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1 Download: 0

학습자 요인에 따른 한국어의 종결어미와 핵억양의 공손성 실현

Title
학습자 요인에 따른 한국어의 종결어미와 핵억양의 공손성 실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spects of Politeness of Final Endings and Nuclear Tones According to the Factors of Korean Learners
Authors
박지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어권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들과 일본어권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공손성 습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어의 공손성 실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결어미와 핵억양의 사용에 집중하여 살펴보았다. 한편,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공손성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언어 습득은 발달 속도는 물론 습득 과정에 있어 학습자마다 다양한 양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차이는 동일한 환경에서 같은 교사와 같은 교재로 공부한 학습자들 중에서도 나타난다. 이와 같은 학습자 간의 개인차를 설명하고 이를 사전에 예측하여 개인별 특성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공손성은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 구성원의 인식과 가치관을 담고 있어 학습자들이 그것을 습득하는 것을 매우 어려워하지만 이전의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공손 표현 오류 양상을 정리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학습자들의 공손성 습득을 잘 돕기 위해서는 공손성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모국어 및 숙달도, 그리고 정의적 요인에 해당하는 학습자의 성격 및 동기 유형, 문화 간 감수성이 공손성 습득에 있어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Ⅰ장에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학에서 이루어진 공손성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공손 표현과 공손 전략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화용 능력과 관련한 학습자 요인들에 대한 선행 연구들도 함께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 현장에서의 경험을 참고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먼저 한국어 공손성 실현을 위해 사용되는 종결어미들에 대한 논의를 정리한 후 핵억양에 대한 이론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학습자의 화용 능력과 관련된 학습자 개인 요인들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였다. 이 장에서는 예비 실험의 절차 및 자료 수집 도구들과 수정 방안 등에 대해 상세히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의 피험자, 실험 도구,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에 대해 기술한 후, 자료 분석 방법을 밝혔다. Ⅳ장에서는 연구 문제 1번에 대한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한국어 공손성 실현을 위한 종결어미와 핵억양의 사용에 대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어권 중·고급 학습자, 일본어권 중·고급 학습자의 사용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손성 실현을 위한 종결어미와 핵억양 모두 일본어권 학습자들이 중국어권 학습자들보다 더 잘 습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숙달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일본어권 학습자 집단에서는 종결어미와 핵억양의 사용에 있어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중국어권 학습자 집단은 종결어미와 핵억양 사용에 있어 중급에 비해 고급 학습자들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Ⅴ장에서는 연구 문제 2번에 대한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학습자의 공손성에 영향을 주는 정의적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고 그 영향력을 분석해 보았다. Ⅴ장의 연구 결과, 일본어권 학습자에 한하여 감정형의 학습자보다 사고형의 학습자가 공손성 습득에 있어 유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기 유형에 있어서는 통합적 동기에 해당하는 학습자가 공손성 습득을 더 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문화 간 감수성 역시 공손성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Ⅵ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여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혔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최근 한국어 교육학에서도 학습자들의 개인 요인에 관심을 갖고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화용 능력과 관련하여서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공손성과 관련한 연구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에 본고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와 언어 교육이 연계된 통합 수업의 필요성을 제고해 볼 수 있을 것이며 공손성 습득에 있어 영향력이 있다고 밝혀진 요인들을 참고하여 공손성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liteness acquisition of Chinese learner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and Japanese learner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the use of final endings and Nuclear tone, which play a critical role in realizing Korean politeness. On the other hand, the study aims to examine what kinds of learner factors influence Korean learners' acquisition of politenes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varies from learner to learner as well as to the speed of development. The difference can also be seen among learners who have studied in the same environment with the same teacher and the same learning materials. It is very important to explain such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learners and further predict them to provid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Politeness is very difficult for learners because it contains the values and perceptions of members of the society who use the language, nonetheless, until now, study has only been used to summarize the pattern of polite expression errors of learners. However, in order to help learners learn politeness well,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 depth the learner factors that influence politeness acquisition.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earner’s native language and proficiency, personality and motivation,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learner who has affective factors on politeness acquisition.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were elucidated, and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oliteness in Korean education were divided into polite expression and polite strategy research.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on learner factors related to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were also examine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d experiences in the field of study. Chapter II pres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First, after organizing the discussions on the final endings used to express Korean politeness, theory of Nuclear ton was identified. The discussion then summarizes the learner's individual factors related to learners'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Chapter III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 The procedure of the study was explained and the preliminary experiment was introduced in detail. After describing the data collection tools established through the preliminary experiments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data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was described. Chapters IV and V describ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In chapter IV, the use of final endings and Nuclear tone for Korean politeness was compared and analyzed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Chinese-languag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nd Japanese-languag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Japanese-language learners learned both the final endings and the Nuclear tone for the realization of politeness better than Chinese-language learne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ermediate learners and advanced learners in the use of final endings and Nuclear tone. However, the Chinese learne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advanced learners than for intermediate students in terms of final endings and Nuclear tone. In Chapter V, the study examined the affective factors influencing learner's politeness and analyzed their influ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in Chapter V,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 of thinking type was better in acquiring politeness than the learner of feeling type only in Japanese-speaking learners, and as for the motivation type, learners with integrated motivation was better in acquiring politeness than learners with instrumental motiv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tercultural sensitivity also influenced the acquisition of politeness. Chapter VI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from Chapter IV and V and describ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Korean pedagogy has been interested in the individual factors of learners these days, nonetheless, very few studies with regard to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are being conducted. In particular, it can be considered that is almost no research on politeness regarding Korean language. Therefore,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an integrated class associating culture with language education can be enhanced. The factors that have been found to be influential in acquiring politeness, are expected t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when searching methods for politeness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