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중도 입국 학습자 대상 학교 적응 지원 한국어 어휘 교수 설계 연구

Title
중도 입국 학습자 대상 학교 적응 지원 한국어 어휘 교수 설계 연구
Other Titles
The Vocabulary Instructional Design to Help Adolescent Immigrant Learners Adapt to School
Authors
진송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 입국 학습자들의 학교 적응을 지원하기 위하여 내용 중심 교수법을 기반으로 어휘 교수를 설계하고 실제 수업을 실행함으로써 효과성을 검증한 실행 연구이다. 본 연구가 중도 입국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초기 학교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어휘 교수를 설계하는 것이기에, 중도 입국 학습자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는 것으로 연구를 출발한다. 중도 입국 청소년에 대한 정의와 분류는 다양하게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의 정의에 따라 본국에서 성장하다가 학령기에 한국에 입국하는 학생을 중도 입국 학습자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어 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공교육 진입과 학교 적응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학생으로 정의하고 용어를 통일하고자 한다. 중도 입국 학습자들은 모국에 살다 학령기에 한국에 오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한국어는 한국에서 사회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생활 언어인 동시에 학업과 학교생활을 위한 교육 매개어 기능까지 담당해야 하는 절실한 삶의 수단이 된다. 이는 중도 입국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교육이 누구보다도 꼭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삶을 들여다본 선행 연구의 결과들을 토대로 학교생활 적응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어휘 교수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중도 입국 학습자들을 위한 공교육 체제에서의 한국어 교육 지원 사업으로는 대표적으로 한국어 교육과정(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과 다문화 가정 자녀 특별 학급(이하 다문화 특별 학급 또는 특별 학급) 및 예비 학교 운영이다. 다문화 특별 학급과 예비 학교는 모두‘한국어 교육과정’에 기반을 두고 운영하고 있으며,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표준 한국어」교재 및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연령, 입국하는 시기가 다르고, 한국어 수준도 모두 다른 중도 입국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교사들이「표준 한국어」교재만을 활용하여 가르치기에는 중도 입국 학습자들의 학업 중단율을 줄이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에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내용과 언어를 함께 교수하는 내용 중심 교수법에 근거한 중도 입국 학습자 대상의 어휘 교수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내용 중심 교수법을 기반으로 어휘 수업을 설계할 때에 교사는 주제와 개념과 원리 등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적어도 세 가지 언어 기능을 포함해야 한다. 교실에서 많은 언어에 노출되어 풍부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해 줘야 하기 때문에, 대화체로 교수해야 하고 수준에 맞는 읽기 자료를 제공하고 맥락적 담화를 제공해야 한다. 학습자들은 많은 언어에 노출되어 어휘가 자연스럽게 학습될 뿐만 아니라 언어의 다양한 기능을 함께 습득할 수 있고 내용의 주제와 개념과 원리가 함께 전달되어 진다는 장점이 있기에(Richards & Rodgers, 2017, pp. 136-139) 내용 중심 교수법 중에 주제를 중심으로 언어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는 주제 중심 교수법에 기반을 둔 중도 입국 학습자 대상 어휘 교수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어휘 교수 프로그램은 효과를 검증하는 실행 연구까지 4단계로 이루어졌는데, 각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이론적 기초를 다지기 위해 선행 연구의 검토와 분석을 토대로 내용 중심 교수법을 살펴보고, 중도 입국 학습자들의 상황 분석과 한국어 교육 지원 환경 체제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들에서 밝힌 학생들의 학교 적응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원 환경 개선과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어휘 교수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에 대한 기준을 성립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효과적인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교육에 필요한 자료를 구축하였다. 기본 어휘를 선정하기에 앞서 학교 적응을 돕는 주제를 선정하였는데, 학생들의 입학 초기 적응 활동으로 지원되는「학교가 좋아요(1학년)」교과서와 교육부에서 발행한「봄 1-1」 교과서 등의 공인된 교과서들의 주제를 분석하여 중도 입국 학습자들의 학교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10가지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초급 단계에서 구축된 어휘들을 필수 어휘라고 판단하고「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저학년 의사소통」 1-2권,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고학년 의사소통」 1-2권,「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의사소통」 1-2권 등 공인된 교과서의 어휘 목록을 말뭉치로 구축하고 고빈도 출현 어휘를 1차적으로 선정하여 학습 주제에 따라 분류하였다. 학습 주제에 따라 분류된 1차 어휘 목록을 내용 전문가인 3명의 교사에게 어휘 판정을 거쳐 최종 어휘 목록을 구축하였다. 세 번째로 문헌 분석을 통해 내용 중심 교수법 기반의 중도 입국 학습자들의 초기 학교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10단원의 어휘 수업을 구성하였다. 수업에 필요한 교육 자료도 같이 개발하였는데 기존에 개발된 수업 교재들도 인용하였다. 실행 연구에 앞서 어휘 교수를 위한 지침을 작성하였다. 지침은 어휘 교수 설계의 개발 목적, 개발 방향, 수업 적용 대상, 수업 지도안 작성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가 수업을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네 번째로 직접 실행 연구를 진행하여 개발한 어휘 교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2명의 연구 참여자가 따로 중도 입국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두 달 동안 10차시의 어휘 수업을 진행하고 수업 평가지인 내용 검토 표와 단원별 수정사항 일지를 기록하였다. 교사의 일지를 바탕으로 비공식적인 면담을 통해 어휘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수정 및 보완하여 수업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분석을 통해 중도 입국 학습자들의 학교 적응 요인을 학생과 교사와의 관계, 교우 관계, 학습 생활 태도, 학교 규칙 준수라는 네 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재 중도 입국 학습자들에게 지원되고 있는 학교 적응 프로그램 및 한국어 교육 제도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10단원의 중심 주제를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로, 학교 적응을 위한 주제를 선정하기 위해 출판된 공인 교과서를 분석하여 학교 적응의 네 가지 하위 영역을 반영하는 주제들을 선정한 후, 그 주제에서 가르쳐야 하는 학교 적응 교육용 어휘를 선정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수업을 설계하는데 그치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수업 지도안 교사 안내서를 함께 구성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 연구를 진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This study is an action study that validated the effectiveness of vocabulary teaching based on content-oriented teaching methods. To design vocabulary teaching lessons to adolescent immigrant Korean learners adapt to school, it divided the school-adaptation factors into four sub-sections: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teachers, friendship, learning-life attitudes, and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The content-oriented teaching method, which can improve Korean language skills, should be based on a theoretical basis as well as learning contents to help students adapt to school life and improve Korean language skills. Korean language ability is difficult to improve in a short period, but it can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by educating the basic vocabulary of conversation. So this study started with designing vocabulary teaching lessons based on the theory of content-oriented teaching method. The content-oriented teaching method is a technique to teach four functions and grammar of a language based on a significant theme by organizing the curriculum and teaching procedures according to the subject chosen by the teacher. This approach has the advantage of using hands-on materials not only to improve speech skills but also to learn language naturally by learning content that is necessary and easy to understand for learners. First, to solve the problem of what the topic of contents to help students adapt to school should include, the study selected ten sub-topics by analyzing official textbooks published by the education office which made to help adolescent immigrant Korean learners adapt to school. 'Standard Korean book for students' developed in the KSL curriculum are taken as corpus samples based on the frequency that can be said to be the basis of vocabulary selection in the first place. Afterward, it selected additional basic vocabulary related to the unit's subjects in this study and reduced the unit of extensive vocabulary by conducting professional decisions. Through this, it has selected a list of vocabulary that f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to help school adaptation. At last, to solve the problem of how to effectively teach the selected vocabulary, the SIOP model, which is an approach that integrates content and language, was built as the basic framework of the clas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vocabulary teach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two research participants conducted an action research study. Action research is an examination activity conducted by teachers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how well they teach and how well their students learn. It is a process that seek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hey perform. This study also conducted by the action study to apply advanced alternatives to the class. As a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action study, the study used a measuring tool called a content review table. I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through informal interviews and correction notes by the sub-unit, which can be called teacher participation observation records. Using the developed lexicon teaching program, the researcher record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each unit using a content checklist consisting of 5 points, and further prepared the class logbook, shared opinions on the right and weak points of the class, and revised the lesson plan to reflect them.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has found that this study will work not only for two study participants but also for other teach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ivided the factors of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 immigrant Korean learners into four sub-sections: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friendship, learning-life attitudes, and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It is also meaningful that by looking at the school adaptation program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currently being applied to adolescent immigrant Korean learners, who are having difficulty adapting to the schools and proposed a fundamental topic in 10 units to help adolescent immigrant Korean learners adapt to the schools. Third, it is profound that we analyzed authorized textbooks published to select topics for school adaptation, judged and picked overlapping themes as topics conducive to school adjustment, and chose the vocabulary for school adaptation education that should be taught in those topics. Finally, it conducted practical research to collaborate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guides, not just designing 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