First of all, this thesis discusses how to develop the women’s self-identity in North Korea. North Korea enforced a gender equality law to accomplish socialist ideas after Korean liberation. While developing Suryong system, the government enforced men’s rights, emphasized traditional femininity, and accomplished a gender hierarchy structure. The Arduous March in 1990’s impacted not only a society but also a colossal shift in entire family life. Men became incapable and their roles as the head of household were changed to women’s part. Business as only way for living was widespread throughout the society after the market legalization.
Women’s self-identity was revealed to aspects of confusion and changes in the Arduous March. In financial aspect women were confused that they had to take responsibility by themselves for living and survival in family while they used to be dependent on men. They survived through private sphere, saved money, changed that property and money power is essential so that they developed sense of capitalism as a head of household.
After all, changes of women’s self-identity in North Korea became remarkable in a sexual perspective. Before Arduous March North Korean women believed that virginity and fidelity was crucial and seemed to be a closed and passive tendency in sexually oppressed authoritarian society, and then their perspective changed. During the Arduous March, they were more likely to be capitalized and then they seemed to be more core gender identity by accepting of foreign culture, expanding of space movement, and growing of human exchanges.
The changes of women’s self-identity were already shown in emotion psychological aspect. Women as a head of household could speak up in their family. This was the moment that they were able to reflect on patriarchal culture, as well as to develop their self-existence. Their heteronomous and passive tendencies were changed to be independent and active so that it had impact on their aspects in terms of marriage and children.
The common feature of women’s self-identity reconstructed the Arduous March is resistance to patriarchal culture. As it appeared post-patriarchal tendency, women in North Korea develop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s family financially and emotionally. First of all, this reconstructed self-identity is responsibility and independence as a financial head of household. Secondly, North Korean women were aware of increase of autonomy and self-existence. Moreover, openness and subjectivity regarding sexuality has emerged. After all, this result is shown that this women’s self-identity as a “superwoman” is related to required multiple roles of wife, mother and daughter as a center of family.
In the cycle of their “lived, live again” story the Arduous March remained an unfinished issue and mechanism that developed confused self-identity, change and repeated reconstruction. Their experience and story-telling in the Arduous March provided a chance to find healing power, as well as to develop it as an inner wounded healer.
This thesis contains fundamental meaning by not only being a part of unification process but also revealing the social implication of integration with self-identity study as a main psychological issue for both of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Especially, reconstructed process of women’s self-identity in North Korea can provide implication for both of them to make a policy. This thesis also expects to have mutual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by the story-telling proces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Ph.D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