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8 Download: 0

다시 쓰기를 통한 고전시가 교육 방안

Title
다시 쓰기를 통한 고전시가 교육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Rewriting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 Focusing on first-grade in middle school
Authors
박주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전시가 다시 쓰기 수업을 진행하였고, 작품 다시 쓰기에 대한 학습자 유형화를 바탕으로 중학교 1학년 학습자를 위한 고전시가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목적이 있다. 다시 쓰기를 통한 고전시가 교육은 선행 텍스트에 대한 학습자 쓰기 관계와 학습자의 이해가 결합된 것이다. 또한, 작품 수용과 생산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실천적 성격의 교수·학습 방법이자 학습자의 작품 이해 양상을 바라볼 수 있는 연구 방법이다. 이 연구를 통해 문학 교육에서 소외된 학습자의 고전시가 이해 양상을 분석하여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시 쓰기와 같이 작품 수용과 생산을 매개하는 활동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중학교 1학년 학습자를 위한 고전시가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중학교 1학년 학습자는 초등교육에서 중등교육으로 이행하는 교육적 전환을 경험하고 중등교육의 시작점에 위치하는 시기적 특성을 지닌다. 중학교 1학년 학습자에게 고전시가는 중학교 재학 중 문학 영역의 성취기준 주안점에 도달하기 위해 경험하는 장르이고, 중학교 졸업 이후 상급학교인 고등학교, 대학 입시에서도 교수·학습과 평가의 제재로 마주하게 된다. 그러나 고전시가에 대한 학습은 앞서 많은 학습자가 부담을 느끼는 장르로, 중학교 1학년 학습자도 향후 고전시가 학습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은 충분히 예측 가능한 문제이다. 따라서 중등교육의 시작점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 학습자의 고전시가 이해 특성을 학습자의 작품 다시 쓰기를 통해 고려하는 것은 이 학습자가 경험하게 되는 학습의 문제와 마주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방법이자 교수·학습 방법으로 제시한 다시 쓰기의 개념에 대해서 다양한 선행 연구가 있으나, 다시 쓰기가 선행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쓰기를 포괄하는 것으로 본 박은미(2006)의 논의를 기반으로 삼는다. 자료 분석에서 가장 고려한 것은 고전시가 다시 쓰기 수업의 설계 과정을 자세히 제시하는 것이었으며, 연구 대상 선정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 자료 분석의 기준과 틀을 마련하였다. 수업 설계는 역사적 갈래를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는데, 고전시가 갈래가 시가(詩歌)의 정형성이라는 개별 작품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범주화한 상위 범주라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자료 분석은 학습자의 다시 쓰기 전후 반응 분석을 토대로 작품 수용과 생산의 매개로 다시 쓰기의 효과가 크게 나타난 작품과 학습자를 중심으로 고전시가 다시 쓰기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 수용과 생산의 매개로 다시 쓰기의 효과가 큰 작품 분석에서 ‘선행 텍스트와의 관계’라는 특성이 도출되었고, 특성의 유형은 ‘선행 텍스트 기반형’과 ‘선행 텍스트 활용형’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작품 수용과 생산의 매개로 다시 쓰기의 효과가 큰 학습자 분석에서 작품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도’라는 특성이 도출되었고, 특성의 유형은 ‘부분 주목형’과 ‘전체 주목형’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학습자의 고전시가 다시 쓰기의 특성은 선행 텍스트에 대한 학습자 쓰기의 관계와 작품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도를 모두 반영한 활동이다. 고전시가 다시 쓰기 유형은 이론적으로 네 가지 유형이 가능하나, 이 수업에서는 다시 쓰기가 선행 텍스트에 대한 고려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세 가지 유형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 학습자 유형화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시 쓰기 Ⅰ’은 선행 텍스트의 형식을 기반으로 작품 부분에 주목한 학습자이다. 이 유형을 통해 문학 교육에서 작품 이해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특정 부분에 초점을 맞출 때 학습자의 작품 수용 양상이 확인된다. 이 유형에 대한 교수·학습 전략은 작품 부분 주목에서 전체 주목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작품 수를 줄이거나 학습을 포기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다시 쓰기와 같은 학습자 참여형 수업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다. 둘째, ‘다시 쓰기 Ⅱ’는 선행 텍스트의 형식을 기반으로 작품 전체에 주목한 학습자이다. 이 유형을 통해 작품과 학습자 자신을 관련지어 이해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작품의 문제를 발견하고 탐구하는 학습자가 확인된다. 이 유형에 대한 교수·학습 전략은 학습자가 작품 수용과 생산을 충분히 경험하여 탐구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이 요구된다. 셋째, ‘다시 쓰기 Ⅲ’은 선행 텍스트를 활용하고 작품 부분에 주목한 학습자이다. 이 유형을 통해 고전시가에 다가가기 위해 시도하는 능동적인 학습자가 확인된다. 이 유형에 대한 교수·학습 전략은 고전시가와의 거리를 좁히기 위한 교육 방안으로 고전시가를 활용한 창작 교육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학습자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과 관련하여 모색한다. 먼저, 교사가 제시한 학습 목표와 학습자가 이해한 학습 목표 간 차이에 대한 확인이 요구된다. 교사의 학습 목표가 작품 수용에 무게중심이 있다면, 교사에게 이상적인 학습자는 ‘다시 쓰기 Ⅱ’이다. 그러나 학습자의 학습 목표가 작품 생산에 무게중심이 있다면, ‘다시 쓰기 Ⅲ’과 같이 고전시가를 활용하여 작품을 창작하는 활동으로 나아갈 수 있다. 다음으로, 교사는 연구 대상 학습자가 중학교 1학년으로 대인관계에 관심이 높다는 특성을 반영하여 ‘다시 쓰기 Ⅰ’과 ‘다시 쓰기 Ⅲ’이 내용 이해에서 전체 주목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작품 전체에 주목한 ‘다시 쓰기 Ⅱ’와의 대화를 통한 작품 이해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는 수업을 구성하는 집단에 대한 특성에 대한 이해와 대화를 위한 분위기 조성 등 문학 수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aspects of korean classical poetry through rewriting and present specific teaching strategy for the first-year learner in middle school.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using rewriting is a instructional methods that combine learner's rewriting to preceding text and learner's understanding of preceding to experience the reception and the production of literature. In this study, the rewriting concept defined by Park Eun-mi (2006) is a prerequisite for discussion. The data analysis elicited the characteristics of rewriting from korean classical poetry, focusing on literature and learners with great effect of rewriting in the medium of the reception and the production of literature. As a result, the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preceding text, it was analyzed as ‘preceding text-based’ and ‘preceding text-utilized’. Second, in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literature, it was analyzed as ‘partial attention’ and ‘full attention’. The learner typ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ewrite I’ is a type that focuses on the partial content based on the format of preceding text. Second, ‘Rewrite II’ is a type that focuses on the full content based on the format of preceding text. Third, ‘Rewrite III’ is a type that utilizes preceding text and focuses on the partial content. The specific teaching strategises are as follows. First, identifying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in educational objectives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ype of learner. Second, Teachers should create an atmosphere for dialogue and be interes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learners types so that they can actively talk about literature cla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