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허란-
dc.creator허란-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2:18Z-
dc.date.available2020-02-03T16:32:1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40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402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031-
dc.description.abstract문학은 애초에 전문 작가의 창작에 한정되지 않았으며, 많은 이들이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흥미롭게 귀 기울이고, 자신의 느낌을 어렵지 않게 입으로 흥얼거리는 행위이자 활동이었다. 그러나 문자 형태의 문학은 곧 창작자와 수용자의 분리를 낳았고, 예외적이고 천재적인 개인이 예리한 통찰력과 뛰어난 감수성을 바탕으로 지은 글만이 문학으로 인정받아 왔다. 그런데 최근 매체 환경의 변화, 그리고 사회 여러 분야에서 시도되는 주체적인 문화 향유의 움직임은 전통적 좁은 문학 개념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다양한 창작의 공간이 마련되고 있고, 전문 작가가 아닌 사람들의 창작물을 가상 공간과 현실 공간 모두에서 접하게 된 것이다. 고정된 창작물로서가 아니라 생산적 활동으로 문학 개념이 점차 바뀌어가고 있는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문학교육 역시 학습자들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참여, 그리고 학교 안과 밖을 모두 아우르는 교육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시대의 변화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문학 생활화의 관점에서 청소년들의 시 창작 경험이 가지는 의미를 확인하고, 바람직한 창작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학은 생애 전반에 걸친 문학 활동의 생활화를 통해 능동적으로 향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여 지속적이고 자발적으로 행해지는 평생교육으로서의 문학 생활화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학 생활화의 실천 방법에 있어 지금까지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시 창작 활동에 주목하여 문학 생활화의 실천으로서의 시 창작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시 창작 활동은 문학을 생활화하는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며, 지속 가능한 문학 생활화 실천의 밑거름이 된다. 따라서 문학 생활화는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문학 활동의 방법을 통해 선명하게 나타나며, 시 창작 경험이 그 시작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시 창작 경험을 중심으로 한 문학 생활화의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이에 문학 생활화의 재개념화를 위해 생활화에 관한 이론 정립과 기존의 문학 생활화와 관련된 연구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문학 생활화 교육의 의의를 목적과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문학 생활화 교육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제도권에서의 문학 생활화 교육과 비제도권에서의 문학 생활화 교육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 창작 경험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시 창작 경험의 현상학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연구를 설계했으며,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시 창작 경험을 통한 문학 생활화 실천 양상을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은 수원시청에서 주관하는 <2019 상반기 버스정류장 인문학글판 창작 시 공모>에 응모한 청소년들 중에서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5명으로 선정하였다. 면담 횟수는 1회, 면담 시간은 1시간 정도가 소요되었다. 면담 질문은 시 창작의 동기와 배경, 이와 관련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의견, 그리고 문학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문학 생활화 실천으로서의 시 창작 경험과 시 창작 경험을 통해 변화한 연구 참여자들의 모습으로 나누어 청소년들의 시 창작 경험이 문학 생활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서 분석한 Ⅲ장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 창작 경험을 통한 문학 생활화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청소년들의 시 창작 경험의 분석 결과를 시 창작 경험을 통한 문학 생활화 교육의 관점에서 논의하고 그 방안을 모색하였다. 시 창작 관련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시 창작을 쉽게 즐길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평소 시 창작에 관심을 가지지 않은 학습자들에게 문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시 창작 수업의 참여를 통해 학습자들이 바라는 시 창작 수업에 대한 바람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시 창작 경험을 통한 문학 생활화의 실천이 자발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 활동 중 하나인 문학 창작 활동에 주목하여 문학 생활화를 위한 문학 활동은 어느 한 지점에 머물러 있는 현상이 아닌 평생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보고, 청소년들에게 있어 시 창작 경험을 활용한 문학 생활화가 갖는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의의는 문학을 생활 속에서 창작 활동의 형태로 유의미하게 활용할 수 있는 문학 생활화의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에 있다.;Originally, literature was not limited to the writing of professional artists but an activity or behavior of ordinary people listening to others’ interesting stories and humming their feelings with ease. However, the literary form of literature soon generated a separation between writers and readers, and only writing by exceptional and genius individuals with keen insight and outstanding sensitivity has been recognized as literature. Nevertheless, the recent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and the movements of autonomous cultural enjoyment experimented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are changing the traditional narrow sense of literature. In other words, various writing spaces are being prepared, and writing by non-professional artists is accessible in both virtual and real spaces. In line with the changing idea of literature that emphasizes productive activities rather than fixed productions, literary education also needs to be transformed toward learners’ voluntary and autonomous participation and educ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In order to meet the changes and demands of the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anings of poem writing experiences of adolescents from the perspective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desirable writing education. Literature can be actively enjoyed by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rough life course. Hence, by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literature as a continuing and voluntary lifelong education needs to be understood. Therefore, focusing on the poem writing activities that have not been discussed so far in regard to the practice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oem writing as the practice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Poem writing activities make a positive difference in the way people put literature into their lives and underpin the sustainable practice of literary life. Therefore, since putting literature into our lives is clearly manifested through the method of independent and voluntary literary activities, education plan that considers the poem writing experiences as its starting point should be sought. First, chapter II organiz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shedding light on the poem writing experiences. It summarized relevant theories for re-conceptualizing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and critically reviewed the research history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Also, it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based on its education that changes depending on the purposes and environments. Thus, the education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in the institutional sphere and non-institutional sphere were both examined,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poem writing experiences were also examined. Chapter III designed the research using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to analyze phenomenological meanings of poem writing experiences.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ere used as the basic material to identify the aspects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rough poem writing experienc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ho voluntarily engaged in this study, included five adolescent participants in <The First Half of 2019 Humanities Writing Poem Competition for Bus Stops> held by the Suwon City Hall. One interview session was conducted, and the interview duration was approximately 1 hour. The interview questions consisted of items related to the motivation and background of poem writing, opinions on the relevant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attitudes toward literature.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poem writing experience as a practice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and the aspects of participants changed through poetry writing experiences, presenting the analysis of the meanings of the adolescents’ poem writing experiences in relation to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Based on the results from chapter III, chapter IV presented the education plan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rough the poem writing experiences; it discussed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e adolescents’ poem writing experiences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rough poem writing experiences and explored the method. The method of using a mobile platform of poem writing enabling them to easily enjoy poem writing was suggested so that students who used to be not interested in poem writing can appreciate literature in a novel manner. Also, with respect to participation of various poem writing classes outside the school, a method to realize the students’ desired poem writing classes was suggested. Finally, an evaluation plan in which the practice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rough such poem writing experiences can be performed voluntarily and continuously was proposed. Focusing on one of the literary activities, literary writing, this study viewed that the literary activities for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is a phenomenon not staying at one point but lasting throughout life course, the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rough the poem writing experienc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ncrete education plan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at can be applied as a form of writing activities in daily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3 C.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8 Ⅱ. 시 창작 경험을 중심으로 한 문학 생활화의 이론적 배경 10 A. 문학 생활화의 재개념화 10 1. 생활화에 관한 논의 10 2. 문학 생활화의 비판적 고찰 11 B. 문학 생활화의 실천과 시 창작 경험 13 1. 문학 생활화 실천의 의의 13 2. 문학 생활화의 관점에서 본 시 창작 경험의 의미 14 C. 목적과 환경에 따른 문학 생활화 실천 17 1. 국어과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문학 생활화 교육 17 2. 다양한 환경에서의 문학 생활화 교육 24 Ⅲ. 시 창작 경험의 현상학적 의미 분석 28 A. 연구 설계 28 1. 질적 연구 방법 28 2. 현상학적 연구 방법 29 B.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32 1. 연구 참여자 32 2. 자료 수집 방법 35 3. 자료 분석 방법 37 4.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도 40 5. 연구의 참여자에 관한 윤리적 고려 41 C. 연구 결과 및 내용 41 1. 문학 생활화 실천으로서의 시 창작 경험 45 2. 시 창작 경험을 통한 자기 변화 인식 59 Ⅳ. 시 창작 경험을 활용한 문학 생활화 교육 방향 68 A. 모바일 플랫폼을 통한 시의 생활화 69 B. 학교 밖 시 창작 교실을 통한 문학 생활화의 실천 74 C. 지속 가능한 문학 생활화를 위한 평가 방안 80 Ⅴ. 결론 85 참고문헌 88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95 부록2. 면담 질문지 96 ABSTRACT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73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시 창작을 통한 문학 생활화 교육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청소년의 시 창작 경험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ducation Plan Using Poem Writing for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 : Focusing on Adolescents’ Poem Writing Experiences-
dc.creator.othernameHeo, Ran-
dc.format.pagevi,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