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3 Download: 0

신문 「조쏘친선」 기사와 구호로 본 북한의 소련 담론 변화

Title
신문 「조쏘친선」 기사와 구호로 본 북한의 소련 담론 변화
Other Titles
Changes in the Discourses of the Soviet Union in North Korea : Articles and Slogans in Cho-Sso Chinson
Authors
고민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석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956년부터 1962년까지 조쏘친선협회 기관지 신문 「조쏘친선」을 통해 북한 당국의 소련 담론을 확인하는 것이다. 1950년대 후반은 소련의 스탈린 격하 운동, 평화공존노선 천명과 이에 따른 중소 갈등과 김일성의 권력 집중이라는 대내외적 변동이 일어난 시기였다. 북소 관계는 악화되어 1960년대 초에는 소련을 비판하는 기사가 「로동신문」에 실릴 정도로 이전의 긍정적인 내용 일색이었던 소련 담론이 변화하였다. 조쏘친선협회는 이 시기 활동했던 북한의 주요 단체로, 전국 지방 조직을 통해 소련의 선진 문화를 선전하고 친선 교류 활동을 전개하는 등 북한 당국의 소련 담론을 전달하는 단체였다. 협회 출판물 충에서도 조쏘친선협회 기관지 신문 「조쏘친선」은 소련과 협회 소식을 전하는 언론 매체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쏘친선」에 나타난 소련 담론의 변화 과정을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1956년부터 1962년까지 북한의 소련 담론의 역사적 배경과 북한의 소련 담론의 전달 단체인 조쏘친선협회의 활동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신문 「조쏘친선」의 구성 변화와 소련 담론 변화를 연도별로 확인하여 담론이 변화하는 분기점을 찾고자 하였다. 신문 구성 변화는 편집 구성의 변화와 연도별 저자, 주제 분류에 따른 기사 수 변화를 확인하였다. 소련 담론의 변화는 연도별 구호와 기념 사설의 내용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1956년부터 1962년까지의 소련 담론을 1956~1958년, 1959~1960년, 1961~1962년 세 시기로 나누어 시기별 담론을 분석하였다. 시기별 담론 분석은 신문 「조쏘친선」 지면에 나오는 사설과 소련 관련 및 북소 관계 관련 기사 제목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사설의 경우 주제별로 내용을 범주화하였고, 기사 제목의 경우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담론을 확인하였다. 활용된 분석 방법은 빈출단어 분석, 동시출현단어 분석, 잠제 디리클레 할당 토픽 모델링이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북한 당국의 소련 담론은 1956년부터 1958년까지 담론 다변화기, 1959년부터 1960년까지 담론 북한화(北韓化)기, 1961년부터 1962년까지 담론 주변화기로 나눌 수 있었다. 1956년부터 1958년까지 소련 담론은 기존의 스탈린주의적 담론이 흐루쇼프 정권의 비판과 새로운 대외정책에 맞추어 양상이 다양해지고 복잡해졌다. 북한 당국은 소련을 북한보다 매우 선진적인 국가로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 소련을 따라야 한다고 이야기하면서도, 북한적 요소와 평등한 관계를 강조하였다. 1959년부터 1960년까지 북한 당국의 소련 담론은 김일성 항일투쟁을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 전통 생성과 조선로동당의 정책에 맞추어 변화하였다. 이 시기에는 소련을 긍정적으로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 소련과의 교류를 이어가면서도, 공산주의 도덕이나 대중 사업 등 북한 당국의 이해에 부합하는 담론의 요소가 강조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북한 내부의 김일성 중심 권력 집중과 소련의 평화공존노선에 따른 불간섭 원칙의 강조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961년부터 1962년까지 북한 당국의 소련 담론은 기존의 소련에 관련된 긍정적 묘사가 대폭 제한되고 북소 관계가 동등해 보이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이 시기에는 김일성의 항일 투쟁이 한반도의 사회주의적 운동으로서 기념되었으며, 소련의 경험은 북한의 정치 경제적 목표를 성취하는 데 활용하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북소 관계의 악화와 북한의 주체 노선 강화에 따른 것이었다. 1956년부터 1962년 까지 북한 당국에서 제시한 소련 담론이 국내 정세와 국제 정세에 따라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북한은 당국은 스탈린 격하 운동이나 평화공존 노선에 맞춘 소련 담론을 제시하면서도 점진적으로 북한의 지도자와 당의 우월성에 대한 글을 포함시키고 북소관계를 동등하게 서술하였다. 이러한 변화의 양상은 북한이 사회주의 진영에서 가장 선진적이었던 소련과의 관계로부터 이득을 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 주민의 소련 인식을 실제와 다르게 유도하였다. 기존의 대단히 긍정적이었던 소련에 대한 부정 없이, 북한적 요소들을 제시하면서 이에 소련의 일부 요소를 결합시키고, 수단화시켜 소련 담론을 대체한 것이다. 이렇게 대내외적 정세와 북한의 이해관계 맞춘 소련 담론의 변화는 이후의 주체 담론과 연결되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discourse of the Soviet Union in North Korea from 1956 to 1962 by Cho-Sso Chinson. The late 1950s was a period of internal and external fluctuations in North Korea from the de-Stalinization movement, the peaceful coexistence line, the Sino-Soviet split and the concentration of power in Kim Il Sung. As the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deteriorated, the Soviet discourse which had previously been positive, changed so much that an article of Rodong Sinmun criticized the Soviet Union in the early 1960s, Korea-Soviet Friendship Associaton was a major North Korean organization that was active during this period. It was a group that distributed the discourses of the Soviet authorities by promoting the advanced Soviet culture and conducting friendly exchange activities through national organizations. In the publication of the association, Cho-Sso Chinson, Korea-Soviet Friendship Associaton’s newspaper, was a news media for the Soviet Un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discourse of the Soviet Union as described in Cho-Sso Chinson. First, the activities of the Korea-Soviet Friendship Associaton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discourse of the Soviet Union in North Korea from 1956 to 1962 were examined.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turning point of the discourse by checking the composition of Cho-Sso Chinson and the change of Soviet discourse by year. The change of newspaper composition was examined by the change of editorial composition and the number of articles by author and subject classification by year. Changes in Soviet discourse examined by commemorative editorials. Through this, the discourses of the Soviet Union from 1956 to 1962 we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1956-1958, 1959-1960, and 1961-1962. The discourse analysis by period was conducted using the editorials and the titles of articles related to the Soviet Union and North Korea in Cho-Sso Chinson. In the case of editorials, the content was categorized by subject. In the case of article titles, the discourse was examined using automated text analysis methods. The analytical methods used are frequent word analysis, text network analysis,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In summary, the Soviet discourses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were divided into the diversifying period from 1956 to 1958, the North-Koreanization period from 1959 to 1960, and the marginalized period from 1961 to 1962. From 1956 to 1958, the Soviet discourse was changed and complicated in line with the policies of Khrushchev.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emphasized that North Koreans should follow the example of the Soviet Union because it is a much more advanced country than North Korea and in various fields, at the same time it emphasized equality with North Korean elements. From 1959 to 1960, the Soviet discourses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hanged in line with the creation of socialist traditions centered on Kim Il-sung's anti-Japanese struggle and the policies of the Korean Workers' Party. During this period, the elements of discourse in line with the interests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such as communist morality and common sense, were emphasized, while maintaining the Soviet Union's positive and diverse exchanges with the Soviet Union. This change can be attributed to the emphasis on Kim Il-sung's central power within North Korea and the emphasis on the principle of non-interference in the Soviet Union's peaceful coexistence line. From 1961 to 1962, the Soviet discourses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hanged in such a way that the positive description of the Soviet Union was greatly limited and the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be equal. During this period, Kim Il-sung's anti-Japanese struggle was commemorated as a socialist mov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oviet experience emerged as an aid for North Koreans in achieving their political and economic goals. This change was due to the deterioration of North Korea-Soviet Union relations and the strengthening of North Korea's Juche ideology. From 1956 to 1962, the Soviet discourse present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hanged according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ditions. While North Korea suggested the Soviet discourse in line with the de-Stalinization movement and the peaceful coexistence line, North Korea gradually included writings on North Korean leaders and party superiority and described North Korea relations equally to the Soviet Union. This pattern of change had led North Koreans to perceive the Soviet Union differently, despite the fact that North Korea was benefiting from the relations with the Soviet Union. Instead of denying the formerly positive Soviet discourse, North Korean elements were suggested, and some elements of the Soviet Union were combined and instrumented to replace Soviet discourse. This change in the Soviet discourse, in line with internal and external affairs and North Korea's interests, was linked to the later discourse of Juch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