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5 Download: 0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and Social Anxiety of undergraduat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ing
Authors
최나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철옥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사회불안을 예측하는 데 주요 변인임을 나타낸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에서 26세 이상의 대학생 35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서면과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먼저 각 변인들의 상관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후 사회불안과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에서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유효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사회불안은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거부민감성, 자기침묵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변인들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불안과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할 뿐 아니라,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을 순차적으로 거쳐 사회불안에 이르는 매개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대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사회불안을 직접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높은 수준의 과보호는 자녀의 거부민감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자기침묵을 형성하여 높은 수준의 사회불안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성인기에 진입하면서 대학생들은 심리적 성숙과 성장을 온전히 이루지 못한 상태에서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된 상황에서 사회불안을 경험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 시기의 사회불안이 형성되는 원인과 과정을 이해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기존의 연구들은 이러한 대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과보호적 양육태도에 대한 대상은 아동기나 초기 청소년기에 한정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기존의 인식에서 벗어나, 사회불안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주목받는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대학생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대학생 사회불안에 대한 예방과 효과적인 치료 방안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를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overprotection, social anxiety,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ing. The study participants(341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rawn from various regions of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18.0 and AMOS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maternal overprotection, social anxiety,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ing. Second, the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the path from maternal overprotection to self-silencing. Thir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and social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mediated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ing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and social anxiety was also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may be meaningful that the refusal sensitivity and self-silence displayed i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helped to reduce social anxiety. The mother's overprotective nurturing attitude agreed to increase the sensitivity to rejection, but the perception by the general college student-the emotional part not only causes social anxiety, but also a level that can be used as a social resource It has been adapted. It is understood that self-silence, which is a behavioral aspect, is recognized as an optional act to adapt in Korean society. Undergraduate students entering the emerging adulthood generally do not have fully-developed sense of independence and responsibilities and they easily experience social anxiety due to the pressure from social environments that demand for social compet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process of social anxiety in this period. In this regard,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o identify that maternal overprotection is one of influential mechanisms for undergraduate students’ social anxiety beyond the commonly-accepted idea that undergraduate students are not affected by their parents any more. Moreover, given that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maternal overprotection on social anxiety and its medit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ing,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ec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social anx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