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순희-
dc.contributor.author조은빈-
dc.creator조은빈-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2:18Z-
dc.date.available2020-02-03T16:32:1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40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401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030-
dc.description.abstract문식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의사소통의 양상이 다양해지고 있다. 얼굴과 얼굴을 마주 보고 말하는 것과 문자를 통해 의사소통을 할 때 나타나는 특징이 다르듯이, 인터넷상에서도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의사소통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며 글의 소통 방식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의사소통 환경의 변화가 글의 소통 방식에 일정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면 그 변화를 세밀히 살피고, 그 변화를 새로운 교육 내용으로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지식 자체의 습득을 중시하던 사회에서 지식의 융합과 창의적 활용을 지향하는 사회로 변모하였고, 쓰기 작업이 주로 개인적으로 이루어지던 사회에서 자신이 속한 공동체 안에서 협력적 쓰기를 해야 하는 사회로 변모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의 작문 교육인 종이 및 인쇄 기반 교육, 전문 필자를 모델로 제시하는 교육, 수능이나 대입 논술 등 평가 위주의 작문 교육을 넘어 앞으로의 작문 교육에서는 필자와 독자가 협력하여 대규모로 소통하는 구조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연결 시대의 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가‘소통과 협력’이다. 디지털 공간에서의 쓰기는 필자와 독자가 소통을 통해 답을 찾아가면서 텍스트를 재구성한다. 필자와 독자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로 연결된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 모여 다중의 방향으로 소통하게 된다. 이러한 소통 과정을 협력으로 보고, 교육 내용으로 구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작문 교육에서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이 바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협력적 쓰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키, 구글 문서를 활용한 협력적 쓰기 교육을 제안하였다. 집단지성의 원리를 통해 필자이자 독자로서 함께 글을 만들어 가는 협업 도구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작문 교육 방향을 위해서 개인적 쓰기 능력의 신장뿐만 아니라 필자와 독자가 협력하여 집단지성을 실현하는 협력적 쓰기 교육이 필요하다.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협력적 쓰기 교육은 개인 필자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일원으로 작문을 수행함으로써, 공동체가 요구하는 관습과 규범을 따르는 방향으로 일치를 끌어내는 경험을 주는 교육이 될 수 있으며,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해 독자의 반응을 수용하는 쓰기를 경험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의 상호작용성에 기반하여 디지털 미디어와 이용자는 수용자가 되기도 하고 제공자가 되기도 한다. 작문 교육에서도 필자가 쓰기를 수행하는 차원을 넘어 개별 독자, 집단적 독자의 반응을 수용하면서 상호작용하는 쓰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따라서 독자의 반응을 수용하며 상호작용하는 협력적 쓰기를 교육 내용으로 구성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e-포트폴리오의 교육적 활용을 제안하였다.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구체적인 공간을 e-포트폴리오를 통해 마련하는 것이다. 그 효과와 장점은 완성된 글에 대한 결과 차원의 평가가 아닌‘작문 과정’에 대한 기록을 토대로 서로의 사고를 공유하고 반추할 수 있는 환경이 구현된다는 것이다. 학습자들이 내용 생성과 조직·표현, 고쳐 쓰기, 글을 완성하기까지 쓰기의 전 과정에 대한 기록을 토대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학습자 서로서로 개인적 성장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된다는 것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으며, 이전보다 심화된 협력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협력적 쓰기는 디지털 환경이 지닌 장점을 작문 교육에서 활용하여 청소년들의 작문 경험을 지원하고 강화할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작문 생태계의 확대와 교육적 접근을 통해 미래의 삶과 사회 생태를 염두에 두고, 이를 준비하고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As literary environment changes, aspects of communication are diversifying. Just as face-to-face communication and textual communication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patterns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communication on the Internet, and changes in the way of textual communication are appearing. This study initiated from the thought of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that reflects such changes in the literary environment. If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are consistent with how text is communicated,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changes in detail and reflect in the new education content. The society changed from a society that valued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tself to a society that aims at the convergence and creative use of knowledge. Also, from an individual writing environment, it changed to an environment which promotes cooperative writing in the community. As a result, beyond the traditional writing education, such as paper and print-based education, modeling professional authors, and evaluation-oriented writing education such as SAT and college essay writing, in the future of writing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structure where the authors and readers cooperate in a large-scale communication form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education of the hyper-connected era i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riting in digital space reconstructs text as writers and readers find answers through communication. Not only the author and the readers, but also a lot of networked people come together to communicate in multiple directions. There is a need to view this communication process as cooperation and to organize it in the education contents. The most educational way to implement this in writing education is collaborative writing using digital media. In this study, we proposed collaborative writing education using Wiki and Google documents. It is an educational use of collaborative tools that make writing together as a writer and a reader through the principle of collective intelligence. For a desirabl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a collaborative writing training is needed, in addition to the enhancement of personal writing skills, in which the writer and the reader work together to realize collective intelligence. Collaborative writing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can be an education that gives individual writers an experience of drawing unity in the direction that follows the customs and norms demanded by the community, and can experience writing that accepts the reader's response through real-time interaction. Based on the interactivity of digital media, digital media and users are both receptors and providers. This is why writing should be focused on writing that interacts with individual readers and collective readers, beyond the level in which the writer performs writing. Therefore, collaborative writing, which accommodates and interacts with the reader’s responses, was proposed by organizing the training content. It also proposed the educational use of cloud-based e-portfolio. It is through e-portfolio that a specific space for interlearners to interact. The effect and advantage is that an environment is implemented in which one can share and reflect on each other’s thoughts based on a record of" the writing process" rather than on a result-level assessment of the completed article. Learners can interact based on a record of the entire process of writing, until content creation, organization, expression, rewriting, and completion of writing. Most of all, it is of educational value that learners become more interested in personal growth with each other, and it is a collaborative learning that is more serious than ever before. Collaborative writing using digital media can be an educational way to support and reinforce the writing experience of young people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digital environment in writing education. Considering the expansion of writing ecology as well as future life and social ecology through educational approach in mind, it can be an education that can develop the capacity to prepare and adapt to the future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desirable writing education plan in a changing writing environment.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 stepping stone to a new horizon of future writing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3 1. 국어교육의 방향 연구 3 2. 협력적 쓰기 교육 연구 7 C. 연구 대상 및 방법 13 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협력적 쓰기 교육의 이론적 배경 15 A.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문식 환경 변화 양상 15 1. 디지털 매체의 발달과 소통 방식의 변화 15 2. 쓰기 개념의 변화와 새로운 문식성 20 B. 변화된 문식 환경과 협력적 쓰기 23 1. 집단 지식의 생산과 협력 학습의 증대 23 2. 협력적 쓰기의 개념과 특징 26 C.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협력적 쓰기의 교육적 가치 29 1.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청소년 필자 29 2. 문식성 개념의 변화에 따른 생태학적 수업 설계 30 3. 디지털 매체의 교육적 활용 32 Ⅲ.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협력적 쓰기 교육 현황과 비판적 검토 36 A.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화 36 1. 고등학교 작문 교육과정과 협력적 쓰기 36 2. 고등학교 작문 교육과정과 디지털 쓰기 48 B. 2015 개정 고등학교 화법과 작문 교과서에 드러난 변화 양상 53 1.사회적 담론 형성학습활동 양상 53 2.협력적 쓰기 학습활동 양상 59 3. 디지털 매체 활용 학습활동 양상 67 C. 교사 인식 분석을 통한 디지털 매체 활용 협력적 쓰기의 이해 69 1. 협력적 쓰기 교육 현황과 한계 69 2. 디지털 매체 활용 쓰기 교육 현황과 한계 74 Ⅳ.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협력적 쓰기 교육 방향 78 A. 디지털 매체 시대의 협력적 쓰기 교육을 위한 제언 78 1. 동료 학습자와의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한 쓰기 78 2. 쓰기 과정 및 결과의 가시화와 공유를 바탕으로 한 교사-학생 간, 학생-학생 간 피드백 제공과 협력 학습 80 B.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협력적 쓰기 교육의 실제 84 1. 위키, 구글 문서의 교육적 활용 84 2. 클라우드 기반 e-포트폴리오의 활용 97 Ⅴ. 결론 102 참고문헌 106 부록1. 인터뷰 질문지 111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17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협력적 쓰기 교육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llaborative Writing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dc.format.pagevi, 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